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과서

단위학교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 지원 프로그램 개발

송낙현1,*, 장민수2,**, 유병구3
Nakhyun Song1,*, Minsoo Jang2,**, Byungku Ryu3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충남대학교 교수
2전주교육대학교 강사
3교육부 교육연구관
1Profess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Part-time Lecturer,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Educational Senior Supervisor, Ministry of Education
*제1저자, songnak@cnu.ac.kr
**교신저자, mini0317@koreatech.ac.kr

© Copyright 202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05, 2021; Revised: Oct 29, 2021; Accepted: Nov 10, 2021

Published Online: Nov 30, 2021

요약

이 연구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과서 개발 절차를 구체화하고, 질 높은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의 지원 표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교과서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위학교의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 지원 프로그램 영역은 교과서 개발 지원, 연수 및 세미나, 교과서 개발 컨설팅, 교과서 개발 상담, 교과서 수정 보완 등 관리 지원으로 구분되었다. 각 프로그램 영역별 세부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개발 지원영역의 프로그램은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 교과서 개발 지원 디자인(LAB) 운영이다. 둘째, 연수 및 세미나 영역의 프로그램은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향상과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전문가 양성과정(기초),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전문가 양성과정(심화),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교과서 모형 개발 세미나,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이다. 셋째, 컨설팅 영역의 프로그램은 교과서 개발 컨설팅,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이다. 넷째, 상담 영역의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교과서의 저작권, 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이다. 다섯째, 수정, 보완 등 관리 지원영역의 프로그램은 교과서 정보서비스 제공,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 교과서 수정·보완 지원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ine the process of developing textbooks at the unit school level and to develop support standards programs for professional institutions for developing high-quality free-issuance textbooks.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ve textbook experts were conducted two-time target group interviews (FGI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reas of the program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free issued textbooks at unit schools were divided into management support such as textbook development support, training and seminars, textbook development consulting, textbook development consulting, and textbook modification supplementation. The detailed programmes for each program area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s in the textbook development support area were the textbook development idea contest, textbook development support, textbook development pool provision system, and textbook development support design(LAB). Second, programs in the field of training and seminars were curriculum improvement, curriculum development, school-level textbook development specialist training(Basic), school-level textbook development specialist training (deepening), textbook development, copyright, textbook model development, and textbook efficient use. Third, programs in the consulting area were matching consulting such as textbook development consulting, textbook copyright consulting, new textbook use consulting, and textbook development publishing institutions. Fourth, programs in the counseling area include counseling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counseling on online and offline experts by the stage of textbook development, and counseling on dispute response such as copyrights and portrait rights of textbooks. Fifth, programs in management support areas such a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were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for textbooks, on-site monitoring of textbooks, and supporting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extbooks.

Keywords: 단위학교; 자유발행제; 교과서; 교과서 전문기관; 교과서 개발 프로그램
Keywords: unit school; free issue system; textbooks; textbook specialized institutions; Textbook Development Program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구체화하는 법령에서 정한 공인된 교수학습자료이다. 교과서는 학교 수업의 중심이고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에서 그 영향력이 상당하여 오류가 있을 경우 교육 공급자와 수요자는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질 높은 교과서는 학교 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본 토대라고 할 수 있다.

학교의 교육환경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체제로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의 학교 교육은 그 기능이 종래의 전통문화 계승과 지식전달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구성하고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능으로 변화되면서 교수학습과 평가방법의 혁신적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 교육의 변화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있을 때마다 정부와 시·도 교육청 등은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의 변화를 모색하였다.

기존의 교과서는 국가 차원에서 직접 개발하거나 민간출판사의 검정 및 인정도서의 형태로 개발되었으나, 최근 교과서 개발은 제도적 개선과 더불어 점진적으로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교육부(2018)는 학습자 중심의 미래형 교과서 개발을 목표로 초등 국정교과서를 검정교과서로 전환하고, 검정심사 절차를 간소화하는 검정심사제도의 개선과 학교장 개설과목 및 고교 전문교과 운영을 통해 학생 선택권이 보장되는 자유발행제의 도입과 추진 등의 발행체제를 개선을 통해 다양한 교과서 발행을 지원하고 있다(교육부, 2018, pp. 2-7). 이와 더불어, 학교가 학습자의 진로에 기반한 다양한 학습경험을 지원하는 고교학점제가 2020학년도에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에 이미 도입되었고, 2022년도에는 특성화고, 2025년도에는 일반계고등학교에 도입될 예정이다(교육부, 2021, p. 35). 이러한 교육적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단위학교는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경험이 가능하도록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중요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학습자의 다양한 교과목 선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경험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교육 실현을 통해 교육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교과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각 단위학교에서는 교과서 개발을 경험하거나 개발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교사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단위학교 수준의 학습자 수요 중심의 교과서 개발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고시한 인정도서 외의 학교가 자체 개발한 인정도서가 발행되기도 하지만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전문가나 전문기관의 지원이 없이 질 높은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을 담보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단위학교의 교과서 개발자는 자유발행제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교과서 개발과 교과서의 질 제고를 위해 기획부터 개발과정 및 활용까지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원을 받을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 등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교과서 전문기관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단위학교 수준에서 질 높은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 교과서 전문기관을 통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자유발행제의 확대와 고교학점제의 도입 등에 따른 학습자 중심의 학교 교육을 위해 단위학교 수준에서 질 높은 자유발행 교과서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의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 지원 프로그램의 영역 구성

둘째, 교과서 전문기관의 지원영역별 프로그램 개발

셋째, 교과서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별 세부 항목 개발

3. 용어의 정의
가. 교과서 전문기관

현재까지 교과서 편찬은 출판사 중심으로, 교과서 관련 연구와 심사 등은 주로 관련 정부차원의 전문기관이나 연구기관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향후 교과서 자유발행제의 확대, 고교학점제 등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에서 단위학교 중심의 교과서 개발 활성화를 고려할 때 실제 교과서 집필 및 편찬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기관의 역할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의 교과서 전문기관은 교과서 집필 및 편찬 등에 참여하는 단위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교과서 개발 전문성 제고 연수, 풍부한 콘텐츠 제공, 교과서 개발의 지원 등을 중심으로 교과서 집필자의 효율적인 교과서 개발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기준을 구현한 교수학습 자료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 내용에 관한 일반적이고 공통된 기준(교육부, 2015b)을 의미하며, 이 기준에는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방법과 운영, 평가 등에 관한 지침이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지역의 특수성과 각급 학교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노선숙, 조성민(2007)은 학교 중심 교육과정을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가 학생들의 학습 프로그램을 기획·설계·적용·평가하는 교육과정”(p. 81)이라고 정의하며, 우리나라는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교육과정 결정권의 분권화’를 계기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있어서 현장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것과 학교의 실정에 따라 교육과정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다양화와 적합화를 강조하게 되었으며, 교육과정 연구에서 ‘학교단위’, ‘학교중심’,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논의가 부각되었다고 하였다(pp. 81-83).

교육부(2019)는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최근의 2019년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까지 학교 현장 교원의 교과서 개발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교과연구회’ 지원,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정책의 결과는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의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 발표 이후 종래의 국정, 검정 중심의 교과서 발행에서 인정으로 대폭 전환되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교과서 발행 정책의 변화는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함이고, 다양해진 학생의 요구를 단위학교에서 효율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부터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14조 3항에 따라 심의 없는 인정도서, 학교장 개발 인정도서 등 다양한 학교 수준의 교과서가 개발되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었고 교사들이 제작한 학습자료나 시중의 일반 서적도 인정 절차를 거치면 위 규정에 근거하여 교과서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 교과서 자유발행제 정책

정부가 교과서 자유발행제를 제안한 것은 5·31 교육개혁 방안에서였다. 이 방안에서는 학생의 능력, 흥미와 진로 등에 따른 일반계고 선택중심, 수준별 교육과정 체제에 따른 학생 개인별 교육과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초중등학교 모든 교과서의 자유발행제를 지향토록 하였다(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1996, pp. 40-49). 이후, 교육부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용 도서 구분 고시에서 민주적 기본 질서에 위배되거나 특정 정당·종교를 지지하여 교과용 도서로 부적당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교과용 도서 심의회를 거치지 않는 ‘심의 없는 인정도서’를 지정하기도 하였으며, 고등학교의 교과용 도서로 주로 실업계고등학교의 전문교과와 예체능 관련 교과목 및 특목고의 일부 교과로 77개 과목이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pp. 1-7). ‘심의 없는 인정도서’는 시중에 판매되는 민간발행사의 도서 중에서,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재를 교과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현재 자유발행제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교육부(2011)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입각하여 ‘창의·인성교육에 적합한 현장 실생활 중심의 교과용도서 개발’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질 높은 교과서 편찬을 추진하였다. 한편, 인정도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45%였던 것을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71.7%까지 확대하였고, 교과서의 쪽수, 판형 및 색도의 외형체제를 편찬기관이 자율로 정하도록 하였다(교육부, 2011; 교육부, 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는 핵심성취기준 중심, 질 제고 및 관리 체제 강화, 검인정 체제를 개편하도록 하였다(교육부, 2014). 이후 교과서는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 완결학습 체제 마련’(국정과제 68-3)에 따라 학습 부담 경감과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 조성 등의 개발 방향에 집중하였다. 이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정도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71.7%에서 73.7%로 다소 확대되었다(교육부, 2015a). 이때,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Ⅱ의 실무과목의 교과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여 개발한 학습교재인 ‘학습모듈’을 별도의 인정신청 없이 인정도서로 선정·사용할 수 있도록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였다(교육부, 2015b). 이로써 인정심의가 없는 교과서가 지속적으로 학교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보였다.

최근 교육부(2018)는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을 통해 교과서 발행 체제의 다양화와 자율화를 위한 규제 완화 및 교과서 선택의 민주성 보장, 창의적 교과서 개발의 지원, 학교 수업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담보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과서 자유발행체제의 도입 근거를 마련하였다. 최근에는 ‘정부 협업 교과서 개발 계획’에 따라 2022년까지 총 60종의 교과서 개발을 추진하면서 자유발행 교과서 편찬을 확대하고 있다(교육부, 2021. 2. 4.). 또한, 학습자의 진로에 기반한 다양한 학습경험의 기회 제공 등 고교교육의 근본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고교학점제 도입 예정으로 선택 과목이 다양화됨에 따라 단위학교의 교과서 개발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 교과서 자유발행제의 선행연구

우리나라의 교과서 자유발행제 연구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다양한 학습경험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 등을 통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곽병선, 2000; 김정호, 2000; 김만곤, 2003; 곽병선 외, 2004; 김재춘, 김재현, 2004; 박제윤 외; 2018). 이들 연구에서는 자유발행 교과서는 점차 수요자의 판단에 의한 경쟁력을 가지면서 창의적 교과서 특성을 가질 것이며(김정호, 2000), 국가가 주관하는 교과서 발행은 학생의 다양성과 창의성 함양에 한계가 있어 교과서 자율발행제의 점진적 도입(곽병선 외, 2004)과 자유발행제 교과서 도입에서 상업주의에 의한 외형체제에 치우친 교과서, 대형 출판사의 독과점 등의 최소화 방안 강구를 제시하고 있다(김만곤, 2003). 특히, 자유발행에 의한 교과서는 세계적 추세로 학습자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 함양이 가능하도록 하며 교사들의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미래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박제윤 외, 2018), 최근에는 교과서의 완전한 자유발행제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교육평론가 이범은 ‘교과서 자유발행은 교사가 직접 교과서를 집필함으로써 수업과 평가의 기준이 되는 것, 즉 교사가 교육의 주체가 됨으로써 수업의 다양성과 수업·평가의 밀착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콘텐츠 오픈 마켓’의 온라인 공공 플랫폼을 통한 전략을 제시하였다(프레시안, 2020. 12. 11.).

교과서 자유발행제에 따른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한 전문기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박창언(2019)은 1992년 ‘교육법 제157조에 관한 헌법소원’에서 헌법재판소가 판시한 ‘자유발행 교과서가 학생들의 창의력 제고, 상황 변화에 능동적 대처, 교사와 학생의 교재 선택권 보장 등(헌제 1992. 11. 12. 89헌마88)’을 언급하면서 자유발행 교과서의 장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자유발행 교과서의 질 제고를 위한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면서 ‘교육청이나 출판계와 독립된 전문기관을 두어, 사용자 민원의 전문적 지원, 현재 교과서 모니터링의 통합, 교과서 개발에 대한 피드백, 교과서 행정을 포괄하는 체계적인 질 관리’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III. 연구방법

이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학교 교육을 위한 교과서 자유발행제의 도입 확대에 따라 단위학교의 교과서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및 교과서 관련 정책과 현안을 분석하고 지역 및 단위학교가 주도하는 교과서 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과서 전문기관이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 표적집단면접(FGI)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1. 연구의 방법 및 절차

연구의 목적인 단위학교의 교과서 개발단계와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도출하기 위해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로, 1단계에서는 코로나19 시대의 상황에 따른 교육환경의 변화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과 국내·외 교과서 발행제도와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과 현안, 교과서 자유발행제, 학교 수준 교과서의 개발 현황, 교과서 개발 절차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초수준의 단위학교 교과서 개발 프로그램을 도출하였고, 이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FGI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FGI 질문지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전문가 검토를 거쳐 수정을 하였다. 2단계에서는 FGI 전문가 선정 기준을 마련하여 전문가를 구성하였고, FGI를 실시하여 단위학교의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2단계를 통하여 도출된 단위학교의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별 세부 프로그램을 최종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단위학교의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주요 단계와 절차는 [그림 1]과 같다.

jce-24-4-129-g1
그림 1. 연구 주요 단계와 절차
Download Original Figure
가. 표적집단면접(FGI)

표적집단면접(FGI)은 연구자들이 선정한 주제에 대해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면서 해당 주제에 대한 이해와 의미를 보다 깊고 폭넓게 도출할 수 있다(Krueger & Casey, 2015). Krueger & Casey(2009)는 포커스 그룹에 대한 최적의 참가자 수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명에서 10명 사이가 되며, 이는 참가자 수가 많을 경우, 다양한 관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무질서하거나 초점을 흐리지 않을 정도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하고, 줌(zoom) 화상회의를 통한 온라인 대화 방식을 적용했을 때 연구주제에 따른 인터뷰 질문과 응답의 복잡한 정도, 질문의 양, 참여자의 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질문에 대한 응답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서면으로 인터뷰 질문을 하여 응답하는 방식을 선정하였다.

FGI는 질문지 개발 단계, 리크루팅 단계, 실시 단계, 분석 단계의 4단계로 진행하였다. 준비단계에서는 질문지를 개발하고, 리크루팅 단계에서는 전문가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전문가를 섭외하였다. 실시 단계에서는 연구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FGI를 2회에 걸쳐 서면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FGI 결과를 종합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FGI 단계별 진행 절차는 [그림 2]와 같다.

jce-24-4-129-g2
그림 2. FGI 단계별 진행 절차
Download Original Figure

FGI 질문지는 교과서 자유발행 관련 정책과 교과서 개발 등과 관련된 문헌 등을 분석하여,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을 설정하였고, 단위학교 수준에서 자유발행 교과서의 개발을 지원하는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도출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여 <표 1>과 같이 구성하였다.

표 1. FGI 질문지 구성
구분 문항 1차 질문 내용 2차 질문 내용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 1 -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지원 5개 영역에 대한 수정 의견 - 1차 FGI 결과에 대한 수정 보완 의견
전문기관 지원 프로그램 2 - 전문기관의 단위학교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의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 보완 의견
전문기관 지원 프로그램별 세부 운영 프로그램 3~24 - 전문기관의 단위학교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의 프로그램별 세부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수정 보완 의견
Download Excel Table

FGI 전문가를 선정하기 위해, 대학을 포함한 초·중고교, 교육 연구기관, 교과서 발행사 등에서 교과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의 3개 전문분야에서 2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자 중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 2개 전문분야 또는 교과서 부문에 20년 이상 종사한 경력을 전문가 선정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전문가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분야 30년 경력의 대학교수 1명, 교과서 관련 박물관장 1명, 전 교과서연구 전문기관 수석전문위원 1명, 고등학교 교장 1명, 전 교과서 발행 출판사 부장 1명 등 총 5명으로 구성하였다. FGI 전문가 집단의 구성 현황은 <표 2>와 같다.

표 2. 표적집단면접(FGI) 전문가 집단의 구성 현황
성명 소속기관 직위 전문분야 전문분야 종사연수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이○○ ○○○○대학교 교수 30년
박○○ ○○○박물관 관장 32년
김○○ 前)○○○○○연구재단 수석연구위원 30년
김○○ ○○고등학교 교장 32년
조○○ 前) ○○출판사 부장 30년
Download Excel Table

FGI는 선정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서면 질문·응답을 이메일 송·수신 방식으로 총 2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FGI의 실시 현황은 <표 3>과 같다.

표 3. FGI 실시 현황
구분 전문가 실시 기간 방법 응답율
FGI 1차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분야에서 20년 이상 종사한 자 5명 2021.02.28. ~ 2021.03. 03. 서면 질의응답 100%
FGI 2차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분야에서 20년 이상 종사한 자 5명 2021.03.06. ~ 2021.03. 08. 서면 질의응답 100&
Download Excel Table

IV. 연구 결과

이 연구의 목적인 단위학교의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서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과서 분야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교과서 개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표적집단면접(FGI)을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FGI에서 단위학교 수준의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5개의 지원 영역과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1차 FGI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한 2차 FGI에서는 지원 영역별 프로그램과 세부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의 수정 의견을 반영하여 전문기관의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과 지원 프로그램, 그리고 지원 프로그램별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1. 단위학교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 및 프로그램

2차례에 걸친 FGI의 실시 결과, 단위학교의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에서 ‘교과서 개발 지원’, ‘연수 및 세미나’, ‘컨설팅’, ‘상담’, ‘수정·보완 등 관리 지원’프로그램으로 도출되었다. 1차 및 2차 FGI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에서 교과연구회를 중심으로 하는 교과서 개발 지원과 ‘연수 및 세미나’ 영역에서 교과서 개발 전문가 단계별 양성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을 이해하여 재구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컨설팅’, ‘상담’, ‘수정‧보완 등 관리 지원’ 영역에서는 전문가 대부분이 연구자가 제시한 지원 영역별 프로그램에 대체적으로 동의하였다.

단위학교의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별 프로그램은 5개 영역별 총 21개의 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전문가들은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에서는 ‘ 교과연구회 지원’을 ‘②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으로 수정과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이라는 항목을 추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수 및 세미나’ 영역에서는 ‘ 교육과정 문해력 향상과정’을 ‘①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향상과정’으로 수정하고,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컨설팅’ 영역에서는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과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이라는 항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상담’ 영역에서는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지원’ 항목에 통일성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상담 지원’을 ‘상담’으로 수정하고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과 ‘교과서의 저작권·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이라는 항목을 추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수정·보완 등 관리 지원’ 영역에서는 ‘교과서 수정·보완 지원’의 항목을 추가할 것을 제시하였다. FGI를 통해 최종 도출된 단위학교의 자율발행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과 영역별 프로그램은 <표 4>와 같다.

표 4. 단위학교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 전문기관의 지원 영역 및 프로그램
프로그램 지원 영역
교과서 개발 지원 ①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
②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수정)
③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추가)
④ 교과서 개발 디자인 랩(LAB) 운영
연수 및 세미나 ①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항상 과정
②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③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기초)
④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⑤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⑥ 교과서모형 개발 세미나
⑦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
컨설팅 ① 교과서 개발 컨설팅
②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③ 새 교과서 활용 컨설팅
④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
상담 ①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
②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③ 교과서의 저작권, 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
수정·보완 등 관리 지원 ① 교과서 정보서비스 제공
②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
③ 교과서 수정·보완 지원
Download Excel Table
2. 단위학교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 전문기관 지원 세부 운영 프로그램

이 연구의 목적인 단위학교 자유발행 교과서 개발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별 세부 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2회에 걸쳐 FGI를 실시한 결과, 5개의 지원 영역별 프로그램의 하위요소인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가. 교과서 개발 지원영역
1)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

1차 FGI를 실시한 결과, 전문가들은 교과서 심사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과,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및 교과서의 활용에 대한 아이디어 공모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전문가 의견에 터하여,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 세부 프로그램으로 ‘교과서 심사제도 개선방안 공모’, ‘고교학점제 기반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발굴’, ‘교과서와 교육 자료 연계방안 발굴’의 항목을 추가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총 10개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표 5>와 같이 도출하였다.

표 5.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교과서 개발 지원 ①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 ⓐ 교과서 개발체제 개선방안 공모
ⓑ 교과서 모형 개발 공모
ⓒ 교과서 심사제도 개선방안 공모
ⓓ 전문기관 협업 교과서 개발 방안 공모
ⓔ 단위학교의 온·오프라인 연계 수업에 적합한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발굴
ⓕ 고교학점제 기반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발굴
ⓖ NCS기반 실무과목 교과서 활용 아이디어 발굴
ⓗ 스마트 교과서 개발 체제 혁신 공모
ⓘ 모범(사례) 단원 개발 공모
ⓙ 교과서와 교육 자료 연계방안 발굴
Download Excel Table
2)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

교과연구회는 교사들의 교육발전을 위한 학습공동체(이동성, 2011, p.2; 오승현, 2014, p. 68; 김지영, 2013, p. 79)로서 단위학교, 지역 등의 수준으로 구성되어 운영될 수 있기 때문에, 1차 FGI에서 교과연구회를 단위학교의 교과서 개발을 위한 주체로 설정하였다. 전문가들은 1차 FGI 에서 제시한 교과연구회 주관의 교과서 개발 지원과 교과연구회 대상 교육과정 개발 연수 항목에 추가하여 교과서 개발 지원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개발 컨설팅과 전국 단위의 교과서 개발 워크숍 지원 및 교과서 모형 개발 지원이 교과연구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4개를 <표 6>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6.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교과서 개발 지원 ②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 ⓐ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
ⓑ 교과연구회 대상 교육과정 개발 컨설팅 또는 연수
ⓒ 교과연구회 전국단위 교과서 개발 워크숍 지원
ⓓ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모형 지원
Download Excel Table
3)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

1차 FGI에서 전문가들은 교과서 개발 인력풀 시스템을 마련하여 교원, 대학교수, 전문가들이 지원하는 인력풀을 구성 및 활용하고, 교정·교열 인력구성과 교과서 내용을 검토할 수 있는 위원 구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은 교과서 전문 감수 인력과 디지털교과서의 확대에 따른 교과서의 편집과 디자인을 지원하는 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세부 운영 프로그램으로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1차 FGI를 통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5개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표 7>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7.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교과서 개발 지원 ③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 ⓐ 교과별 교과서 집필, 연구 우수 인력풀 구성 시스템 마련 운영
ⓑ 교과별 교과서 개발 감수 전문가 인력풀 구성
ⓒ 교과서 개발 편집· 디자인 인력풀 구성
ⓓ 교정· 교열 인력구성 지원
ⓔ 교과서 내용 검토 위원 구성 지원
Download Excel Table
4) 교과서 개발 디자인 랩(LAB) 운영

1차 FGI에서, 전문가들은 교과서 디자인의 경우 대부분 전문 디자인 업체를 통해 진행되고 있어 그 소요 비용 또한 상당하기 때문에, 전문기관의 디자인 랩(LAB)의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에 모두 동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에 해당 내용이 지원 프로그램과 세부 운영 프로그램에 추가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래교육을 위한 교과서 모형과 디자인 등의 개발과 지원이 수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디자인 랩(LAB)의 운영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다. 1차 FGI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개발 지원 디자인(LAB) 운영을 지원 프로그램으로 추가하고, 세부 운영 프로그램으로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프로세스 설계 컨설팅’, ‘스마트 교과서 체제 등 개발 연구’,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선정 지원’, ‘교과서 디자인 설계 지원 및 컨설팅’, ‘교과서 디자인 교육 지원’을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서 개발 디자인 랩(LAB) 운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5개를 <표 8>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8. 교과서 개발 지원 디자인 랩(LAB) 운영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교과서 개발 지원 ④ 교과서 개발 디자인 랩(LAB) 운영 ⓐ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프로세스 설계 컨설팅
ⓑ 스마트 교과서 체제 등 개발 연구
ⓒ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선정 지원
ⓓ 교과서 디자인 설계 지원 및 컨설팅
ⓔ 교과서 디자인 교육 지원
Download Excel Table
나. 연수 및 세미나 영역
1)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향상 과정

전문가들은 1차 FGI에서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향상 과정이라는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동의하였으며, 교육과정 총론과 관련된 항목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핵심역량을 교과서와 연계하는 방안에 대한 항목을 추가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1차 FGI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총론의 이해와 적용’, ‘교과 핵심역량과 교과서 연계방안과 사례’라는 세부 항목을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별 교육과정 이해와 재구성 향상 과정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7개를 <표 9>와 같이 도출하였다.

표 9.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향상 과정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연수 및 세미나 ①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항상 과정 ⓐ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성격 및 교육과정의 구성과 체제
ⓑ 교육과정의 대강화와 상세화
ⓒ 교육과정 총론의 이해와 적용
ⓓ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이해와 구현 방법
ⓔ 교과 핵심역량과 교과서 연계방안과 사례
ⓕ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법 및 사례
ⓖ 교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의 이해와 실제
Download Excel Table
2)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전문가들은 1차 FGI에서 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기본과 내용 체계를 이해하고,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수정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기 때문에, 1차 FGI에서 제시한 항목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대체적으로 동의하였다. 1차 FGI 결과에 터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7개를 <표 10>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10.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연수 및 세미나 ②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정 ⓐ 교육과정의 기본 이해
ⓑ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구성
ⓒ 지식의 위계와 교과 지식의 구성
ⓓ 교육 수요자의 요구 분석
ⓔ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의 개발
ⓕ 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교과 교육과정의 재조직 및 개발
Download Excel Table
3)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기초)

전문가들은 1차 FGI에서 각 기관별로 산재되어 있는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을 교과서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일원화하여 통일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전문가 양성을 위하여 과정을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으로 세분화 할 필요가 있으며, 당초 제시한 세부 항목에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항목을 추가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FGI 1차 결과에 터하여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 프로그램을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하고,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의 실제’, ‘학교 수준 교과서의 개발 사례’의 세부 항목을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표 11>과 같이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기초) 프로그램에 대한 8개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표 11.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기초)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연수 및 세미나 ③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기초) ⓐ 교과서 개발 정책의 이해
ⓑ 교과 교육과정의 이해
ⓒ 교과서 개발 기준의 이해와 적용
ⓓ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의 실제
ⓔ 교과서와 저작권의 이해
ⓕ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이해
ⓖ 학교 수준 교과서의 개발 사례
ⓗ 교수학습 방법 연구
Download Excel Table
4)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1차 FGI에서 전문가들의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 심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5개를 <표 12>와 같이 도출하였다.

표 12.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연수 및 세미나 ④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 교과서 개발을 위한 팀 구성 및 개발계획 수립
ⓑ 교과 교육과정 분석
ⓒ 교과서 개발 및 활용에서 저작권 협의
ⓓ 교과서 집필(초고본, 개고본, 수정본)
ⓔ 교과서 수정 보완의 실제
Download Excel Table
5)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1, 2차 FGI 결과, 전문가들은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항목에 대한 질문에서 제시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하였다. 특히, 교과서 개발자들에게 저작권에 대한 내용을 이해시키고, 실제로 교과서를 개발할 때 저작권 준수와 관련된 유의사항과 저작권 분쟁 발생 시 대응 등에 대한 사전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FGI 결과,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5개를 <표 13>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13.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연수 및 세미나 ⑤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 교과서 관련 저작권법의 이해
ⓑ 교과서 개발에서 저작권 유의사항
ⓒ 교과용 도서의 보상금 제도의 이해
ⓓ 저작권자와 저작물 이용 계약 진행
ⓔ 교과서 저작권 분쟁 사례 이해 및 대응 방안
Download Excel Table
6) 교과서 모형 개발 세미나

전문가들은 FGI 1차 질문에 대체적으로 동의하면서 교과서 개발자들이 세미나를 통해 교과서 모형을 개발하는 항목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세부 운영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것을 의견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과서 모형 사례 분석’, ‘교과서모형 개발 실습’이라는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서모형 개발 세미나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5개를 <표 14>와 같이 도출하였다.

표 14. 교과서 모형 개발 세미나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연수 및 세미나 ⑥ 교과서모형 개발 세미나 ⓐ 학교 교육 트렌드와 교과서 개발 방향 수립
ⓑ 교과서 구성 체제의 이해
ⓒ 교과서모형 사례 분석
ⓓ 교과서모형 개발 실습
ⓔ 교과서 단원 구성방식 이해
Download Excel Table
7)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

전문가들은 FGI 1차 질문 과정에서 연수 및 세미나 영역 안에 교과서 개발 목적에 따라 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특히, 교원이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이해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수업 모형을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고, 교과서를 활용하여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가능하도록 세부 운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1차 FGI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프로그램을 추가하고, ‘학습자 중심 수업의 이해’, ‘수업 모형의 이해와 교과서 활용’,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 활용’,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창의적 수업 설계’,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을 위한 교과서 활용’을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항목으로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전문가 모두가 이에 동의하여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5개를 <표 15>와 같이 도출하였다.

표 15.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연수 및 세미나 ⑦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 ⓐ 학습자 중심 수업의 이해
ⓑ 수업 모형의 이해와 교과서 활용
ⓒ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 활용
ⓓ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창의적 수업 설계
ⓔ 혼합 학습(Blended learning)을 위한 교과서 활용
Download Excel Table
다. 컨설팅 영역
1) 교과서 개발 컨설팅

전문가들은 1차 FGI 질문에 대하여 교과서 전문기관은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이 원활하도록 전문 컨설팅단을 구성하고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전문 컨설팅이 요구된다는 것에 대체적으로 동의하면서, 제시된 세부 운영 프로그램 외에 교과서 전문기관이 컨설턴트를 직접 양성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1차 FGI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개발 전문 컨설턴트 양성’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추가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서 개발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3개를 <표 16>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16. 교과서 개발 컨설팅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컨설팅 ① 교과서 개발 컨설팅 ⓐ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지원을 위한 교과별 컨설팅단 구성
ⓑ 교과서 개발 전문 컨설턴트 양성
ⓒ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단계별 전문 컨설팅 지원
Download Excel Table
2)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1차 및 2차 FGI 결과, 전문가들은 질문에서 제시한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에 대부분 동의하였다. 전문가들은 교과서 전문기관이 저작권 자문단을 구성하고 저작권 관련 자료를 개발하여 교과서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저작권 관련 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컨설팅을 통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FGI 결과,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4개를 <표 17>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17.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컨설팅 ②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 교과서 저작권 자문단 구성 및 양성
ⓑ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자료 개발
ⓒ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단계별 전문 컨설팅 지원
ⓓ 교과서의 저작권 대응
Download Excel Table
3)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

1차 FGI에서 전문가들은 신규 교과서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교과서를 개발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컨설팅 지원 영역에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을 지원 프로그램으로 추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1차 결과에 터하여,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을 컨설팅 영역의 프로그램으로 추가하고, ‘교과 교육과정의 해석’, ‘신규 교과서의 구성과 체제’, ‘신규 교과서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수업 및 학습 설계’, ‘신규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활용’을 세부 운영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표 18>과 같이 도출되었다.

표 18.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컨설팅 ③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 ⓐ 교과 교육과정의 해석
ⓑ 신규 교과서의 구성과 체제
ⓒ 신규 교과서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수업 및 학습 설계
ⓓ 신규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활용
Download Excel Table
4)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

전문가들은 1차 FGI 과정에서 교과서 전문기관 외 출판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단위학교별 교과서 개발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교과서 전문기관이 단위학교와 출판기관과의 매칭을 컨설팅하는 프로그램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1차 FGI 결과를 반영하여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의 지원 프로그램과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풀(pool) 구성’, ‘학교에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풀(pool) 등 정보 제공’, ‘학교와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매칭’, ‘교과서 개발 전문 매니저 매칭(북디자인 및 삽화작업자 포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는 <표 19>와 같다.

표 19.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컨설팅 ④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 ⓐ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풀(pool) 구성
ⓑ 학교에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풀(pool) 등 정보 제공
ⓒ 학교와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매칭
ⓓ 교과서 개발 전문 매니저 매칭 (북디자인 및 삽화작업자 포함)
Download Excel Table
라. 상담 영역
1)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

1차 FGI 질문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상담 영역 프로그램에서 각급 학교별 교육과정 운영 등에 대한 상담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을 상담 영역의 프로그램으로 추가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편성·개발·운영이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 전문기관과의 상담을 중심으로 하는 세부 항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1차 FGI 결과에 터하여, ‘국가 또는 단위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상담’, ‘학교 수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개발 기획 상담’, ‘학습자 중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상담’, ‘학습자 중심 학교 교육과정 운영 상담’이라는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는 <표 20>과 같다.

표 20.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상담 ①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 ⓐ 국가 또는 단위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상담
ⓑ 학교 수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개발 기획 상담
ⓒ 학습자 중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상담
ⓓ 학습자 중심 학교 교육과정 운영 상담
Download Excel Table
2)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1차 FGI 실시 결과, 전문가들은 교과서 개발자는 교육과정에 대한 해석을 통해 교과서 내용을 선정할 수 있어야 하고, 학교별 학습자 수준에 맞춘 교과서의 디자인도 직접 할 수 있도록 교과서 전문기관에서 상담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터하여, 당초 질문에서 제시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에 ‘교육과정 해석 및 교과서 내용 선정 및 조직 상담’과 ‘교과서의 디자인, 사진·삽화 및 편집 등 상담’을 추가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5개를 <표 21>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21.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상담 ②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 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 교과서 개발 기획 상담
ⓑ 교과서 체제 구성 상담
ⓒ 교육과정 해석 및 교과서 내용 선정 및 조직 상담
ⓓ 교과서 집필 및 검토·수정 상담
ⓔ 교과서의 디자인, 사진·삽화 및 편집 등 상담
Download Excel Table
3) 교과서의 저작권, 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

1차 FGI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1차 FGI 질문에서 제시한 프로그램 외에 교과서 저작권과 초상권에 대한 분쟁 발생시 원만한 해결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추가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근거리의 경우에는 오프라인 상담이 가능하나, 원거리의 경우에는 온라인 상담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분이 필요하며, 분쟁 발생시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협상에 대한 상담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온라인 및 유선 1:1 실시간 상담’, ‘협상 지원 상담’이라는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추가하여 실시한 2차 FGI 결과, 교과서의 저작권, 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5개를 <표 22>와 같이 도출하였다.

표 22. 교과서의 저작권, 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상담 ③ 교과서의 저작권, 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 ⓐ 온라인 게시판 FAQ를 통한 유형별 자동 상담
ⓑ 온라인 및 유선 1:1 실시간 상담
ⓒ 오프라인 1:1 상담
ⓓ 전문 법률지원 상담
ⓔ 협상 지원 상담
Download Excel Table
마. 수정, 보완 등 관리 지원 영역
1) 교과서 정보서비스 제공

1차 FGI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온라인상에서의 정보 제공과 교과서 개발 시 활용 가능한 안내서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1차 FGI 결과에 터하여, ‘교과서 관련 DB 구축 및 온라인 서비스 제공’, ‘교과서 집필 안내서 등 매뉴얼 제공’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추가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서 정보서비스 제공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5개를 <표 23>과 같이 도출하였다.

표 23. 교과서 정보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수정·보완 등 관리 지원 ① 교과서 정보서비스 제공 ⓐ 국내외 교과서 관련 자료의 수집, 열람 등 정보 서비스 제공
ⓑ 교과서 관련 DB 구축 및 온라인 서비스 제공
ⓒ 교과서 발행 시 필요한 삽화, 사진 등 관련 정보의 체계적 수집 및 제공
ⓓ 교과서 집필 안내서 등 매뉴얼 제공
ⓔ 맞춤법, 표기법 상담서비스
Download Excel Table
2)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

1차 FGI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질문에서 제시한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의 세부 운영 항목에 대하여 모니터링단의 업무력 향상을 위한 세부과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1차 FGI 결과에 터하여, 세부 운영 프로그램으로 ‘모니터링단 워크숍 추진 지원’을 추가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3개를 <표 24>와 같이 도출하였다.

표 24.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수정·보완 등 관리 지원 ②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 ⓐ 교과서 개발 모니터링단 구성
ⓑ 교과서 현장적용 검토의견 수렴
ⓒ 모니터링단 위크숍 추진 지원
Download Excel Table
3) 교과서 수정·보완 지원

FGI 1차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교과서 질 관리 차원에서 개발된 교과서의 수정 및 보완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대한 민원 발생 시 민원인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고, 학교 또는 출판사 등과의 수정·보완 채널을 구축하여 교과서 수정·보완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1차 FGI 결과에 터하여 , ‘교과서 수정·보완 플랫폼 구축’, ‘학교 및 출판사 등과 교과서 수정·보완 채널 구축’, ‘교과서 민원 접수 및 처리 지원’, ‘교과서 수정·보완 반영 및 홍보 지원’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추가하여 2차 FGI를 실시한 결과, 교과서 수정·보완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 4개를 <표 25>와 같이 도출하였다.

표 25. 교과서 수정·보완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프로그램
지원 영역 지원 프로그램 세부 운영 프로그램
수정·보완 등 관리 지원 ③ 교과서 수정·보완 지원 ⓐ 교과서 수정·보완 플랫폼 구축
ⓑ 학교 및 출판사 등과 교과서 수정·보완 채널 구축
ⓒ 교과서 민원 접수 및 처리 지원
ⓓ 교과서 수정 보완 반영 및 홍보 지원
Download Excel Table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개발 지원’ 영역의 지원 프로그램이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 ‘교과서 개발 지원 디자인 랩(LAB) 운영’ 등을 통해 교과서 전문기관이 학교수준의 교과서 개발을 적극 지원하여 교과서를 국가 또는 민간출판사의 주도하에 학교 수준에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과서 전문기관 중심의 ‘교과서 개발 아이디어 공모’를 통한 미래지향적 교과서 개발 지원, ‘교과연구회 주관 교과서 개발 지원’으로 교과서 개발 모형의 지원과 개발 컨설팅, 교과서 개발을 위한 워크숍, 단위학교에 대한 ‘교과서 개발 인력풀 제공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교과서 개발 지원 디자인 랩(LAB) 운영’으로 스마트 교과서 등 미래교육을 위한 교과서모형과 디자인 등의 개발과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수 및 세미나’ 영역의 지원 프로그램은 ‘교과별 교육과정의 이해와 재구성 항상 과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학교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기초)’,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심화)’, ‘교과서 개발과 저작권’, ‘교과서 모형 개발 세미나’, ‘교과서의 효율적 활용 과정’의 연수 등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교과서 개발자에 대한 교육과정의 이해와 해석 역량을 높여 교과서 개발의 노하우를 쌓고, 보다 체계적인 연수과정을 설계하여 교과서 개발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등 교과서 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시·도교육청의 연수원이나 기타 기관에 분산되어 운영되고 있는 교과서 관련 연수, 교과서 개발 관련 연수 및 세미나를 교과서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일원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컨설팅’ 영역의 지원 프로그램은 ‘교과서 개발 컨설팅’, ‘교과서 저작권 컨설팅’, ‘신규 교과서 활용 컨설팅’, ‘교과서 개발 전문 출판기관 등 매칭 컨설팅’으로 도출된 의미는 교과서 개발 인력 확보와 더불어 교과서 개발에 대한 전문 컨설턴트의 양성과 전문인력 확보가 중요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넷째, ‘상담’ 영역의 지원 프로그램으로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상담’, ‘교과서 개발단계별 온· 오프라인 전문가 상담’, ‘교과서의 저작권, 초상권 등 분쟁 대응 상담’으로 도출된 것은, 교과서 개발단계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교과서 관련 각종 분쟁 발생 시에 전문기관 등이 교과서 개발자들에 대한 상담을 통해 각종 문제점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이로써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궁금증의 해소와 발생하는 문제 및 고충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과 전문기관의 상담 역할도 필요하다. 다섯째, ‘수정, 보완 등 관리 지원’ 영역의 지원 프로그램은 ‘교과서 정보서비스 제공’, ‘교과서 현장 모니터링 지원’, ‘교과서 수정 보완 지원’으로 도출된 것은 교과서의 개발부터 활용까지 질 관리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교과서의 개발 후 질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학습 수요자의 만족도 향상과 차후 개발할 교과서에 대한 질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된 교과서에 대한 수정·보완이 가능하도록 집필진·학교·출판사 등과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과 채널을 구축하고, 민원 대응, 수정·보완된 교과서의 홍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교과서 전문기관의 ‘교과서 수정 보완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2. 제언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학교 수준의 교과서 개발에 요구되는 전문기관의 지원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 수준의 교과서 개발을 위해 새로운 거버넌스 체제를 기반으로 학교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 개발을 학교에만 의존하기보다는, 학교에서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제반 요소들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가 필요하며, 정부와 시도교육청이 공공기관 또는 민간기관과 함께 학교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학교가 교과서 개발과 활용에서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저작권 관련법의 개정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교과서 개발에서 학교를 지원할 전문기관의 양성도 필요하다. 둘째, 학교 수준의 질 높은 교과서 개발을 위해 정부는 교과서 개발 및 활용을 위한 매뉴얼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 개발 매뉴얼은 기존의 교과서 개발 경험이 풍부한 교원이나 전문가들의 노하우를 담아 처음 교과서를 개발하는 교원들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교과서 개발 후 수정 보완 등의 질 관리에서도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수준의 교과서 개발과 질 제고를 위해 교과서 전문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 앞서 제시한 교과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정부, 교과서 발행사, 저작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서 중간자 역할을 수행하는 전담기관으로서의 교과서 전문기관이 학교 수준 교과서 개발을 지원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곽병선(2000). 교과서 자유 발행 빠를수록 좋다. 교과서연구, 34,6-9.

2.

곽병선, 문용린, 한명희, 윤기옥, 김미숙, 김미숙, 김재춘, 김재현, 이은미(2004). 교과서 발행제의 다양화에 따른 자유발행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서, 2004-6.

3.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 수정 고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8-147호.

4.

교육부(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교과용도서 개발 기본 계획(안).

5.

교육부(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발 추진 계획(안).

6.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개발 기본 계획(안).

7.

교육부(2015b).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고등학교), 세종: 저자.

8.

교육부(2018).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9.

교육부.(2019).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10.

교육부(2021). 포용과 성장의 고교교육 구현을 위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 계획.

11.

교육부(2021. 2. 4.). 교육부, 정부부처와 협업하여 현장 맞춤형 교과서 개발 확대(보도자료).

12.

김만곤(2003). 교과서 제도의 현황과 발전 방향. 교과서연구, 41. 9-19.

13.

김재춘, 김재현(2004). 교과서 자유발행제의 의미 탐색. 한국교육, 31(2), 299-320.

14.

김정호(2000). 교과서 자유 발행제의 의의와 전제 조건. 교과서연구, 34, 10-13.

15.

김지영(2013). 초등학교 무용분야 예술강사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4), 67-91.

16.

노선숙, 조성민(2007).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사례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77-102.

17.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1996).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Ⅱ)(제3차 대통령 보고서). 서울: 저자.

18.

박제윤, 이충호, 진동섭, 김호성, 변자정(2018).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과서 제도 개선 연구. 연구보고서 2018-05. 한국교과서연구재단 비상공부연구소.

19.

박창언(2019). 자유발행 적용 인정교과서의 질 관리 방안 시론.교육과정연구, 37(4), 201-218.

20.

오승현(2014).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체육교사의 변화 경험과 요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1(3), 67-88.

21.

이동성(2011). 초등 교과교육연구회 참여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4(3), 1-26.

22.

헌법재판소(1993). 헌법재판소 판례집 4. 서울: 헌법재판소. 762-764.

23.

프레시안(2020. 12. 11.). 문재인 정부 교육 정책 설계자가 본 '교육 개혁 실패' 이유는?. Retrieved from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120916411487599?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24.

Krueger, R. A., & Casey, M. A. (2009). Focus group: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4rd edition). Th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5.

Krueger, R. A., & Casey, M. A.(2015). Focus Groups(5thed).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