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효율적인 과업활동 텍스트의 구성 방안 - 영어과 교재를 중심으로 -

전인재 1
In-Jae Jeon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전남외국어고등학교 교사
1Teacher, Jeonnam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 Copyright 2006,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10, 2006 ; Revised: May 15, 2006 ; Accepted: May 24, 2006

Published Online: Jun 30, 2006

요약

외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교사, 학습자, 교재의 3요소 가운데 하나인 교재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학습현장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매우 크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더불어 교재가 담고 있는 텍스트의 구성체제는 교수 및 학습방법의 적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까닭에 해당 교수 방법론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외국어 학습자의 효율적인 과업활동을 담보할 수 있는 교재의 텍스트 구성 방안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정의 결정, 교수요목의 설계, 교재의 텍스트 구성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연관성을 살펴보았고, 종래의 과업중심 학습모형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우리나라 외국어 교실현장을 고려한 활동중심의 다면적 과업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목표언어에 대한 학습자의 실제적 사용능력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과업활동 설계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텍스트의 구성 요소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업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재의 텍스트 구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활동 및 과업중심의 영어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현행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정도를 살펴볼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함은 물론, 나아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궁극적 목표에 해당하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효율적인 과업활동 텍스트 개발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insights on designing the text materials for effective task-based activities with reference to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urriculum and syllabus are discussed and the multilateral task model, which has some positive assets compared to previous task models, is newly introduced in terms of encouraging learners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task-based activities in language classroom. It is also suggested that six different categories of task components be applied to constructing communicative text materials. The six components include task goals, input data, settings, activity types, language skills, activity themes and communicative functions. To conclude, a few suggestions are made to provide some meaningful considerations for the text material developers in order to produce better textbooks in the future: (a) task goals and rationale that encourage the learner's positive motivation; (b) authenticity of input data based on the real-world context; (c)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enhance communicative interaction; (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the various activity types including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dures; (e) systematic introduction of integrated language skills, etc.

Keywords: 활동중심 영어교육; 과업중심 학습모형; 과업활동 텍스트
Keywords: Activity-oriented education; task-based text materials/learning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