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과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과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와의 관련성 분석1)

임정하1,*, 김경민2,**, 송지은3, 최정원4, 권오연5
JungHa Lim1,*, Kyungmin Kim2,**, Jieun Song3, Jungwon Choi4, Ohyeon Kwon5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교수
2고려대학교 4단계 BK21 지속가능생활시스템융합교육연구단 연구교수
3고려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과 박사수료
4고려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과 박사수료
5고려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과 박사수료
1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University
2BK21 FOUR R&E Center for Sustainable Living System, Korea University
3Dept. of Human Ecolog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4Dept. of Human Ecolog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s
5Dept. of Human Ecolog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제1저자, jhlim@korea.ac.kr
**교신저자, rudals0414@korea.ac.kr

© Copyright 2020,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05, 2020; Revised: Oct 30, 2020; Accepted: Nov 10, 2020

Published Online: Nov 30, 2020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살펴보고,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의 내용요소와 K-SDGs 세부목표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성격과 목표, 핵심개념의 내용요소들과 K-SDGs의 17개 목표, 122개 세부목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2015 개정 가정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 및 성격과 K-SDGs의 세부목표별 설명을 비교한 후, 이 영역의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에 기술된 학교급별 내용요소들과 K-SDGs의 세부목표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 때 해당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요소와 K-SDGs 세부목표의 설명에서 동일한 핵심 단어나 문구를 사용하였거나 동일한 내용을 전달하는 경우에 관련성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은 17개의 K-SDGs 중 목표 3(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목표 4(교육의 증진), 목표 5(성평등 보장), 목표 10(불평등 해소), 목표 16(인권·정의·평화)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를 중심으로 K-SDGs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K-SDGs 목표 3과 목표 5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목표 10과 목표 16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목표 4를 추가적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을 K-SDGs와 관련지어 이해하고, 나아가 중등학교현장에서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정교과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development & family domain of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secondary education and the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The 2015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the human development & family domai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17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122 targets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uman development & family domain were found to be relevant to 5 out of 17 K-SDGs including Goal 3 (guarantee healthy and happy life), Goal 4 (promotion of education), Goal 5 (promote gender equality), Goal 10 (resolve inequality) and Goal 16 (human rights, justice, and peace). Second, core concepts development and relations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were related to Goal 3 and 5. Goal 10 and 16 were only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Goal 4 was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preparing for the achievement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secondary school by identifying specific goals in the K-SDGs relevant to the human development & family domain.

Keywords: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인간발달과 가족;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K-SDGs); 발달; 관계
Keywords: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development; relations

I. 서 론

1992년 UN이 지속가능발전을 인류의 공공가치로 채택한 이래, 각국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며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15년 UN은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인류 공동의 목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라 칭함)를 사회발전, 경제성장, 환경보존 부문을 기반으로 하여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UN의 SDGs 틀에 준해 한국적 상황을 반영하여 ‘모두를 포용하는 지속가능국가’라는 비전을 토대로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orean-SDGs, 이하 ‘K-SDGs’라 칭함)를 수립하였다(환경부, 2019). K-SDGs는 크게 사회발전, 경제성장, 환경보존의 세 가지 축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인프라를 포함하여 17개의 목표와 122개의 세부목표로 구성된다. 이상의 K-SDGs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주체가 되어 삶 속에서 변화와 혁신을 일으킬 필요가 있으며, 여기서 교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9). 교육을 통하여 각 개인들이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 기술, 가치, 태도 등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2019)에서도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학습목표를 발간하는 등 K-SDGs의 달성과 실제 교육과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SDGs와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내용을 범교과적으로 강조해왔기에, K-SDGs는 이미 교육과정에 일부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부, 2015)은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도 K-SDGs와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이처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및 인간상이 K-SDGs에서 강조하는 부분 및 비전과 유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교육과정 개정시 지속가능발전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었으며 개별 교과에서도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목들 중에서도 특히 가정과는 K-SDGs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가정과는 추상적이거나 이론적인 내용 전달로만 이루어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에서의 경험을 통해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 자립적인 생활능력, 관계형성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교육부, 2015). 이러한 가정과의 특성은 개인이 주체가 되어 사회발전, 경제성장, 환경보존을 위해 일상에서 행동하는 것을 강조하는 K-SDGs와 밀접히 관련된다. 가정과와 지속가능발전 관련 연구들은 주로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이하 ‘ESD’라 칭함)을 기준으로 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에는 ESD와 관련된 내용이 교과 전반에 걸쳐 포함되어 있고(배윤영, 이윤정, 김경민, 2020), 교과서 내 소비 및 의생활 단원에는 환경적·경제적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점이 다수 반영되어 있는 등(육경민, 2020; 장다원, 이윤정, 이선영, 2020) 지속가능발전교육이 가정과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ESD에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세부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SDGs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9)가 발표된 이후에는 이를 적용하여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한 연구(김은경, 조재순, 2020; 전송이, 이상원, 2019)와 가정과 내 특정 영역과 관련된 SDGs 세부목표를 분석한 연구(최성연 외, 2019)가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들은 가정과 교육과정이 지속가능한 삶의 실천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SDGs와 가정과 교육과정이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바를 확인하는 데 기여하였다.

다만 선행연구들이 가정과 내 의생활·소비생활·주생활을 중심으로만 진행되어, 가정과 내 모든 영역과 SDGs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내 다른 영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다.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경우, SDGs와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이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인권존중과 협력을 배우는 내용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이성민, 유난숙, 2019), 가정과 영역 중에서도 사회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하는 민주시민역량을 가장 많이 다룬다고 보고한 연구(한주, 2018)가 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 개념 자체가 현재와 미래 세대의 지속적 발전을 목표로 하는 만큼 미래 세대인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과 K-SDGs 세부목표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전효정, 고은경, 2020). 그러므로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교육과정이 K-SDGs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가정과 교육과정과 K-SDGs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을 포함하는 가정과에서 실행할 수 있는 K-SDGs 달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관련된 K-SDGs는 무엇이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K-SDGs 간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중 하나는 교과별로 교과의 하위영역을 가장 잘 대표하는 기초적인 아이디어 및 원리라고 할 수 있는 핵심개념을 선정한 것이다. 핵심개념은 하위 학습요소들 간의 연계성을 나타내고 학생들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된 교육내용을 통해 교과와 관련된 사고 및 탐구기능을 학습하여 교과역량을 기르게 된다(온정덕, 2015). 이처럼 핵심개념은 상위 교과내용범주를 구체화해주며, 교육과정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심층적인 학습 경험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이 K-SDGs와 갖는 관련성을 찾는다면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에 연계하기에도 용이할 것이다.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에는 발달과 관계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학습하게 된다. 핵심개념 발달에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성장과 발달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건강한 삶을 사는 데 기초가 되는 자아정체감을 다룬다. 또한 사랑과 결혼, 부모됨을 통해 형성된 가족이 배려와 돌봄을 실천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핵심개념 관계에서는 가족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친밀하고 건강한 가족관계 및 세대 간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는 내용을 다룬다(교육부, 2015). 이러한 내용을 미루어 보아 학생들은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를 통해 자신감을 가지고 자기주도적으로 생활하며, 친구와 가족 등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의 한 일원으로서 올바른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에 기여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임정하, 전미경, 2016). 그리고 이는 K-SDGs 중에서 모든 사람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는 것, 여성과 아동에 대한 불평등함을 극복하는 것, 사회적 협력 및 공동체성을 강화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 수준의 소양과 준비과정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이는 우리나라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해결해야 할 우선 과제 중 하나인 저출산·고령화 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질 수 있는 내용이다. 따라서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중 발달 및 관계와 관련된 부분이 K-SDGs와 갖는 연관성을 살펴보는 것은 가정과가 실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밝혀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학교급에 따라 달성 가능한 K-SDGs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고등학교 과정은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학습을 하여 핵심역량 자질을 함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온정덕, 2015),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일정한 흐름 안에서 구별된 내용을 가진다. 가정과는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필수 교과목이지만,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일반 선택 과목에 속해 각 학교의 실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되므로, 학교급별로 나누어 관련성을 분석해 본다면 가정과에서의 K-SDGs 달성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어떠한 K-SDGs를 포함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별 K-SDGs와의 관련성을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덧붙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기여점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은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와 관련이 있는가?

  • 연구문제 2.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핵심개념의 학교급별 내용요소와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의 세부목표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II.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교육과정 중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을 중심으로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K-SDGs, 환경부, 2019)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성격과 목표, 핵심개념의 내용요소들과 K-SDGs의 17개 목표, 122개 세부목표의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2. 분석절차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이 K-SDGs와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쳤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관련된 K-SDGs를 선별하기 위해, 2015 개정 가정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 및 성격과 K-SDGs 각각의 세부목표별 설명을 비교하였다. 이 때, 가정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 및 성격과 K-SDGs 각각의 세부목표 설명에 제시된 핵심 단어나 문구가 일치하거나 사용된 단어나 문구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같은 내용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예를 들어, 저출산·고령사회 문제 해결은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격 중 하나로 제시되어 있다. 이는 K-SDGs 3번의 저출생 극복과 인구고령화 대비라는 목표의 내용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중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이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난 K-SDGs와의 관련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에 기술된 학교급별 내용요소들과 첫 번째 단계에서 선별된 K-SDGs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 때에도 해당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요소와 K-SDGs 세부목표의 설명에 제시된 핵심 단어나 문구가 일치하거나 사용된 단어나 문구가 달라도 동일한 내용을 전달하는 경우에 관련성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각 내용요소에 나타난 K-SDGs 세부목표 내용의 빈도를 산출하였다.

이상의 분석과정에는 중등교사 2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연구원 4인이 훈련 과정을 거친 후에, 독립적으로 분류작업을 하고 빈도를 산출하였다. 연구원 4인이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이용해 산출한 평정자 간 일치도는 85%로 나타났다. 이 후 일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원 4인과 가정교육 전문가 1인이 대면 회의와 합의를 통해 최종 관련성 및 빈도를 결정하였다. 연구원 4인의 개별 분석결과에서 차이가 난 경우는 대부분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해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내용요소에 제시된 설명에 준하여 관련성을 결정하고, 해당 단원에서 추가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고 추론되는 내용은 K-SDGs 세부목표와 직접적 관련성이 없다고 판단해 배제시키는 방향으로 합의하였다.

III. 연구결과

1.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와의 관련성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 해당하는 목표 및 성격과 K-SDGs 세부목표의 설명을 비교한 후, 이 영역과 관련 있는 K-SDGs를 선별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관련 있는 K-SDGs는 17개 중 5개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K-SDGs 3번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4번 교육의 증진, 5번 성평등 보장, 10번 불평등 해소, 16번 인권·정의·평화가 포함되었다.

표 1.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 및 성격과 K-SDGs간의 관련성
영역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K-SDGs)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목표 및 성격과의 직접적 관련성 유무
사회 발전 1 빈곤감소 및 사회 안전망 강화 -
2 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농업강화 -
3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4 교육의 증진
5 성평등 보장
6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
환경 보존 7 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
12 지속가능한 소비·생산 증진 -
13 기후변화 대응 -
14 해양생태계 보전 -
15 육상생태계 보전 -
경제 성장 8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 -
9 사회기반시설 구축, R&D 확대 및 경제성장 -
10 불평등 해소
11 포용적이며 안전하며 회복력 있는 도시와 주거지 조성 -
인프라 16 인권·정의·평화
17 지구촌 협력 강화 -

* 영역 구분은 환경부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보고서(2019) 자료를 참고하였음

Download Excel Table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 및 성격을 중심으로 K-SDGs와의 관련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는 학습의 주체인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에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건강과 안녕감을 유지하고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는 K-SDGs의 3번 목표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바인 모성과 아동의 건강을 보호하고, 개인의 정신건강을 증진시켜 인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보장한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는 부모됨과 자녀돌보기에 대해 다루며 이를 통해 배려와 돌봄을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K-SDGs의 4번 목표인 아동에 대한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고 안전하고 포용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교육을 증진하고자 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가정과는 오늘날 우리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관심을 가진 실천 교과의 성격을 띠고 있다. 특히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는 저출산·고령사회 문제와 사회 변화에 따른 가족 구성원의 관계와 역할 등 생활양식의 변화를 다루게 되는데, 이는 K-SDGs의 5번 목표와 밀접히 관련된다. 5번 목표는 성평등을 보장하는 것으로 가사노동의 가치를 존중하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차별을 철폐하고 출생관련 권리를 보호하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양성평등한 가족관계에 대한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넷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는 다양한 가족유형이나 생활양식의 공존 속에서 가족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요구들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자질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한다. 또한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이 관계 맺는 대상을 친구, 이웃 공동체로까지 확대하여 다양한 대상과 소통하고 갈등을 해결하며 건강하게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K-SDGs 10번 목표와 일맥상통한다. 10번 목표는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으로, 모든 사람에 대한 포용성을 확대하고 공평한 사회를 만들며 사회 구성원들을 통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는 타인을 배려하는 따뜻한 인간애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청소년 학습자들이 서로 지지하며 협동하는 또래 및 가족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K-SDGs 16번 목표인 인권, 정의, 평화 증진의 시작 선상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2.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핵심개념의 학교급별 내용요소와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세부내용과의 관련성
가. 중학교 교육과정상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의 내용요소와 K-SDGs 세부내용과의 관련성

중학교의 경우,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에서 다루는 내용요소에 연구결과 1에서 선별된 K-SDGs 세부목표가 반영된 빈도를 산출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중학교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의 내용요소에 나타난 K-SDGs 세부목표의 빈도
핵심개념 발달 관계
K-SDGs/내용요소 청소년기 발달특징 또래문화와 친구관계 청소년과 성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 가족관계 가족의 의사소통과 갈등관리
3.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3 1 2 6 2 2 2 6
4. 교육의 증진 0 0 0 0 0 0 0 0
5. 성평등 보장 0 0 4 4 5 2 1 8
10. 불평등 해소 0 1 0 1 1 1 1 3
16. 인권·정의·평화 0 2 0 2 0 0 1 1
3 4 6 13 8 5 5 18
Download Excel Table

중학교 교육과정 내 핵심개념 ‘발달’의 내용요소에는 전반적으로 K-SDGs 3번(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목표가 반영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서 K-SDGs 5번(성평등 보장) 목표 , K-SDGs 16번(인권·정의·평화) 목표, K-SDGs 10번(불평등 해소) 목표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핵심개념 ‘발달’의 내용요소에서는 K-SDGs 4번(교육의 증진) 목표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개념 ‘발달’의 내용요소는 세 가지로, ‘청소년기 발달특징’, ‘또래문화와 친구관계’, ‘청소년과 성’이 이에 해당된다. 이들 각 내용요소별로 K-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기 발달특징’은 균형 있는 발달을 추구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이는 아동의 건강을 보호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는 K-SDGs 3번과 연관된다. 다음으로, ‘또래문화와 친구관계’에서는 청소년기 또래문화를 탐구하고, 건강한 친구관계 유지를 위한 문제 분석 및 해결방안을 다룬다. 따라서 또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해결방안은 K-SDGs 16번 폭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세부목표와 연관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K-SDGs 10번 모든 사람에 대한 포용성을 확대하는 세부목표와도 관련성이 있다. 또한, 이 내용요소가 동성 및 이성 친구 간에 서로 지지하고 협동하는 건강한 관계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K-SDGs 3번의 정신건강을 증진하는 세부목표와도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청소년과 성’은 청소년의 성적 발달 특징을 이해하고 건강한 성 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여기서는 생명 탄생의 바탕이 되는 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편향적인 성 태도나 십대 임신, 성 역할 고정관념 등을 다룬다는 점에서 K-SDGs 5번 출생 관련 권리 보장과 여성과 소녀에 대한 차별, 폭력을 철폐하는 세부목표와 관련성이 있다. 또한, 이 내용요소에는 청소년의 성적 발달 특징 및 성과 관련된 질병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므로 K-SDGs 3번의 건강 보호, 감염병 예방 세부목표와도 관련된다.

중학교 교육과정 내 핵심개념 ‘관계’의 내용요소에는 전반적으로 K-SDGs 5번(성평등 보장) 목표가 반영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서 K-SDGs 3번(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목표, K-SDGs 10번(불평등 해소) 목표, K-SDGs 16번(인권·정의·평화) 목표 순으로 나타났다. 핵심개념 ‘관계’의 내용요소에서도 K-SDGs 4번(교육의 증진) 목표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개념 ‘관계’의 내용요소는 세 가지로,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 ‘가족관계’, ‘가족의 의사소통과 갈등관리’가 이에 해당된다. 이들 각 내용요소별로 K-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은 가족 형태와 가족 가치관 변화를 이해하고 건강 가정을 위한 가족 구성원의 역할을 탐구하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이 중에서 가족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 및 가족구성원의 유연한 역할 등의 내용은 모든 차별을 철폐하고 무보수 돌봄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K-SDGs 5번 세부목표와 연관된다. 또한 다양한 가족과 건강한 가정에 대한 이해를 다룬 내용은 저출생 극복 및 인구고령화 대비와 정신건강 증진이라는 K-SDGs 3번 세부목표와도 관련된다. 그리고 건강한 가정에서는 각자 맡은 역할에 책임지고 친밀감과 유대감이 높다는 점에서 K-SDGs 10번의 차별적 대우를 철폐하는 세부목표와도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가족관계’에서는 다양한 가족관계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양성평등하고 세대 간의 민주적인 가족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내용을 다룬다. 가족과의 유대감을 공고히 하고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정신건강을 증진하고자 하는 K-SDGs 3번 세부목표와 연관된다. 이 내용요소에서 다루는 양성평등 및 민주적인 가족관계는 여성과 소녀에 대한 차별, 무보수 돌봄과 가사노동에 대한 인정을 목표로 하는 K-SDGs 5번 세부목표와도 연관되며, 차별적 대우 철폐를 목표로 하는 K-SDGs 10번 세부목표와도 관련이 있다. 끝으로, ‘가족의 의사소통과 갈등관리’에서는 가족 내의 갈등의 원인과 배경에 대해 파악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갈등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가족 간의 의사소통을 잘 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것은 정신건강을 증진하고자 하는 K-SDGs 3번 세부목표와 연관된다. 또한 이 내용요소에서 가족 갈등의 원인과 배경에 대한 내용은 K-SDGs 5번 세부목표 중 무보수 돌봄과 가사노동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과 관련되며, K-SDGs 10번의 차별적 대우를 철폐하는 세부목표와도 관련성이 있다. 그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것은 모든 형태의 폭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K-SDGs 16번 세부목표와도 관련된다.

나. 고등학교 교육과정상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의 내용요소와 K-SDGs 세부내용과의 관련성

고등학교의 경우,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에서 다루는 내용요소에 연구결과 1에서 선별된 K-SDGs 세부목표가 반영된 빈도를 산출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고등학교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의 내용요소에 나타난 K-SDGs 세부목표의 빈도
핵심개념 발달 관계
K-SDGs\내용요소 사랑과 결혼 부모됨의 준비 임신 중 생활과 출산 자녀 돌보기 가족문화와 세대 간 관계
3.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3 1 10 14 5 4 9
4. 교육의 증진 0 4 0 4 2 3 5
5. 성평등 보장 1 0 4 5 0 1 1
10. 불평등 해소 0 0 0 0 0 0 0
16. 인권·정의·평화 0 0 0 0 0 0 0
4 5 14 23 7 8 15
Download Excel Table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 핵심개념 ‘발달’의 내용요소에는 전반적으로 K-SDGs 3번(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목표가 반영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서 K-SDGs 5번(성평등 보장) 목표 , 4번(교육의 증진) 목표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핵심개념 ‘발달’의 내용요소에는 K-SDGs 10번(불평등 해소) 목표와 16번(인권·정의·평화) 목표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개념 ‘발달’의 내용요소는 세 가지로, ‘사랑과 결혼’, ‘부모됨의 준비’, ‘임신 중 생활과 출산’이 이에 해당된다. 이들 각 내용요소별로 K-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랑과 결혼’은 행복한 결혼 및 가정생활의 가치와 이를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행복한 결혼 및 가정생활은 K-SDGs 3번 정신건강을 증진하는 세부목표와 관련되며, 결혼 생활에 있어서 서로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양성평등한 관계를 기초로 하여 균형 있게 역할을 분담하는 내용은 K-SDGs 5번 무보수 돌봄과 가사노동의 가치를 인정하는 세부목표와 관련이 된다. 다음으로, ‘부모됨의 준비’는 저출산·고령사회에서 부모됨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책임 있는 부모가 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이는 저출산 극복과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K-SDGs 3번 세부목표와 관련이 있으며, 아동에게 양질의 교육과 학습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K-SDGs 4번 세부목표와 관련이 있다. 끝으로, ‘임신 중 생활과 출산’은 임신 및 출산 과정과 건강한 출산을 위한 방안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계획적 임신과 건강한 출산과 관련된 내용은 K-SDGs 3번의 감염병 예방, 모성 건강 보호 등의 세부목표와 관련되며, K-SDGs 5번 출생 관련 건강 및 권리의 세부목표들과도 관련이 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 핵심개념 ‘관계’의 내용요소에는 전반적으로 K-SDGs 3번(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목표가 반영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서 K-SDGs 4번(교육의 증진) 목표, K-SDGs 5번(성평등 보장) 목표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핵심개념 ‘관계’의 내용요소에도 K-SDGs 10번(불평등 해소) 목표와 16번(인권·정의·평화) 목표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개념 ‘관계’의 내용요소는 두 가지로, ‘자녀 돌보기’와 ‘가족문화와 세대 간 관계’가 이에 해당된다. 이들 각 내용요소별로 K-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녀돌보기’에서는 신생아, 영·유아, 아동기의 발달 특징과 이에 따른 자녀 돌보기 방법을 다루고 있다. 이는 아동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고자 하는 K-SDGs 3번 세부목표와 관련이 있다. 나아가 발달단계에 따라 적합한 교육 및 학습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K-SDGs 4번 세부목표와도 관련된다. 다음으로, ‘가족문화와 세대 간 관계’는 가족문화와 조화로운 세대 간 관계를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가족관계에 실천하는 것을 학습목표로 한다. 가족문화를 이해하고 세대 간 관계를 조화롭게 유지하는 내용은 정신건강 증진과 인구고령화 대비와 관련된 K-SDGs 3번 세부목표와 관련 있으며, 가족문화와 역사를 이해하고 이를 현재의 가족 관계에서 실천하는 능력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의 기여와 관련된 K-SDGs 4번 세부목표와도 관련된다. 또한 조화로운 세대 간 관계는 가족 내의 무보수 돌봄과 가사노동에 대한 인정 및 가치 부여가 포함된 K-SDGs 5번 세부목표와도 관련이 있다.

다.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별 내용요소와 K-SDGs 세부내용과의 관련성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K-SDGs와 보이는 관련성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핵심개념 ‘발달’의 경우,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공통적으로 K-SDGs 3번과 5번의 세부목표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을 위한 K-SDGs 3번 세부목표의 경우,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발달을 이해하고 정체감을 형성하며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는 내용요소를 다루는 부분에,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배우자를 만나고 가정을 이루며 행복감을 느끼고 부모가 되는 과정을 이해해 모성건강을 보호하는 내용요소를 다루는 부분에 반영되어 있다. 성 평등 보장을 위한 K-SDGs 5번 세부목표의 경우,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내용요소를 다루는 부분에,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양성평등한 결혼생활에 대한 내용요소를 다루는 부분에 반영되어 있다. 핵심개념 ‘발달’의 내용요소에 있어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차이점이 있다면,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K-SDGs 10번과 16번 세부목표가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있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K-SDGs 4번 세부목표가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또래와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다루는 내용요소를 다룰 때 불평등 해소를 위한 K-SDGs 10번 세부목표, 인권을 목표로 하는 K-SDGs 16번 세부목표가 반영된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부모됨을 준비하며 자녀의 발달에 대해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는 내용요소를 다룰 때 아동에게 안전하고 포용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K-SDGs 4번 세부목표가 반영된다.

다음으로, 핵심개념 ‘관계’의 경우도,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공통적으로 K-SDGs 3번과 5번의 세부목표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성평등 보장을 위한 K-SDGs 5번 세부목표의 경우,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가족 내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관계에 대한 내용요소를 다루는 부분에,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가족 내 무보수 돌봄과 가사노동 인정 및 가치 부여에 대한 내용요소를 다루는 부분에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을 위한 K-SDGs 3번 목표의 경우,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건강한 가족관계와 의사소통, 갈등관리에 대한 내용요소를 다루는 부분에,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조부모 등 여러 세대 간 조화에 대한 내용요소와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역량에 대한 내용요소를 다루는 부분에 반영되어 있다. 핵심개념 ‘관계’의 내용요소에 있어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차이점이 있다면,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K-SDGs 10번과 16번 세부목표가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있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K-SDGs 4번 세부목표가 추가적으로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건강가정의 특성으로 가족 간에 수평적인 관계를 언급하고 있으며 갈등해결방법으로 의사소통이라는 수단을 하나의 내용요소로 제시하고 있어 이를 다룰 때 불평등 해소를 위한 K-SDGs 10번 세부목표와 평등·평화의 가치를 추구하는 K-SDGs 16번 세부목표가 반영된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자녀를 돌보고 가족문화를 전수하는 내용요소를 다룰 때 포용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지속가능발전 문화를 교육하고자 하는 K-SDGs 4번 세부목표가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I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이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어느 목표와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의 내용요소와 K-SDGs 세부목표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은 K-SDGs 17개 중 5개, 즉 3번(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4번(교육의 증진), 5번(성평등 보장), 10번(불평등 해소), 16번(인권·정의·평화) 목표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SDGs 3, 4, 5번의 경우 사회발전 영역에 해당되고, 10번 목표의 경우 경제성장 영역에 해당되며, 16번 목표의 경우 인프라 영역에 해당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는 K-SDGs의 4개 영역 중 이들 3개 영역의 목표가 포함되어 있고, 환경보존 영역관련 목표는 포함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타교과와 SDGs와의 관련성을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면 초등 사회 교과서의 경우 경제성장과 인프라 영역에 해당되는 목표만을 포함하고 있고, 초등 과학 교과서의 경우 환경보존 영역에 해당되는 목표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김영하, 최도성, 2016). 또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에 포함된 SDGs를 분석한 연구(배경석 외, 2020)와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SDGs를 분석한 연구(김지현 외, 2020)에서도 과목적 특성이 반영된 환경보존 영역에 해당하는 목표만이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타교과에서는 한, 두 영역을 집중적으로 반영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정교과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는 K-SDGs 네 영역 중 세 영역이 포함되어 보다 다양한 목표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가정교과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는 학습자들이 K-SDGs의 여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가정교과만으로 국한해 보면, 주생활 영역과 SDGs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경우를 찾아볼 수 있다. 해당 연구(최성연 외, 2019)에서는 적절하고 안전한 주택 및 기본서비스 관련 내용의 지속가능발전목표가 가장 밀접히 관련되는 목표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가정교과 내 하위영역 간의 차별적 컨텐츠로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지속가능발전목표와의 관련성은 타 영역이 관련된 목표와는 구분됨을 알 수 있다.

둘째,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인 발달과 관계의 내용요소와 K-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K-SDGs 3번과 5번 목표를 포함하고 있었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보장하는 3번 목표와 성평등을 보장하는 5번 목표는 가정교과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적 목표와 보다 밀접히 관련되는 목표로 해석된다. 나아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10번과 16번 목표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4번 목표가 추가되어 두 교육과정상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초점을 두고 있는 대상에 따라 관련된 K-SDGs 세부목표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청소년 학습자 본인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확장해 개인이 부모로서 다음 세대인 자녀의 발달에 초점을 두고 양육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확장되어 있다. 다른 하나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 국한해 비교해 보면, 교육과정의 필수여부에 따라 K-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이 달라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중학교에서는 기술·가정이라는 교과목이 필수교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고등학교에서는 선택교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교육제도상으로 K-SDGs 10번과 16번 관련 내용인 개인이 스스로 올바른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의사소통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필수교과목에 반영되어 모든 학습자에게 지원된다. 반면, K-SDGS 4번 관련 내용인 다음 세대인 자녀 세대를 위한 준비와 노력에 대한 내용은 선택교과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선택적 학습자들에게 지원되는 셈이라고 볼 수 있다.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의 내용이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그치지 않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연계되고 확장될 때 학습자에게 보다 심도 있는 교육과 지원이 제공됨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가정과 특히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결과 2015 개정 가정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는 타교과에 비해 K-SDGs의 다양한 목표가 잘 반영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가정과 교육과정 내에 이들 K-SDGs 관련 내용을 보다 구체적, 실천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 전략으로 다양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함께 생각해 나가는 협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종합적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황혜연, 김윤정, 2012), 가정과에서도 이와 관련된 구체적 실천 방안의 추가가 실제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가정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K-SDGs를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에서 현재 교육과정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K-SDGs도 추후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K-SDGs를 달성하는 주체가 인간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7번 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12번 지속가능한 소비․생산 증진 그리고 17번 지구촌 협력 강화의 경우 인간의 인식 자체를 전환시키는 교육이 우선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는 가정 특히 가족생활에서의 실천으로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은 특정 이슈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Bonnet, 2002). 따라서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내의 내용요소들도 융합교육을 통해 다양한 쟁점을 다루면서 관련 K-SDGs 달성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의 융합교육으로는 K-SDGs 세부목표들 간의 융합도 포함될 뿐만 아니라, 가정교과 단원 간의 융합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번 목표(불평등 해소)와 16번 목표(인권․정의․평화)는 핵심개념 발달의 또래문화와 친구관계에서 두 가지 목표를 함께 달성할 수 있는 융합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다룰 수 있다. 또한 3번 목표(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는 핵심개념 발달의 내용요소인 또래문화와 친구관계, 관계의 내용요소인 가족의 의사소통과 갈등관리를 융합하는 다양한 학습활동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가정교과가 실천적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시도해 실천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흥미 있는 읽기 자료의 경우 내적 동기를 유발시켜 학생들의 인지, 정의적 영역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조나연, 백성혜, 2016)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경우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목표를 달성하는 주체자로서의 역할, 권리와 의무를 강조한다면 이러한 측면이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가정과의 하위 교육과정 중에서도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K-SDGs와의 관련성만을 분석하였다. 가정과 교육과정 전체와 K-SDGs와의 관련성에 대해 총괄적으로 논하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에서 가정과의 다른 영역과 K-SDGs와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과 K-SDGs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과서와 K-SDGs와의 관련성이나 교과서를 활용한 K-SDGs 달성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면 학교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에게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인간의 발달과 근접생활환경인 가족에 대한 내용 영역과 K-SDGs가 관련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지속가능발전을 직접적으로 행동하고 실천해야 하는 주체자인 인간을 중심으로 가정교과 내에서 K-SDGs 달성 방안과의 연계점을 모색한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과 우리나라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와의 관련성을 처음으로 시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의 내용요소와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와의 유관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연계점을 학교급별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Notes

1) 이 연구는 2020학년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특별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교육부(2015). 중등학교 교육과정 별책10: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2.

김지현, 배경석, 박연경, 지덕영, 손연아(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SDGs 세부 목표 분석 - ‘Ⅳ. 환경과 에너지 단원’을 중심으로 -.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1), 37-49.

3.

김영하, 최도성(2016). 초등학교 사회·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관련 내용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50-156.

4.

김은경, 조재순(2020). 중학교 가정교과의 SDGs 교육을 위한 지속가능한 주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2(2), 77-97.

5.

배경석, 정라현, 지덕영, 손연아(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Ⅰ 교과서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목표 분석. 교육과학연구, 22(2), 25-46.

6.

배윤영, 이윤정, 김경민(2020). 지속가능발전교육 (ESD) 을 위한 가정생활의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23-141.

7.

온정덕(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주요 개정 내용. 한국교육개발원.

8.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19).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학습목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9.

육경민(2020).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및 탐구 성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143-1165.

10.

이성민, 유난숙(2019).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에 반영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1(2), 79-94.

11.

임정하, 전미경(2016). 2015 개정 가정과의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8(1), 1-17.

12.

장다원, 이윤정, 이선영(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복관리와 재활용’관련 내용의 지속가능발전교육 (ESD) 연관성 및 탐구적 성향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2(1), 89-105.

13.

전송이, 이상원(2019).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의 보장’ (SDGs12 목표)에 연계한 초등 실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교육논총, 39(4), 183-214.

14.

전효정, 고은경(2020).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 (K-SDGs) 의 영유아 관련 세부목표의 우선순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1-17.

15.

조나연, 백성혜(2016).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읽기 자료의 특성 비교 및 학생과 교사의 요구 분석. 융합교육연구, 2, 55-82.

16.

최성연, 이영선, 김은정, 김승희, 이지선, 조재순(2019).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주생활’단원 내용과 관련된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1(1), 115-136.

17.

한주(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교과서 활동과제의 민주시민역량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1), 79-97.

18.

환경부(2019).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보고서 2019. 환경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19.

황혜연, 김윤정(201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전략, 교육문제연구, 18(1), 108-132.

20.

Bonnet, M. (2002).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s a frame of mind. Environmental Educational Research, 8(1), 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