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과서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교수·학습 및 평가 모니터링1)

이광상 1 , *
Kwang-Sang Lee 1 ,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1Senior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제1저자 및 교신저자, leeks@kice.re.kr

© Copyright 202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ul 05, 2023; Revised: Jul 28, 2023; Accepted: Aug 09, 2023

Published Online: Aug 31, 2023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 로드맵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내용을 어떻게 준비하고 실행하는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해 학교 현장에 지원해야 될 방안을 마련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 개선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역량의 제고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최소 성취수준 대상 학생의 지도 상황과 어려운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고교학점제의 안정화를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연수 기회 제공과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의 확대 등의 학교 현장 지원 방안과 관련된 정책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단계적 도입에 따른 2024년 고교학점제 운영과 2025년 고교학점제 본격 시행을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how to prepare and implement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related contents at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roadmap for the phased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propose policy improvemen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schools,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guidance situation and difficulties of students with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as well as effort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capabiliti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this, policy proposals related to on-site support for schools, such as providing training opportunities to enhance expertise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to stabiliz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future, and expanding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for guidance to ensure minimum achievement level, were deri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tably promoting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4 and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Keywords: 고교학점제; 교수·학습; 평가; 최소 성취수준
Keywords: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Minimum achievement level

I. 서 론

고교학점제의 시행 방향과 도입 계획은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안’(교육부, 2021)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계획안에 따르면 2023년과 2024년은 단계적 이행 기간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며, 2025년에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는 2023년 1학년부터 수업량 기준을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하여 총 이수 학점을 192학점으로 운영하면서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준비하고 있고, 전국의 모든 고등학교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나 준비학교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2023년부터 2024년까지의 고교학점제 운영은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학교 현장의 고교학점제 추진 사항을 점검하고 제도의 보완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고교학점제의 장점 중 하나는 학생들 스스로 진로와 연계하여 다양한 교과목을 선택하는 데 있다. 따라서 다양한 선택 과목을 효과적으로 흥미 있게 가르치는 것은 교사의 중요한 책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고교학점제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학교 현장 교사의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토대로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2023년부터 고등학교 공통 과목인 <국어>, <수학>, <영어>를 중심으로 도입이 되는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고교학점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초석이 될 수 있다. 즉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기간에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고교학점제를 어떻게 준비하고 운영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연착륙에 기여할 수 있다.

우선 현행 교육과정의 모니터링에 관련된 국내 연구로는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실행을 모니터링하여 교과 교육과정의 실행 실태를 점검하고, 이에 따른 지원 필요 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김혜숙 외(2018)배주경 외(2019)의 연구가 있다. 김혜숙 외(2018)의 1차 연구에서는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를 설계하였고, 2차 연구인 배주경 외(2019)에서는 1차년도의 모니터링 체제를 토대로 국가, 시도교육청, 학교의 교육과정 실행 및 지원 실태에 대한 분석과 초·중학교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실행을 모니터링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교과별 교육과정 실행 지원 및 차기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정교화 및 활용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고교학점제에서의 교수·학습 및 평가와 관련된 이승미 외(2022)박혜영 외(2022), 김현미, 김태환(2021)의 연구가 있다. 이승미 외(22)의 연구에서는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실태 및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적용 범위,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지원 사항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박혜영 외(2022)의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의 안착과 학생평가의 질 제고를 위해 성취평가제와 관련된 정책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성취평가제 개선을 위한 쟁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김현미, 김태환(2021)의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학생평가 내실화 방향 탐색을 통해 고교학점제에서 학생평가가 내실화되기 위해서는 과정 중심 평가가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위의 선행 연구에서 김혜숙 외(2018)배주경 외(2019)의 연구는 주로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교과 교육과정 실행을 모니터링한 연구이기 때문에 고교학점제를 준비하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승미 외(2022), 박혜영 외(2022), 김현미, 김태환(2021)의 연구는 최소 성취수준 보장과 성취평가제 등과 관련된 연구이지만 고교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실태를 파악한 연구로, 고교학점제 운영 경험이 없는 일반학교를 포함하여 고교학점제가 전반적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다.

최근에 발표한 교육부(2023)의 공교육 경쟁력 제고방안에서는 고교학점제 안착 지원을 위해 ‘개별 학생 맞춤 진로·학업설계 지도 강화’등의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성취평가 신뢰도 제고’를 위한 평가관리센터를 시도별 또는 중앙에 설치·운영 추진한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와 관련해서는 전 과목을 대상으로 이수기준을 적용하고, 이수기준 미도달 우려 학생은 예방지도를 실시하고, 미도달 학생은 보충지도·대체이수 실시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교육부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교학점제가 운영되고 있는 학교 현장은 물론 운영 경험이 없는 일반 학교에서 성취평가제와 최소성취수준 보장 지도와 관련된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인식 정도와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를 파악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국내 선행 연구와 교육부의 중점 추진 사항들을 고려할 때, 고교학점제의 전면 시행을 대비하여 학교 현장에서 성취평가제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포함한 교수·학습 및 평가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시범학교는 물론 고교학점제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일반 학교에서 설문 조사와 면담 내용 등의 분석을 통해 고교학점제가 현재 학교의 교수·학습 및 평가 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어떠한 점을 보완해야 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단위학교에서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사점은 2024년 고교학점제 운영은 물론 2025년부터 전면 시행하는 고교학점제 운영 과정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I.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관련 정책 문서 및 문헌, 고교학점제 관련 선행 연구, 모니터링 연구 관련 문헌 등의 탐색과 더불어,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계획에 따라 단위학교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 등을 통해서 모니터링 하였다.

1. 모니터링 내용과 조사 대상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모니터링 세부 내용은 교육과정과 교과 교육 전문가, 고교학점제 담당 교사 등의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설정했다.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모니터링 내용은 <표 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수·학습 및 평가의 변화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주요 내용으로 선정하였고, 이와 관련된 내용을 학교 대표 교사, 전체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표 1. 조사 대상별 모니터링 세부 내용
영역 주요 내용 세부 내용
학교 일반 현황 학교 구성원의 인식, 만족도, 경험, 요구 사항
학교 대표 교사(1인) 전체 교사 학생
교수·학습 및 평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변화 • 교수·학습 및 평가 방식의 변화
• 교사 평가 전문성 신장
• 성취평가제 확대에 따른 노력
• 교수·학습 방식의 변화 노력
• 수업 분위기 변화
• 평가 역량 제고 노력
• 수업 분위기 변화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 대상 과목 및 학생 선정
• 보장 지도 프로그램
• 보장 지도의 어려움
• 보장 지도 대상 과목
• 보장 지도 후 이수 기준
Download Excel Table

연구 참여 학교 표집은 17개 시·도교육청 고교학점제 담당 장학사의 추천과 학교의 자발적 연구 참여 의사에 의해 이루어졌고, 매칭 학교는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시·도교육청, 지역 규모, 학급 수, 설림 유형 등을 고려하여 연구 참여 학교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학교로 표집하였다.

표 2. 연구·선도학교에 대한 매칭 학교 수와 유형
구분 지역 설립유형 학급 수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국·공립 사립 20미만 20이상
본 연구 참여 연구·선도학교 22 22 18 46 16 17 45 62
매칭 학교 (일반학교) 24 20 18 44 18 20 42 62
Download Excel Table
2. 조사 방법
가. 대표교사 설문 조사

고교학점제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62개 학교의 고교학점제 담당 또는 교육과정 담당 대표 교사 각 1명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와 관련된 학교 일반 현황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4월에 워크숍을 통해 설문 문항에 대한 설명을 한 후 3주 동안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 문항은 <표 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수·학습 및 평가 방식의 변화에 대해 3개의 개방형 문항 유형으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관해 4개의 선다형 문항 유형으로 질문하였다.

표 3. 대표 교사 설문 내용
분석 항목 세부 문항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방식의 변화 •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 또는 연구·선도학교 운영으로 인한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 또는 연구·선도학교 운영으로 인한 평가 방식의 변화
• 성취평가제 관련하여 교사의 평가 전문성 및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과목
• 최소 성취수준 대상자 선정 방법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활용 프로그램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시 어려운 점
Download Excel Table

우선 교수·학습 및 평가 방식의 변화에 대한 개방형 설문의 경우에는 각 설문 마다 빈도가 높은 내용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관련된 선다형 문항의 경우에는 빈도(비율)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나. 학교 구성원(교사, 학생)의 설문 조사

연구에 참여한 학교 구성원들의 ‘교수ㆍ학습 및 평가’에 관련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선도 학교(62교)와 매칭 학교(62교)의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7월 11일에서 7월 26일까지 약 2주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 학교의 교사는 모두 참여하도록 했고, 학생의 경우에는 학년별로 한 학급씩 참여하도록 했다. 그리고 매칭학교의 경우에는 연구 참여와 같은 조건 없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학교 구성원의 설문 문항 내용은 <표 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사의 경우에는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위한 노력 정도를 포함하여 5개의 선다형 문항 유형의 질문을 했고, 학생의 경우에는 수업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정도에 대한 1개 문항에 대해 조사를 했다.

표 4. 학교 구성원 인식 조사 설문 내용
영역 교사 학생
교수·학습 및 평가 -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위한 노력 - 수업 분위기의 변화에 대한 평가
- 수업 분위기의 변화
- 평가 역량 제고를 위한 노력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가 필요한 과목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이후 이수 기준
Download Excel Table

학교 구성원에 대한 분석은 문항별 응답 빈도 및 비율, 평균 및 표준편차의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 학교와 매칭 학교 간 차이, 연구 참여 학교의 연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 분석(χ2검정), 평균 비교 분석(F-test, T-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 면담

교사와 학생의 고교학점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 학교에서 심층 면담에 참여 의사를 밝힌 교사와 학생 중에서 시·도 권역을 안배하여 14개의 학교에서 각 학교별로 교사와 학생 1명씩, 총 28명을 면담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면담은 8월과 9월 초에 걸쳐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면담 참여자별로 1회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교사는 고교학점제 업무 담당교사이고 학생은 과목 선택 경험이 있는 2학년 또는 3학년 학생을 선정하였다. 면담 내용은 <표 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사의 경우에는 교수·학습 및 평가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관련 내용, 학생의 경우에는 학교의 전반적인 수업 및 평가 방식 관련 내용이 포함되었다.

표 5. 교사와 학생 대상 심층 면담 조사 내용
대상 분석 항목 세부 조사 내용
교사 교수·학습 및 평가/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 좋은 점, 어려운 점, 극복 방안, 요구하는 지원 사항 등
학생 학교의 전반적인 수업 및 평가 방식 - 만족하는 경우 이유와 좋은 점
- 만족하지 못한 경우 이유와 개선 점
Download Excel Table

III. 대표 교사의 교수·학습 및 평가 분석

단위학교의 고교학점제 도입·운영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62개 학교의 고교학점제 담당 또는 교육과정 담당 대표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이다. 분석 내용은 교수·학습 및 평가 방식의 변화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와 관련된 내용이다.

1.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변화

고교학점제의 단계적 도입 및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교수 학습 및 평가에서의 변화는 무엇인지를 개방형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개방형 설문은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평가 방식의 변화’, ‘성취평가제와 관련된 평가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3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가. 교수ㆍ학습의 변화

고교학점제의 단계적 도입 또는 연구ㆍ선도학교 운영으로 인한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에 대한 특징 3가지 정도의 작성을 요구했다. 교수ㆍ학습 방법의 변화에 대한 설문 응답은 빈도수가 많은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한 결과 ‘교수ㆍ학습 방법의 다양화’,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교수ㆍ학습 전문성 제고’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연구ㆍ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교수ㆍ학습 방법이 다양해졌다는 의견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온ㆍ오프라인 블렌디드 러닝, 프로젝트 수업 등이 증가했고, 독서, 토론, 탐구활동 등의 활동 중심 수업 운영과,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융합 교육의 실행이 가능했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다교과 지도의 증가로 인하여 교과 내 팀 티칭도 활성화되었다는 응답을 했다.

둘째,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고 향후 진로ㆍ진학에 중심을 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에 중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한 소인수 과목 개설, 학생의 진로 진학을 위한 공동교육과정 운영, 진로와 진학에 초점을 둔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등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을 준비하기 위해 교사들은 교수ㆍ학습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학생 활동 중심 수업의 안착을 위하여 교과 협의회 또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을 활성화하였고, 공개 수업을 통하여 서로 의견을 공유하면서 수업을 개선하는 기회를 갖는 등의 활동을 통해 교수·학습 관련 전문성을 제고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은 위의 내용을 포함한 교수·학습의 변화와 관련된 주요 응답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표 6. 교수·학습의 변화
주제 세부 내용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 PBL 수업,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러닝, 프로젝트 수업 등의 증가
• 독서, 토론, 발표, 탐구활동, 실험, 코딩 등의 활동 중심 수업 운영
• 실생활의 주제와 연관된 다양한 융합 교육
• 다교과 지도 증가에 따른 교과 내 팀티칭 활성화
• 소인수 과목 운영으로 학생 개별화 지도 가능
• 학생 주도 프로젝트 학습 및 참여 수업 활성화(미술실, 정보실)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 학생 선택권 보장을 위한 소인수 과목 개설
• 학생 진로·진학을 위한 공동교육과정 운영
• 학생의 진로, 진학에 맞춘 프로그램 운영
•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 편성
교수·학습 전문성 제고 • 학생 활동 중심 수업을 위한 교과 및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
•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다양한 의견 공유
• 공개 수업을 통한 수업 개선 및 공유의 장 마련
• 학년별 교과 간 주제 탐구형 융합 프로그램 운영
• 프로젝트 수업 연구
Download Excel Table
나. 평가의 변화

고교학점제의 단계적 도입 또는 연구ㆍ선도학교 운영으로 인한 평가 방식의 변화에 대하여 3가지 정도 특징의 작성을 요구했다. 평가 방식의 변화에 대한 설문 응답 내용은 빈도수가 많은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한 결과, ‘수행평가의 확대’, ‘평가 방식의 다양화 및 객관성 확보’, ‘최소 학업성취 보장 방안 마련’, ‘평가 전문성 강화 노력’ 등으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비율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진로 선택 과목의 경우 수행평가 비중을 60%에서 100% 정도로 확대하는 학교도 있었다. 반면에 지필평가를 시행하는 겨우에는 서술형 또는 논술형으로 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목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방식의 다양화 및 객관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수업 중 모둠별 과정 평가에서 개별 학습 활동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방식과 동료 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평가 계획과 평가 기준을 학생들에게 사전에 공개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면, 과목별 수업 진도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성취수준에 미도달한 학생을 위한 지도 방안을 고려하고, 미도달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형성 평가 또는 과정 중심 평가를 확대하기도 하였다.

넷째, 평가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 학습 공동체 및 연수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교사들은 국어, 수학, 영어 중심으로 평가 관련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여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문적 학습 공동체와 교과 협의회 등을 통해 ‘교육과정-수업-평가-학생부 기록’이 일관성 있게 추진되도록 노력하고 있었다. <표 7>은 평가의 변화와 관련된 주요 응답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표 7. 평가의 변화
주제 세부 내용
수행평가의 확대 • 과정 중심 평가의 취지에 맞도록 수행평가 비율 점진적 확대
• 지필평가에서 서·논술형 100%의 평가 교과가 늘고 있음.
• 과목의 특징과 성취기준에 맞는 다양한 수행평가 실시
평가 방식의 다양화 및 객관성 확보 • 동료 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 확대 실시
• 모든 평가 계획과 평가 기준은 학생들에게 사전에 공개하고 객관성 확보를 위해 노력
최소 성취 보장 방안 마련 • 과목별 수업 진도 및 평가계획 수립 시 성취수준 미도달 학생 지도 방안 포함
•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학생 예방을 위한 수시 평가(형성평가) 및 과정중심 평가 확대
• 형성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성취수준 도달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평가 전문성 강화 노력 • 국어, 수학, 영어 중심으로 평가 관련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구성
• 전문적학습공동체, 교과협의회를 통한 교-수-평-기 일체화를 위해 노력
Download Excel Table
다. 성취평가제 확대에 따른 노력

고교학점제에서 성취평가제의 확대에 따른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및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취평가제 확대에 따른 평가 전문성 신장 노력에 대한 응답 내용을 빈도수가 많은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한 결과, ‘연수 및 학습공동체 활성화’, ‘평가 결과 활용 및 피드백’으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학교 내외 연수, 교과 협의회나 교원 학습 공동체 활성화를 통해 평가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 교육청이 지원해준 평가전문가를 초빙하거나 연수를 실시하는 등 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고자 하였으며, 단위학교의 평가 사례를 이용한 컨설팅을 받아 해당 학교 실정에 맞게 적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를 수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과정 중심 평가와 수행평가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성취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그 결과를 점검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은 성취평가제 확대에 따른 노력에 관련된 주요 응답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표 8. 성취평가제 확대에 따른 노력
주제 세부 내용
연수 및 학습공동체 활성화 • 교사들의 자발적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
• 교과협의회 논의 활성화, 교과 단위 전문학습공동체 활용
• 전문가 초빙, 교내외로 연수, 상호 컨설팅
평가 결과 활용 및 피드백 • 학생 중심 평가와 평가 사례를 통한 과목별 특성에 맞는 표준안 모색
• 과정 중심 평가 등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성취평가 결과를 도출 노력
• 교사 각자의 수업과 평가 사례에 대한 일상적 공유 활동 강화
• 전년도 평가를 토대로 피드백
Download Excel Table
2.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62개 연구ㆍ선도학교를 대상으로 보장 지도 과목, 대상자 선정 방법, 보장 지도 활용 프로그램, 보장 지도 시 어려운 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첫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과목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과목 단위: 빈도(비율)
구분 공통 과목 <국어> 공통 과목 <수학> 공통 과목 <영어> 그 외 실시하지 않음
연구·선도학교 전체(62) 40(64.5%) 43(69.4%) 41(66.1%) 9(14.5%) 16(25.8%)
연구학교(29) 24(82.8%) 25(86.2%) 23(79.3%) 7(24.1%) 3(10.3%)
선도학교(33) 16(48.5%) 18(54.6%) 18(54.6%) 2(6.1%) 13(39.4%)
경험 연차별 1년차(27) 14(51.9%) 17(63%) 14(51.9%) 3(11.1%) 9(33.3%)
2년차(17) 12(70.6%) 12(70.6%) 13(76.5%) 2(11.8%) 3(17.7%)
3년차 이상 (18) 14(77.8%) 14(77.8%) 14(77.8%) 4(22.2%) 4(22.2%)
Download Excel Table

복수 응답 결과, 총 62개교 중 43개교(69.54%)가 <수학>을 선택하고, <영어> 41개교(66.1%), <국어> 40개교(64.5%) 순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보장 지도를 실시하지 않는 학교도 16개교(25.8%)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수학>, <영어> 과목 선택 비율은 연구학교가 선도학교보다 높고, 경험 연차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대상자를 선정하는 방법을 조사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최소 성취수준 대상자 선정 방법 단위: 빈도(비율)
구분 학업 성취율 과목 출석률 학업 성취율+과목 출석률 기타
연구·선도학교 전체(62) 30(48.4%) 0 12(19.4%) 20(32.3%)
연구학교(29) 17(58.6%) 0 6(20.7%) 6(20.7%)
선도학교(33) 13(39.4%) 0 6(18.2%) 14(42.4%)
경험 연차별 1년차(27) 13(48.2%) 0 4(14.8%) 10(37.0%)
2년차(17) 9(52.9%) 0 4(23.5%) 4(23.5%)
3년차 이상(18) 8(44.4%) 0 4(22.2%) 6(33.3%)
Download Excel Table

총 62개교 중 30개교(48.4%)가 학업 성취율로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 성취율+과목 출석률’을 활용해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응답이 12개교(19.4%), 학업 성취율과 과목 출석률을 활용하지 않는 학교가 20개교(3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학교와 선도학교 모두 학업 성취율을 적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응답이 각각 17개교(58.6%), 13개교(39.4%)였으며, 학업 성취율을 적용한다는 비율이 선도학교보다 연구학교가 19.2%p 높게 나타났다. 기타 대상 학생 선정 방법으로 ‘성적과 교과 지도 교사의 판단’,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희망 학생’, ‘학생과 학부모 희망’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활용 프로그램 조사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활용 프로그램 단위: 빈도(비율)
구분 자체 제작한 자료 시·도교육청 개발 자료 교육부 개발 자료 기타
연구·선도학교 전체(62) 31(50%) 14(22.6%) 10(16.1%) 19(30.7%)
연구학교(29) 17(58.6%) 7(24.1%) 2(6.9%) 7(24.1%)
선도학교(33) 14(42.4%) 7(21.2%) 8(24.2%) 12(36.4%)
경험 연차별 1년차(27) 13(48.2%) 6(22.2%) 5(18.5%) 9(33.3%)
2년차(17) 8(47.1%) 5(29.4%) 2(11.8%) 4(23.5%)
3년차 이상(18) 10(55.6%) 3(16.7%) 3(16.7%) 6(33.3%)
Download Excel Table

총 62개교 중 31개교(50%)가 자체 제작한 자료를 활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시ㆍ도교육청 개발 자료 14개교(22.6%), 교육부 개발 자료 10개교(16.1%)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학교와 선도학교 모두 자체 제작한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교육부 개발 자료의 활용 비율은 선도학교가 연구학교에 비해 17.3%p 높게 나타났다. 기타 보장 지도 활용 프로그램으로는 ‘교과별 자율 지도’, ‘문제집 활용’ 등을 제시하였다.

넷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시 어려운 점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시 어려운 점 단위: 빈도(비율)
구분 수업 시수 과다 강사 부족 낮은 학생들 참여율 운영 프로그램 부족 교사들의 이해 부족 기타
연구·선도학교 전체(62) 28(45.2%) 9(14.5%) 38(61.3%) 11(17.7%) 10(16.1%) 22(35.5%)
연구학교(29) 15(51.75) 5(17.2%) 24(82.8%) 8(27.6%) 6(20.7%) 5(17.2%)
선도학교(33) 13(39.4%) 4(12.1%) 14(42.4%) 3(9.1%) 4(12.1%) 17(51.5%)
경험 연차별 1년차(27) 10(37.0%) 3(11.1%) 12(44.4%) 4(14.8%) 4(14.8%) 13(48.2%)
2년차(17) 8(47.1%) 5(29.4%) 13(76.5%) 4(23.5%) 3(17.7%) 3(17.7%)
3년차 이상(18) 10(55.6%) 1(5.6%) 13(72.2%) 3(16.7%) 3(16.7%) 6(33.3%)
Download Excel Table

총 62개교 중 38개 학교(61.3%)가 보장 지도 시 어려운 점으로 ‘낮은 학생들 참여율’에 응답했다. 이어서 ‘수업 시수 과다’ 28개교(45.2%), ‘운영 프로그램 부족’ 11개교(17.7%), ‘교사들의 이해 부족’ 10개교(16.1%), ‘강사 부족’ 9개교(14.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낮은 학생들 참여율’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선도학교에 비해 연구학교가 40.4%p 정도 높게 나타났다. 기타 보장 지도 시 어려운 점으로 ‘다교과 지도’, ‘학생 인식 부족’,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과목의 내용 이해’, ‘학부모 이해 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IV. 학교 구성원의 교수·학습 및 평가 분석

단위학교 구성원들의 고교학점제 운영 과정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인식 및 준비 상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 참여 학교(68교) 및 매칭 학교(일반학교 비교집단 62교)의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이다.

1. 교수·학습 및 평가 방식의 변화

교사에게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와 평가 역량 제고를 위해 어느 정도로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해 5점 만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표 13>과 같이 나타났다.

표 13.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와 평가 역량 제고를 위한 교사의 노력 단위: 평균(표준편차)
구분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노력 평가 역량 제고 노력
연구 참여 학교 연구 참여 학교 (955명) 3.90(0.90) 3.89(0.89)
연구·선도학교 경험 1년차 (417명) 3.88(0.89) F(2,902)= 1.316 3.85(0.90) F(2,902)= 2.444
2년차 (264명) 3.92(0.89) 3.93(0.89)
3년차 (224명) 4.00(0.91) 4.01(0.85)
연구·선도학교 (905명) 3.92(0.90) t(723.95)= 7.686*** 3.91(0.89) t(742.66)= 7.426***
매칭 학교 매칭 학교 (400명) 3.49(0.95) 3.51(0.91)

*** p< .001

Download Excel Table

전체적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노력 정도에서는 3.90점으로 낮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 연구·선도학교 경험 연차로 비교할 때 3년차 학교 교사(4.00점)의 응답이 1, 2년차 학교 교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연구·선도학교 소속 교사(3.93점)가 매칭 학교 소속 교사(3.49점)에 비해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위한 노력을 더하고 있고, 이러한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평가 역량 제고를 위한 노력 정도를 조사한 결과, 본 연구 참여 학교 전체는 3.89점으로 낮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 연구·선도학교 경험 연차로 비교할 때 3년차 학교 교사(4.01점)의 응답이 1,2년차 학교 교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연구·선도학교 소속 교사(3.89점)가 매칭 학교 소속 교사(3.51점)에 비해 평가 역량 제고를 위해 노력을 더하고 있고, 이러한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교사와 학생에게 수업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5점 만점 척도로 조사 결과는 <표 14>와 같이 나타났다.

표 14. 수업 분위기의 긍정적 변화 정도 단위: 평균(표준편차)
구분 교사 학생
연구 참여 학교 연구 참여 학교 3.44(1.12) 3.52(1.00)
연구·선도학교 경험 1년차 3.45(1.06) F(2,902)= 0.116 3.51(0.96) F(2,2094)= 0.787
2년차 3.49(1.12) 3.57(1.03)
3년차 3.45(1.22) 3.56(1.03)
연구·선도학교 3.46(1.12) t(782.31)= 7.858*** 3.55(1.01) t(1476.47)= 2.149*
매칭 학교 매칭 학교 2.94(1.09) 3.45(0.95)

* p< .05,

*** p< .001

Download Excel Table

교사에게 수업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 연구 참여 학교 전체는 3.44점으로 나타났다. 연구·선도학교 경험 연차로 비교할 때 2년차의 응답(3.49점)이 1, 3년차 교사의 응답(3.45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연구·선도학교 소속 교사(3.46점)가 매칭 학교 소속 교사(2.94점)에 비해 수업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생에게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함으로써 수업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 연구 참여 학교 전체는 3.52점으로 나타났다. 연구·선도학교 경험 연차로 비교할 때 2, 3년차 학교 학생의 응답(3.57점, 3.56점)이 1년차 학교 학생의 응답(3.51점)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연구·선도학교 소속 학생(3.55점)이 매칭 학교 소속 학생(3.45점)에 비해 수업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점수 차이는 교사와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2.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과목과 이수 기준

교사에게 2025년 고교학점제가 도입될 때,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가 필요한 과목에 대한 조사 결과 <표 15>와 같이 나타났다.

표 15. 교사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필요 과목 단위: 빈도(비율)
구분 공통 과목 국어, 영어, 수학 과목 공통 과목 전부 공통 과목 전부 + 선택 과목 일부 공통 과목 전부 + 선택 과목 전부 차이 검증
연구 참여 학교 연구 참여 학교(955명) 457(47.9) 260(27.2) 155(16.2) 83(8.7)
연구·선도학교 경험 1년차(417명) 185(44.4) 117(28.1) 73(17.5) 42(10.1) χ2(6)= 9.350
2년차(264명) 122(46.2) 73(27.7) 45(17.0) 24(9.1)
3년차(224명) 126(56.3) 53(23.7) 31(13.8) 14(6.3)
연구·선도학교 (905명) 433(47.8) 243(26.9) 149(16.5) 80(8.8) χ2(3)= 2.626
매칭 학교 매칭 학교 (400명) 191(47.8) 120(30.0) 62(15.5) 27(6.8)
Download Excel Table

교사들은 보장 지도가 필요한 과목으로 ‘공통 과목 중 국어, 영어, 수학 과목’(47.9%)을 가장 많이 택하였다. 다음으로 ‘공통 과목 전부’(27.2%)와 ‘공통 과목 전부 + 선택 과목 일부’(16.2%) 순으로 선택하였고, 그에 비해 ‘공통 과목 전부 + 선택 과목 전부’는 8.7%로 다소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보장 지도가 필요한 과목에서는 연구·선도학교 경험 연차나 매칭 학교에서도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교사에게 해당 과목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후 이수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표 16>과 같이 나타났다.

표 16. 교사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후 이수 기준 단위: 빈도(비율)
구분 보충이수 출석률 보충이수 출석률 + 과제 학습 이행 학업 성취 평가 결과 보충이수 출석률 + 학업 성취 평가 결과 차이 검증
연구 참여 학교 연구 참여 학교(955명) 177(18.5) 486(50.9) 94(9.8) 198(20.7)
연구·선도학교 경험 1년차(417명) 70(16.8) 216(51.8) 44(10.6) 87(20.9) χ2(6)= 4.845
2년차(264명) 43(16.3) 139(52.7) 24(9.1) 58(22.0)
3년차(224명) 51(22.8) 107(47.8) 21(9.4) 45(20.1)
연구·선도학교 (905명) 164(18.1) 462(51) 89(9.8) 190(21.0) χ2(3)= 0.653
매칭 학교 매칭 학교 (400명) 76(19.0) 199(49.8) 44(11.0) 81(20.3)
Download Excel Table

보장 지도 후 적절한 이수 기준으로 ‘보충이수 출석률 + 과제학습 이행’(50.9%)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보충이수 출석률 + 학업 성취평가 결과’(20.7%), ‘보충이수 출석률’(18.5%) 순으로 나타났고, ‘학업 성취 평가 결과’는 9.8%로 다소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연구·선도학교 경험 연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매칭 학교의 경우에도 이수 기준으로 ‘보충이수 출석률 + 과제 학습 이행’(49.8%)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연구·선도학교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V. 심층 면담 결과 분석

단위학교에서 고교학점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의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교사와 학생의 심층 면담 분석 결과이다.

1. 교사의 교수·학습/평가 면담

교수·학습 및 평가 영역과 관련한 교사 심층 면담을 통해 고교학점제 운영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 태도, 수업 및 평가의 방법과 어려움 등에 대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면담 내용을 정리한 결과, ‘긍정적인 수업 태도와 다양한 수업 및 평가 방법의 적용’,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교육적 효과와 현실적인 장벽’의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가. 긍정적인 수업 태도와 다양한 수업 및 평가 방법의 적용

면담 참여 교사들에게 고교학점제 시범학교 운영 경험을 토대로 수업 및 평가의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과 어려운 점, 개선 및 지원 요구 사항 등을 질문하였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면담 참여 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따른 수업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학생 스스로 선택한 과목에 대한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언급하였다. 교사들은 고교학점제의 취지에 맞게 학생들이 직접 과목을 선택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열의와 더불어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하고 있고, 자신의 진로에 부합하는 과목을 선택함으로써 평가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내용 등을 언급하였다.

고교학점제에 부합하는 수업과 평가라는 것은 결국 학생의 수요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고, 진로와 관련된 교과목을 수강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학생 자신의 진로 방향에 맞는 과목이기에 수업 참여도와 평가에 참여하는 적극성이 높습니다.

- G고 교사

둘째, 선택 과목의 취지에 맞는 다양한 수업 방법의 적용을 언급하였다. 예를 들면, 소인수 과목이나 공동교육과정 같은 경우에는 평가가 절대 평가인 성취평가제 방식으로 주로 이루어지다보니까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둠별 협력 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수업 변화에서 긍정적인 측면은요, 우선 소인수 과목이나 공동교육과정 같은 경우는 평가가 절대 평가 방식으로 이뤄지다 보니까 학생들이 수업에 임하는 자세나 그리고 선생님들도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식 위주 수업이 아니라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학생들하고 같이 모둠별로 협력 활동이나 이런 것들을 다양한 형태로 진행이 가능한 부분에서는 긍정적인 부분이 있었고요.

- M고 교사

셋째, 성취평가제를 적용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언급하였다. 면담 참여 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따른 평가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진로 선택 과목의 경우 상대평가인 등급제 평가가 아니라 절대평가인 성취평가제를 적용하여 3단계로 평가하기 때문에 수행평가, 프로젝트 평가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과학사 과목은 반면에 이제 진로선택 과목이고 이것은 수능형 수업이 아니잖아요. 그래서 조금 더 많은 자료들을 찾아보게 되고, 수업 시간에 책 읽는 것도 같이 할 수 있게 되고, 수행평가들을 조금 더 다양화해서 할 수 있는 게 있더라고요. 아이들도 그 시간 내에 어떤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게 되고 일회성이 아니라 상시로 하게 되고 프로젝트형 평가가 가능하고 그게 마지막에 어떤 결과물로 나오니까 아이들도 만족스럽고 저도 이게 진짜 너무 재밌는 수업이라고 느끼게 되더라고요.

- L고 교사

넷째, 다과목 수업을 준비하는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교사들은 고교학점제의 성격에 따라 학생들이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여러 과목을 가르치게 되는 상황에서, 한 과목을 가르칠 때 보다 교재 연구를 포함한 수업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가 되기 때문에 학생 관련 지도 등의 다른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수업 준비도 제가 1개 과목을 가르칠 때는 똑같이 16시간이라고 해도 그 과목의 수업 준비만 하면, 한 과목 수업 준비만 하면 됐었는데, 지금은 2개 과목을 하다 보니까 똑같은 수업 시간이어도 저는 이제 이 과목 수업 준비도 해야 되고 저 과목 수업 준비도 해야 되는데 제가 국어 선생님이라고 해서 수업 준비를 안 하고 그냥 갈 순 없는 거거든요. 가르치는 게 엄연히 다른 과목이기 때문에 시간이 굉장히 많이 소요가 되는 거 같아요.

- B고 교사

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교육적 효과와 현실적인 장벽

면담 참여 교사들에게 2023년부터 고등학교 공통 과목 국어, 수학, 영어에 대해 실시하는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긍정적인 측면과 어려운 점, 개선 및 지원 요구 사항 등을 질문하였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보장 지도의 긍정적인 측면은 학업적 역량 제고를 위한 학습 기회 제공이라고 언급하였다. 아래의 면담 내용처럼 학업적 역량이 부족한 학생들에 대한 관심도 제고와 일대일 지도를 통한 맞춤형 지도 기회 제공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학업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된다고 언급하였다.

보장 지도를 하다 보니까 되게 폭넓게 하기 때문에 그 10% 미만의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거부감 없이 좋아합니다. 그래서 하위권 학생들 중에 중학교 공부를, 이렇게 일대일로 배워본 공부 방법에 대해 아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데 학교에 가서 공부는 열심히 하고 싶었는데, 어려운 일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알려 주고. 학생들이 굉장히 동기부여가 많이 된다고 합니다.

- H고 교사

둘째, 보장 지도 대상자 선정과 대상 학생들의 참여율 제고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학력이 낮은 학생들은 한 과목이 아니라 여러 과목에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받을 가능성이 많을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 과목에서 보장 지도를 받는 학생의 경우 교사의 지도 일정을 짜는 것에 대한 어려움은 물론 해당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피로감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저희 학교는 1학년에서는 국영수 과목에서 하고 있고, 2학년에서는 사탐, 과탐에서 한 과목씩을 시범으로 해 봤는데요. 하위 수준인 학생들을 선발해 낼 때 그 학생들이 너무 겹치는 거예요. 이 학생은 국어도 수준이 떨어지고 수학도 떨어지는데 영어도 떨어지는 거예요. 근데 그 학생들에 대해서 선생님들이 겹치는데 그래서 이수 지도를 할 때 그 스케줄 잡는 게 너무나 어렵고, 그 친구들은 선생님들이 모두 다 이렇게 우리 같이 할까 이렇게 할 때 같이 참여하지만 그거에 대한 약간 피로감을 느끼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L고 교사

셋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효율성 제고 방안을 언급하였다. 대부분의 면담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보장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아직 확산되지 않았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각 시‧도교육청의 보장 지도의 의미와 지도 방향에 대한 안내와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한 지침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보장 지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과 기초학력평가 대상자와 중첩되지 않게 운영하는 지침이 필요하다는 의견, 지역 교육청 단위에서 일괄적인 보장 지도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우선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는 올해 처음 저희 학교가 실시를 하고 있는데요, 1학기 때는 계획을 좀 세웠는데 실질적으로 운영되기는 어려웠어요. 선생님들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 인식이 좀 부족해서 이걸 어떻게 운영을 해야 되고 또 어떤 식으로 진행을 해야 되는지 구체적인 부분이 없어가지고 계획은 수립을 했지만, 실제로 운영을 되지 못했던 부분이 있어요.

- M고 교사

2. 학생들의 교수·학습 및 평가 면담

면담 참여 학생들에게 고교학점제 운영과 관련하여 학교의 수업 및 평가 방식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는지를 질문하였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은 흥미로운 수업과 밝아진 수업 분위기에 대해 만족하였다. 면담 참여 학생들은 고교학점제에서의 수업 방식에서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과목 또는 진로에 관련되는 과목의 선택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동기부여가 되어 이전보다 수업 분위기가 좋아졌다고 언급하였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에 관심이 많은 학생의 경우에는 학교에서 인공지능 관련 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하여 진로를 결정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고, 인공지능 관련 내용이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열의 있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인 측면으로 꼽았다.

내신 성적이 1~9 등급제로 나오는 게 아니다 보니까 학생들이 수업을 들으면서 일단 좀 부담이 덜 하니까 적극적으로 선생님께 이제 질문을 하기도 하고, 아니면 선생님들이 수행평가로 이제 모둠활동을 진행하기도 해요. 그런 부분에서 모든 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학생들끼리 소통을 하고 선생님과도 소통을 하면서 조금 더 밝은 분위기의 수업이 연출이 되는 거 같아서 그런 부분에서 굉장히 만족했던 거 같아요.

- F고 3학년 학생

둘째, 다양한 수업 활동과 연계된 수행 평가에 만족한다고 언급하였다. 학생들은 실생활과 관련된 수업과 연계하여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의견을 다수 제시하였다. 예를 들면, 화학Ⅰ 과목 수업에서 조사와 실험을 포함한 다양한 수업 활동을 진행하면서 수행평가와 효과적으로 연계를 하는 평가 방식은 진로 설계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다. 또한 진로 선택 과목은 주로 수행평가를 위주로 절대 평가를 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학생들의 부담이 덜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지만, 반면에 학생 수가 적은 소인수 과목의 경우 좋은 등급을 얻기 어렵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예시를 하나 들어 보면 내가 지금 화학Ⅰ이라는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데 화학Ⅰ의 수행평가에서는 탄소화합물에 관련된 조사와 00 제조 실험을 했었는데 탄소화합물은 저희 주변에서 굉장히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그걸 저의 진로 분야와 연결해서 조사하고 발표함으로써 작은 원소인 탄소가 어떻게 이렇게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생각도 해 보게 되었고, 그 수행평가에 실험을 포함함으로써 00 제조라는 것은 정말로 화학실험에서 정말로 기초적인 부분을 다루는 거거든요.

- L고 2학년 학생

VI.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에서는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대비하여 현재 학교현장에서 고교학점제가 교수·학습 및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또 어떠한 정책 지원이 필요한 지에 대하여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하여 모니터링 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크게 수업 및 평가의 변화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로 분류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수업 및 평가의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첫째, 고교학점제가 수업 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근거는 교사와 학생 모두 설문 조사에서 연구 참여 학교가 일반 학교 보다 수업 분위기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교사와 학생의 면담에서도 제시했듯이 학생은 자신의 진로 또는 흥미와 관련된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되고, 교사는 선택 과목의 취지에 맞는 다양한 수업 방법 또는 평가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고교학점제가 교사의 교수·학습의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교사의 설문 조사에서도 학생들이 다양한 과목을 선택함에 따라 온·오프라인 블랜디드 러닝, 프로젝트 수업 등으로 교수·학습 방법이 다양해졌고, 2025년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을 준비하기 위해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고교학점제를 경험하고 있는 교사가 일반 학교 교사보다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노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로 더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교학점제가 교사의 교수·학습의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고교학점제가 평가 역량 제고 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교사의 설문조사에도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의 취지에 맞게 수행평가가 확대가 되고 평가 방식을 다양화하거나 객관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교학점제를 경험하고 있는 교사가 일반 학교 교사보다 평가 역량 제고를 위한 노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로 더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교학점제가 교사의 평가 역량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제 교사와 학생의 면담에서도 성취평가제를 적용하는 선택 과목의 경우 수행평가와 프로젝트 평가 등을 다양하게 실시함으로써 학생의 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평가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부(2023)에서도 모든 선택과목의 석차등급 병기를 폐지하고 성취평가제를 적용한다고 발표한 만큼 이러한 평가 전문성 제고에 대한 노력은 고교학점제를 안착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운영과 관련된 연구 결과이다.

첫째, 연구·선도학교에서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과목은 주로 공통 과목인 <국어>, <영어>, <수학>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202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2023년부터 공통 과목(국어, 수학, 영어)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하게 됨에 따라 준비하는 과정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장 지도 대상 학생 선정 방법으로는 ‘학업 성취율(48.4%)’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이어서 ‘학업 성취율 + 과목 출석률(19.2%)’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교과 교사의 판단’, ‘학생과 학부모 희망’ 등의 기타 의견(32.3%)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부(2023)에서 제시한 과목 이수 기준(학업 성취율 40%, 과목 출석률 2/3 이상)적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를 제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후 적절한 이수 기준으로는 ‘보충이수 출석률 + 과제 학습 이행’을 가장 선호하고, 보장 지도 이후의 ‘학업 성취 평가 결과’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출석률과 과제 학습 이행은 이수 기준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반면에 이수가 끝난 후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이수 기준은 다소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활용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연구·선도학교의 50% 정도가 자체 제작한 자료를 활용하고, 이어서 시·도교육청과 교육부의 개발 자료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장 지도에 관련된 교수·학습 자료를 자체 제작하는 것도 교사의 업무 부담에 영향을 주는 것이니만큼 교육부 또는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보장 지도 교사의 업무가 경감될 수 있도록 공통 과목 및 선택 과목의 온라인 예방·보충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고교학점제에서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효과적인 측면에서는 학업 역량이 부족한 학생들에 대한 학습에 대한 관심도 제고, 맞춤형 지도 기회 제공, 기초학력 보장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생들의 낮은 참여율, 여러 과목에 동시에 보장 지도 대상이 된 학생, 학습 의욕이 낮은 학생으로 인한 보장 지도의 어려움도 제기되었다. 따라서 보장 지도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보장 지도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하여 리플릿과 워크북 등을 활용한 다양한 홍보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설문조사와 면담 결과, 학교 현장에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로 설문 조사에서도 고교학점제의 연구·선도학교의 경우에도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아직 실시하지 않는 학교도 1/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장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보장 지도의 필요성, 지도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연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2. 제언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고교학점제 취지에 부합하는 교사의 교수·학습 및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설문 조사와 면담 결과, 고교학점제 운영 경험이 부족한 일반학교 교사의 경우 교수·학습 및 평가의 전문성 신장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교학점제를 시범 운영하는 학교의 교사의 경우에도 고교학점제의 취지와 목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교수·학습 및 평가의 전문성 신장에 소극적인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은희 외(2019)에서도 교과 이수 기준 적용에 따른 교과 학습 질 관리 및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의 필요성을 제안했듯이,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고교학점제 운영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선택 과목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등에 관련된 연수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진행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과 학부모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홍보가 필요하다. 즉 ‘낮은 학생 참여율’로 인하여 교사들이 보장 지도의 어려움을 겪는 만큼 학생과 학부모에게도 보장 지도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시도교육청 또는 학교 현장의 노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표 17>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이해와 도달을 위한 운영 방안을 학생과 학부모에게 제시함으로써 보장 지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표 17.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관련 안내 내용(안)
안내 항목 학생 학부모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이해 • 최소 성취수준 이해 및 이수 기준
• 과목 선택과 최소 성취수준 관련성
•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운영 계획
• 최소 성취수준 이해 및 이수 기준
• 자녀의 진로와 최소 성취수준 관련성
최소 성취수준 도달을 위한 운영 방안 • 과목별 평가 계획
• 과목별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예방 프로그램 안내
• 과목별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프로그램 안내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운영 계획
• 과목별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프로그램 안내
Download Excel Table

셋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어떤 학생이 기초학력 지도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모두 해당되거나. 여러 과목에서 동시에 보장 지도 대상이 되는 경우에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피로도를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지침 또는 방향을 학교 현장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장 지도 담당자의 업무를 경감하기 위해 다른 업무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거나 온라인 예방 및 보충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각 시·도교육청에서 과목별로 보조 교사 인력풀(대학생 멘토 등)의 구축 및 재정지원, 보장 지도에 참여하는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의 지원이 요구된다. 김현미, 김태환(2021)의 연구에서는 최소 성취수준 보장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이승미(2022)의 연구에서도 기초 학력 보장 정책과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간의 구분과, 교사의 업무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한 바 있다. 예를 들면, <표 18>과 같이 최소 성취수준의 행·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지원 효과로 인하여 보장 지도가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이 될 수 있다.

표 18. 최소 성취수준 행․재정적 지원 내용 및 효과
행·재정적 지원 내용 지원 효과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가이드 자료 개발 및 보급
 - 기초학력 지도와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가 중복된 경우
 - 여러 과목에서 동시에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대상이 된 경우
• 최소 성취수준 설정 기준 및 적용 관련 사례
• 온라인, 오프라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자료 개발 및 보급
• 시·도교육청 주관 과목별 보충 지도 과정 개설
• 보조 교사(대학생 멘토 등) 인력풀 구축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교사 인센티브 제공
• 방과 후 예방 지도 교사, 보조 교사 강의 예산 확대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가이드를 활용한 안정적인 학사 운영
• 최소 성취수준 설정 기준 적용의 안정화
• 온라인, 오프라인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자료 활용으로 인한 업무 경감
• 시·도교육청 과목별 보충 지도 과정의 활용으로 수업 부담 경감
• 보조 교사 인력풀 활용을 통한 효과적인 맞춤형 수업 운영 가능
• 예방 지도 및 보장 지도 교사 등의 처우 개선으로 인한 맞춤형 수업의 질 제고
Download Excel Table

Notes

1) 이 논문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2)에서 수행한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현장 실행 모니터링 연구(Ⅰ)(김영은 외, 2022)’의 내용 중 교수·학습 및 평가에 관련된 부분을 발췌 및 재구성한 것임.

참고문헌

1.

교육부(2021).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안)(2022-2024). 2021.8.23.

2.

교육부(2023). 모든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공교육 경쟁력 제고방안. 2023. 6. 18.

3.

김영은, 박진용, 백경선, 이광상, 이미영, 이영미, 허예지(2022).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현장 실행 모니터링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2-4.

4.

김현미, 김태환(2021).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현황 분석을 통한 학생평가 내실화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 967-986.

5.

김혜숙, 이미경, 양윤정, 배주경, 이영미, 김종윤, 박일수, 이승은(2018). 2015개정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8-5.

6.

노은희, 이광우, 김진숙, 신항수, 변희현, 주형미, 김영은, 지영래(2019).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9-3.

7.

박혜영, 김경희, 김유향, 양영자, 김선희, 김현주(2022).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성취평가제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22-8.

8.

배주경, 박소영, 김종윤, 김혜숙, 도종훈, 박윤경, 조진형, 라재주(2019). 2015개정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9-4-1.

9.

이승미, 김미영, 박주현, 손민정, 이광상, 이민형, 임윤진, 조기희, 주형미, 허예지(2022).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책임지도 운영 방안 연구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2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