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장소감과 환경 교육 - 환경 감수성으로서의 장소감의 환경 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

김현주 1
Hyun-joo Kim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오금고등학교
1O gum High School

ⓒ Copyright 200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15, 2003 ; Revised: May 15, 2003 ; Accepted: May 30, 2003

Published Online: Jun 30, 2003

요약

환경 교육은 책임있는 환경 행동을 하는 시민이 갖추어야 할 교육 성분, 즉 환경 소앙을 갖춘 시민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환경 소양의 구체적인 하위 요소로는 인지적 지식, 정의적 태도, 의사 결정을 포함한 행동 조절 요인 등을 들고 있다. 그간의 환경 교육은 환경 소양의 요소로서, 지식 중심의 인지 영역을 지나치게 강조해 온 반면, 정의적 영역인 환경 감수성은 공식적인 교육에서 실현하기 어려운 점을 들어 외면해 온 것이 사실이다.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등을 포함하는 환경 감수성은 환경에 대한 학습을 흥미롭게 하는, 환경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환경을 보존하고자 행동하려는, 선행 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의미있는 생활 경험속에서 형성되는 환경에 대한 태도 즉, 장소감은 구성주의 교수 • 학습 고병에서 반드시 파악되어야 할 학습자의 사전 개념이며, 의미를 구성하도록 고취시켜야 할 요소가 된다. 실제로 장소감을 통한 지역 환경 프로그램이나 장소 만들기는 책임있는 환경 행동을 이끌어내는 주요 요인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의미있는 생활 경험은 구체적인 장소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런 경험은 장소 속에서 뿌리내리고, 장소와 관계를 설정하는 것 즉 장소감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환경 교육에서 인간 행동의 자발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환경 감수성을 일깨우는, 장소감을 북돋울 수 있는 교육 경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environment education is fostering of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ur, and this behaviour is based on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literacy is composed of cognitive knowledge, affective attitude, behaviour control skill including of decision-making.

In fact, in environmental education, cognitive knowledge as one of th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has been emphasized, but environmental sensibility has not been, for it is difficult to practise in offi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nvironmental sensibility, including the cognitions and attitudes of environment, is the precondition that make the learners have the interest for the learning of education, and have the care for the environment, and have the willing to preserve the education.

Sense of place is attitudes for the environment that develop through the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Therefore sense of place is the important concept in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is the element constructing the meanings.

In practice, many researches shows that local environment program and place-making based on sense of place, induce the environmental responsible behaviour. The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are based on the specific places, and these experiences are rooted in the place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places is taking on through sense of place.

Concluding, environmental education purposing voluntary change of human behaviour need to discuss much more on the education experiences that could evoke environmental sensibility and inspire sense of place.

Keywords: 책임있는 환경 행동; 환경 소양; 환경 감수성; 장소감
Keywords: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Sensitivity; Sense of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