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22, No. 3, 2019
교육과정·교과서
The Sub-Elem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s Core Competence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요소 분석
핵심역량으로서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요소 분석
J. Curric. Eval. 2019;22(3):1-29.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
Analysis of recogni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digital literacy education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J. Curric. Eval. 2019;22(3):31-60.
https://doi.org/10.29221/jce.2019.22.3.3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31
A Study of Differences between Physics and History Teachers’ Interpreta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Predicates in the Physics and History Curriculum
물리와 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서술어에 대한 물리 교사와 역사 교사의 해석 비교 연구
물리와 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서술어에 대한 물리 교사와 역사 교사의 해석 비교 연구
J. Curric. Eval. 2019;22(3):61-86.
https://doi.org/10.29221/jce.2019.22.3.6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61
Moral Education in North Korea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t Moral Education Theory
구성주의 도덕교육론을 통해 본 북한의 사회주의도덕 연구
구성주의 도덕교육론을 통해 본 북한의 사회주의도덕 연구
J. Curric. Eval. 2019;22(3):87-115.
https://doi.org/10.29221/jce.2019.22.3.8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87
Qualitative Research of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Polytechnic School
일반고 직업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질적 연구: 산업정보학교를 중심으로
일반고 직업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질적 연구: 산업정보학교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19;22(3):117-145.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1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17
교육평가
Directions for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ssessment
우리나라 미래 초·중등학교 교육평가 방향 탐색
우리나라 미래 초·중등학교 교육평가 방향 탐색
J. Curric. Eval. 2019;22(3):147-171.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4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47
The Investigation of Student Assessment System of Korea: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PISA 2015 Data
우리나라 학생평가 실태 연구: PISA 2015 참여국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학생평가 실태 연구: PISA 2015 참여국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19;22(3):173-198.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7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73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Affecting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PISA 2015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특성 분석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특성 분석
J. Curric. Eval. 2019;22(3):199-224.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9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199
The Analysis and Implication of Student Evaluation in 2015 Science Curriculum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NA) Method: Focused on the Connection with Process Centered Evaluation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J. Curric. Eval. 2019;22(3):225-250.
https://doi.org/10.29221/jce.2019.22.3.22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225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 Processes in Proficiency Test of Korean History Items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풀이 과정 분석을 통한 역사 선다형 문항 개선 방향 탐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풀이 과정 분석을 통한 역사 선다형 문항 개선 방향 탐색
J. Curric. Eval. 2019;22(3):251-278.
https://doi.org/10.29221/jce.2019.22.3.25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9221/jce.2019.22.3.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