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20, No. 1, 2017
교육과정·교과서
Case analysis of competency-based school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cused on curriculum research schools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특징 분석: 교육과정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특징 분석: 교육과정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17;20(1):1-30.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
Article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Overseas Korean Elementary Schools' Curriculum and Inquiry of Improvement Plans
재외 한국학교 초등 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재외 한국학교 초등 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J. Curric. Eval. 2017;20(1):31-55.
https://doi.org/10.29221/jce.2017.20.1.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31
A study on the time-peri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 From syllabus perio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초․중․고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초․중․고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J. Curric. Eval. 2017;20(1):57-86.
https://doi.org/10.29221/jce.2017.20.1.5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57

Measurement Invariance and Predictive Validity of Student Non-cognitive Measures across School Levels
학습동기, 학습전략, 자기통제성의 학교급별 측정동등성 및 학습부진과의 관계 분석
학습동기, 학습전략, 자기통제성의 학교급별 측정동등성 및 학습부진과의 관계 분석
J. Curric. Eval. 2017;20(1):87-113.
https://doi.org/10.29221/jce.2017.20.1.8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87
Analysis of English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s
북한이탈청소년의 영어 학습 동기 분석
북한이탈청소년의 영어 학습 동기 분석
J. Curric. Eval. 2017;20(1):115-142.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1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15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Types and task persistance: Moderating Effects of Feedback Acceptance
피드백 유형과 과제지속의 관계에 대한 피드백 수용성의 조절효과
피드백 유형과 과제지속의 관계에 대한 피드백 수용성의 조절효과
J. Curric. Eval. 2017;20(1):143-163.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4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43

A Study on Teachers' Noncompliance with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Policy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조사에 대한 교원의 정책 불응 연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조사에 대한 교원의 정책 불응 연구
J. Curric. Eval. 2017;20(1):165-193.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6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65

Analysis on Students’ Characteristics in Affective Domains Related to Mathematics Using Norm-referenced Indicator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규준기반 지표를 활용한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규준기반 지표를 활용한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 분석
J. Curric. Eval. 2017;20(1):195-219.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9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195

A Comparison of Equating Methods on Various Conditions in Anchor Persons Design by Simulation
모의실험에 의한 가교피험자설계의 조건에 따른 동등화 방법 비교
모의실험에 의한 가교피험자설계의 조건에 따른 동등화 방법 비교
J. Curric. Eval. 2017;20(1):221-243.
https://doi.org/10.29221/jce.2017.20.1.22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221

A Study on Middle School Teacher’s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based on Latent Growth Model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실행도 종단연구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실행도 종단연구
J. Curric. Eval. 2017;20(1):245-270.
https://doi.org/10.29221/jce.2017.20.1.24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24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ies
중학생들의 작문능력 실태 조사 연구
중학생들의 작문능력 실태 조사 연구
J. Curric. Eval. 2017;20(1):271-295.
https://doi.org/10.29221/jce.2017.20.1.27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7.20.1.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