List of Articles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19, No. 2,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ruction in a Free-semester Middle School for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
중학교 자유학기제 국어과 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개선 사례 연구
중학교 자유학기제 국어과 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개선 사례 연구
J. Curric. Eval. 2016;19(2):1-25.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
The Analysi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andards of the 2015 Korean Language National Curriculum:Focusing on the Language Art Section of Middle School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 적합성 분석
J. Curric. Eval. 2016;19(2):27-48.
https://doi.org/10.29221/jce.2016.19.2.2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27
Curriculum-making Process and Issue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2015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기 ‘통합사회’ 개발 과정과 쟁점
2015 개정 교육과정기 ‘통합사회’ 개발 과정과 쟁점
J. Curric. Eval. 2016;19(2):49-75.
https://doi.org/10.29221/jce.2016.19.2.4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49
An Analysis on the Bridgeability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Themes of the Social Studies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사회과제재의 가교성 분석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사회과제재의 가교성 분석
J. Curric. Eval. 2016;19(2):77-105.
https://doi.org/10.29221/jce.2016.19.2.7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77
A Study on First Graders’ Writing Ability for Expository Texts
초등학교 1학년의 설명문 쓰기 능력 연구 - 취학 첫 학기 아동의 초기 문식성 발달의 관점에서 -
초등학교 1학년의 설명문 쓰기 능력 연구 - 취학 첫 학기 아동의 초기 문식성 발달의 관점에서 -
J. Curric. Eval. 2016;19(2):107-131.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0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07
Measures of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High School Graduation in Korean Language by the Change of the Scope of Exam Questions
검정고시 출제 범위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졸업학력검정고시 국어 과목 출제 방안
검정고시 출제 범위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졸업학력검정고시 국어 과목 출제 방안
J. Curric. Eval. 2016;19(2):133-153.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3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33
Analyzing Student Assessment Literacy Levels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 분석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 분석
J. Curric. Eval. 2016;19(2):155-170.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5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55
Analysis on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국어 교사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국어 평가 시행에 관한 국어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어 교사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국어 평가 시행에 관한 국어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J. Curric. Eval. 2016;19(2):171-198.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7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71
Analyses of Trends in NAEA 2010~2014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학교 향상도 변화 추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학교 향상도 변화 추이
J. Curric. Eval. 2016;19(2):199-220.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9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199
Item Analysis in Korean : Data from Distribution Curves of the Response Rates in NAEA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한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과 문항 분석 연구 - 중학교급 선다형 문항을 중심으로 -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한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과 문항 분석 연구 - 중학교급 선다형 문항을 중심으로 -
J. Curric. Eval. 2016;19(2):221-249.
https://doi.org/10.29221/jce.2016.19.2.22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221
A Comparis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and Many Facet Rasch Measurement in an Analysis of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수학 창의력 문제 해결 검사에서의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다국면 라쉬모형의 비교 연구
수학 창의력 문제 해결 검사에서의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다국면 라쉬모형의 비교 연구
J. Curric. Eval. 2016;19(2):251-279.
https://doi.org/10.29221/jce.2016.19.2.25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6.19.2.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