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평가연구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1)

이윤경1,*, 조미혜2,**
Lee Yoonkyung1,*, Cho Mihye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인하대학교 강사
2인하대학교 교수
1Lecturer, Inha University
2Professor, Inha University
*제1저자, vivian78@snu.ac.kr
**교신저자, phycmh@inha.ac.kr

© Copyright 2019,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04, 2019; Revised: May 03, 2019; Accepted: May 17, 2019

Published Online: May 31, 2019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무용역량에 기반한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여,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전문무용역량과 2015 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교과목 간 적합성을 확인하고, 둘째, 전문무용역량의 의미를 반영한 교육현장 개선요구를 탐색하였으며, 셋째, 전문무용역량 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재구조화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워커의 교육과정개발모형을 토대로 문헌고찰, 서면조사, 면담, F.G.D, 전문가회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무용역량 대범주 및 역량요소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및 내용영역이 재구조화되었다. 재구조화된 전문무용교육과정은 역량의 특성이 반영된 총체적 연계 구조를 통해 교육과정의 역동성을 이끌어내었다. 그리고 전문무용교육과정의 본질적 의미와 실천방향이 강조되었으며, 교육과정 개선의 관점에서 보완되어야 할 내용과 적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현을 위하여,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및 전문무용교육과정 운영체계 점검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petency-based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by restructuring artistic high school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based on specialized dance competence(SDC). To accomplish this goal, three researche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ly, confirmation of conformity between SDC and 2015 revised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secondly, exploring the needs to improve the specialized dance education reflecting the meaning of SDC, thirdly, restructuring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based on SDC.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written survey, interview, F.G.D, and expert meeting based on Walker’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is study restructured the subjects and contents area of the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to enhance SDC. Through this study, the subject and content area of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to enhance SDC has been restructur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tructured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led to the dynamics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totally linked structure, and this structur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 In addition, the essential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were emphasized, and the content and application method to be supplemented from the viewpoint of curriculum improvement were derived. In order to realiz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the arts high school's specialized dance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operation system of specialized dance curriculum an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dance teacher for professional growth.

Keywords: 역량기반 교육과정;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교육
Keywords: Competency-based Curriculum; Artistic High School; Dance Education

Ⅰ. 서론

예술은 이해에서 출발하여 경이로움으로 인간 본성의 활력을 더하여 인간에 이롭게 기여한다(Dewey, 1934). 인간의 충만한 정서를 돕는 예술가들은 현대시대에서 전문영역을 구축하며, 예술 본연의 기능(function)과 가치를 이해시킬 수 있는 전문성과 책무 또한 부여받게 되었다(Hauser, 1953). 현대시대에서 억제된 인간의 감정과 움직임을 통합하는 무용은 가치가 주목되는 예술로, 무용예술가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으로 양성되어야 한다(Martin, 1939).

예술고등학교는 우리나라 학교교육체제에서 예술가를 양성하는 대표적인 조기교육 기관이다.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교과교육과정은 제 4차 교육과정 시기에 포함된 것을 기점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개정작업을 거쳐 왔다(교육부, 1992, 1997, 2015;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인적자원부, 2007; 문교부, 1988). 교육의 보편성과 시대성을 담아 개정작업을 거치는 교육과정의 의미와 지향을 고려할 때,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교과교육과정은 예술가 양성방향의 지표라 하겠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지향을 주시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자료마련은, 궁극적으로 미래 예술가 양성에 기여하는 가치를 지닌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역량을 강조한 것으로, 학교무용교육 영역에서도 역량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중등학교 무용교육 개선을 위해 무용역량의 개념과 구조를 제시하고, 교육과정 개발사례를 공유한 연구들과(이윤경, 조미혜, 2016a, 2016c), 체육교과 표현 영역 내용체계에서 강화되어야 할 역량을 주제로 한 연구가 있었다(홍애령, 조미혜, 2019).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 영역의 경우, 전문무용역량의 개념과 구조를 도출하여 교육적 의미를 논의한 연구와(이윤경, 조미혜, 2016b), 전문무용역량에 대한 무용전공 학생들의 인식을 실천적 관점에서 탐색한 연구가 있었다(임은주, 김대진, 2018). 그동안 전문무용교육과정에 대한 국내연구가 미진하였던 현실에 비추어볼 때(신은경, 2006; 조은숙, 2008), 최근 전문무용역량을 주제로 한 연구가 이어지는 경향은 고무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전문무용역량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체제를 고려하여 교과역량의 구조화를 위한 이론적 틀에 근거하여(이근호 외, 2012)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의 목표를 반영한 조사도구를 개발한 후,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학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소통과 합의를 거쳐 도출되었다. 이러한 전문무용역량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취지와 전문무용교육이 추구하는 본질적 가치를 담고 있다는 데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송혜순, 황명자, 2017; 이윤경, 조미혜, 2016b; 임은주, 김대진, 2018; 차은주, 안병순, 2017).

역량의 개념은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기점으로 학교교육에 반영되기 시작하였다(소경희, 2007; Rychen, 2003).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현한 선진국 사례를 살펴보면, 학교교육과 개인의 삶에서 요구되는 교육의 통합을 위하여 국가주도로 범교과적 역량과 교과 고유의 역량을 제시한다. 또한 교과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한편, 현지 교육상황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소통과 협의 차원을 강조한다는 특징이 있다(소경희, 이상은, 박정열, 2007; 이경한, 2013; 소경희 외, 2010; 홍원표, 이근호, 이은영, 2010).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인간행동학 관점에서 역량을 재구성하므로, 기존의 목표기반 교육과정 혹은 자원중심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루어 학교교육과정의 개혁으로 이끈다(Jonnaert et al., 2007).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역량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바 있으나 총론에서 다루지 않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총론의 핵심역량과 각론의 교과역량이 전면에 부각되었다. 2015 개정 교과교육과정은 교과목 및 교과 내용영역에서 강화되어야 할 역량을 제시한 역량중점 교육과정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향하는 점진적 교육개혁의 과정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윤지영, 온정덕, 2016; 홍원표, 2017).

사회와 학교의 통합교육을 사상적 배경으로 삼고, 인간자본론과 교육책무성 이론을 근거로 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시대가 요청하는 학교교육의 개혁으로(송경오, 박민정, 2007), 차기 교육과정에 대비한 교과영역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발을 주제로 논의가 한창이다(가은아, 2014; 김혜경, 2014; 서혁, 오은하, 2013; 이효성, 이용환, 2011; 정현성, 오은하, 2016). 학교무용교육 영역에서는 역량에 기반한 초·중등 무용교육과정 내용체계를 개발한 사례가 있었다(이윤경, 2017a). 이 연구결과를 2015 개정 체육교과 표현 영역 내용체계와 비교하면, 무용인성 내용요소가 전면에 강조되고, 예술적 차원의 내용요소가 강조된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통시적 관점에서 내용요소의 계열화를 이루는 한편, 내용영역별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새로운 세부내용들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교육과정 개발연구는 기존 교육과정 범위 밖에 있었던 내용을 발견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신기철, 2018). 기존연구에 이어 교육체제가 상이한 전문무용교육과정은 예술가 양성의 중요한 가치를 고려할 때,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재구성 사례로써 자료창출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향한 점진적 교육개혁 단계에서 전문무용역량(이윤경, 조미혜, 2016b)에 기반한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하에 첫째, 전문무용역량과 2015 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 간 적합성을 확인하고, 둘째, 전문무용역량의 의미를 반영한 교육현장 개선요구를 탐색하였으며, 셋째, 전문무용역량을 기반으로 2015 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를 논의한 이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전문무용교육 현장개선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과정 및 절차

본 연구는 자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토대로 교육현장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역동적인 협상을 통해 개발물을 창출해내고자 하였다(김영천, 조재식, 2001). 이에 강령, 숙의, 설계의 요소를 반영하여 문헌고찰, 서면조사, 면담, F.G.D(Focused Group Discussion), 전문가회의를 수행하였다(Walker, 2012). 연구과정의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문헌고찰로 1차 서면조사 도구를 구안한 후, 전문가회의에서 조사도구를 점검 및 보완하고,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1차조사 수행과 분석 후에는 2차 조사도구를 구안하고, 전문가회의를 통해 보완과 분석기준 설정을 거쳤다. 2차조사 수행과 분석 후에는 면담 질문지와 F.G.D 자료를 제작하였고, 전문가회의로 보완과정을 거쳤다. 면담 후에는 1차 F.G.D를 수행하였고, 전문가회의에서 2차 F.G.D 안건 및 추가 확인할 내용을 협의하였다. 2차 F.G.D 후 수행한 전문가회의에서는 종합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최종 재구조화하였다.

2. 연구 참여자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국가교육과정 및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 현장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여야 한다. 따라서 박사학위 취득여부, 연구 및 교육과정 개발경력, 전문무용교육기관 5년 이상 재직경력, 전공학문 영역 및 무용장르 등의 선정기준을 설정한 후, 이상적 사례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Goetz & LeCompte, 1984). 서면조사 참여자는 대학교수와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 총 10인을 선정하였다. 면담 참여자는 총 6인으로, 서면조사 응답결과의 보편성을 고려하여 4인을 1차 선정하고, 서면조사에 미참여한 전문무용 지도자 2인을 2차 선정하였다. F.G.D 참여자는 총 6인으로, 기존 자료수집에 참여한 대학교수 2인과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 2인, 기존 자료수집에 미참여한 대학교수 1인과 무용교사 1인을 선정하였다. 각 연구절차별 참여자 구성에서는 외부에서 참여자를 추가 영입하여, 사전 논의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전문가 그룹은 전문무용교육과정 전문지식을 보유한 대학교수, 연구원,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 각 1인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전 과정을 점검하고, 학자그룹과 교사그룹별 의견을 절충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표 1. 연구 참여자
단계 성명 * 학위 학문영역 및 전문장르 경력 직업
서면 조사 강물 박사 무용교육 19년 대학교수
나무 박사 발레/무용이론 15년 대학교수
대지 박사 무용이론 14년 대학교수
산천 박사 무용교육 21년 대학교수
하늘 박사 무용교육 37년 대학교수
햇님 박사 댄스스포츠/무용이론 16년 대학교수
구름 박사 한국무용/무용이론 8년 예술고 무용교사
달님 박사 현대무용/무용이론 16년 예술고 무용교사
바위 박사 발레/무용이론 11년 예술고 무용교사
별님 박사 현대무용/무용이론 26년 예술고 무용교사
면담 면담 구름 박사 한국무용/무용이론 8년 예술고 무용교사
달님 박사 현대무용/무용이론 16년 예술고 무용교사
바다 박사 댄스스포츠/무용역학 18년 전문무용교육 현장 지도자
바람 박사 한국무용/무용이론 26년 예술고 무용교사
면담 별님 박사 현대무용/무용이론 26년 예술고 무용교사
햇님 박사 댄스스포츠/무용이론 16년 대학교수
F.G.D 강물 박사 무용교육/무용이론 19년 대학교수
구름 박사 한국무용/무용이론 8년 예술고 무용교사
들풀 박사 현대무용/무용이론 6년 예술고 무용교사
바람 박사 한국무용/무용이론 26년 예술고 무용교사
파도 박사 발레/무용이론 20년 대학교수
햇님 박사 댄스스포츠/무용이론 16년 대학교수
전문가회의 전문가 1 박사 무용교육과정 30년 대학교수
전문가 2 박사 무용교육/현대무용 14년 연구원
전문가 3 박사 무용교육/한국무용 15년 예술고 무용교사

* 성명은 가명처리 하였음.

Download Excel Table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서면조사, 면담, F.G.D, 전문가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헌고찰은 전문무용역량 및 전문무용교육과정 관련 문헌자료를 분석하여 서면조사 도구구안에 주로 활용하였다2). 또한 국내 예술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과정 운영현황 자료(학교알리미, 2018. 6. 30)와 2015 개정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문서(교육부, 2015)를 고찰하여, 숙의와 설계 단계의 자료 및 논의근거로 활용하였다. 문헌고찰은 각 단계별 목적에 따라 전문무용역량 대범주 및 하위요소,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별 주요목표 및 내용 영역, 국내 예술고등학교별 전문무용교과 편성 학년 및 시수 등의 준거를 기준으로 분류분석하였다.

서면조사는 전문무용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간 적합성 파악을 위하여 2차 수행되었다. 1차 조사의 문항은 전문무용역량 대범주와 전문무용 교과목 간 구조화와, 참여자 견해를 기입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2차 조사 문항은 1차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무용역량 하위요소와 전문무용 교과별 내용영역 간 구조화 및 참여자 견해를 기입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서면조사로 취득된 결과는 면담질문 구안과, F.G.D 안건 및 자료제작에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전자우편으로 발송한 후 회신 받았고, 직접방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서면조사 결과는 회차별 기준에 따라 빈도분석과 범주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1차 조사의 분석기준은 5인 이상채택과 상위 3개 순으로, 2차 조사의 분석기준은 3인 이상채택과 상위 3개 순으로 설정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서면조사 결과를 재검토하고, 추가적 논의가 필요한 사안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인의 참여자와 각 60분 가량 개별면담을 수행하여, 전문무용역량의 의미를 기준으로 교육신념과 전문무용교육 개선요구를 탐색하였다. 면담내용은 오디오 파일로 저장한 후, 제1저자가 직접 전사 후 PC에 저장하였다.

F.G.D는 6인의 참여자를 교수그룹과 교사그룹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별로 2회 수행되었으며, 1회차 당 약 90분 가량이 소요되었다. F.G.D는 전문무용교육 현황 및 개선방향을 논의하고,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향을 합의해가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F.G.D 내용은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로 저장하였고, 제1저자는 관찰일지 작성 및 전사 후 기록하였다.

전문가회의는 자료수집 단계별 설계 및 보완, 분석, F.G.D 그룹별 의견 절충을 통한 최종 결과창출을 목적으로 총 6회 수행되었다. 회의는 각 50분에서 90분 가량 수행되었으며, 회의안건의 충분한 숙지를 위하여 1주 전 자료를 발송하였다. 전문가회의 내용은 오디오 파일로 저장하는 한편, 제1저자가 작성한 회의록에 대해 확인과정을 거쳐 전사 후 기록하였다.

면담과 F.G.D, 전문가회의로 정리된 전사자료는 초기코드 부여, 초점 코드 생성, 이론적 코드 생성으로 전개되는 3단계 코딩 기법으로 분석하였다(Charmaz, 2014). F.G.D, 전문가회의 자료는 잠재적 내용분석(Fox, 1982)을 통해 구조적 의미에 대한 심층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 분석에서는 영역분석으로 핵심주제를 도출하고, 성분분석으로 공통주제를 체계화한 후, 재구조화된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의미를 범주화하는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Spradley, 1980).

Ⅲ. 연구결과

1. 전문무용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진단
가. 무용인성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1) 무용인성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적합성

무용인성 역량 강화에 적합한 교과목은 ‘없음/추가구성 필요’가 가장 높게 집계되었고, ‘무용의 이해’ 교과목이 2순위로 높았다<표 2-1>. ‘무용의 이해’를 선택한 3인의 의견을 살펴보면, ‘무용의 의미를 되새기며 인성이 강화될 것’으로 보았다. 2차 서면조사도구 구안을 위한 전문가회의에서는 ‘무용의 이해’ 교과목을 선택한 참여자 의견을 토대로 재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2차 서면조사에서 무용인성 역량의 하위요소와 무용의 이해 교과목의 내용영역 간 구조화 문항을 구성하여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무용사랑’, ‘경쟁과 성장’, ‘예절과 배려’ 등 3개 요소 모두에서 ‘추가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무용사랑’과 ‘예절과 배려’ 요소에서 ‘무용의 본질’ 내용영역의 적합성이 높았다<표 2-1>.

표 2-1. 무용인성 역량 및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1차 구조화 [단위: 개]
구분 무용의 이해 무용과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실습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매체 없음/추가필요
1차 무용인성 역량 3* - 1 1 - 1 - - 5
2차 하위요소/내용영역 무용의 이해 없음/추가 필요
무용의 본질 무용의 분류 예술무용의 흐름 대중무용의 흐름
무용사랑 4 1 1 5
경쟁과 성장 2 1 1 1 7
예절과 배려 4 5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2) 무용인성 역량의 의미와 전문무용교육 개선요구

무용인성 역량은 당장의 가시화된 성과로 드러나지 않더라도, 자신의 예술세계로 깊이 접근해가는 의미를 함축한다. 무용인성 역량의 힘에 대해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구름: 실기를 바탕으로 표현하는 힘을 기르고, 거기서 한 차원 더 높은 수준은 인성으로 가야한다고 봅니다. 인성을 다져야 앞으로의 예술세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해요. [F.G.D 中]

바람: 스무살에 예쁜 춤을 췄다면, 마흔에는 자기 사상을 드러내야 되거든요. 어떻게 살아왔고 생각하고 있다 하는 게 춤에 다 묻어나니까 잘 살아야 해요..[면담 中]

바다; 그런말도 하거든요, 강한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거라고.. 제 위에 더 잘하시는 분도 많았지만, 아무도 알아주지 않으면 결국 사라지게 되어 있어요..[면담 中]

‘무용사랑’ 요소는 무용전공자로서 지녀야 할 자세를 형성하고, 평생에 걸쳐 꾸준히 정진하고 나아가게 하는 힘을 발휘한다. ‘예절과 배려’는 무용학습과 수행하는 과정에서 동료와 선후배 간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여, 함께 나아갈 수 있는 힘과 의미를 깨우치게 한다.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전문무용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인성교육의 실천이 어려운 교육현장의 현실 역시 언급하며,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기준 확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대학입시가 중심이 된 교육현장에서 가장 큰 문제는 과도한 경쟁으로, ‘경쟁과 성장’ 요소 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전문무용교육문화를 정립할 필요가 있었다.

달님: 상 받고 몇 등 하는게 다가 아닌데, 그쪽만 보고 있어요, 춤추기 전에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이런 말은 저도 들으며 커 왔죠. 하지만 이런 한마디라도 하는 선생님이 있고 넘어가는 선생님이 있고, 재량껏이라는 게 너무 커요...[면담 中]

무용이 인성교육의 기제로 다루어지는 중요한 이유는 비경쟁적인 속성을 내포하기 때문이다(김승일, 차은주, 2015). 그러나 전문무용교육 현장의 경우,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피로감이 심각한 수준으로 우려되고 있다(권묘정, 2010). 수상실적 중심의 입시체제를 반영한 교육이 전개될 수 밖에 없는 총체적 상황 하에서, ‘경쟁과 성장’ 요소 교육에 대한 참여자들의 고민은 특히 더 깊었다. 참여자들은 전문무용교육 현장의 과도한 경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경쟁을 성장의 발판으로 재인식하도록 교육하는 방향을 강조하였다.

파도: 예고도 대학도 너무 경쟁적이에요. 우리 모두의 성취가 중요하고, 나를 이긴 친구에게 박수를 보낼 수 있는, 긍정적인 경쟁교육이 시급하다고 생각해요. [F.G.D 中]

햇님: 경쟁엔 반드시 그게 있어야 해요, 왜 저 친구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는지 피드백, 안 그러면 계속 경쟁만 하다 끝나고, 넘어서려면 인정이 먼저라는 교육을 해야... [면담 中]

참여자들은 무용인성 역량의 강화는 실기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았다. 이론지식 학습과정에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지만, 내면에서 받아들이고 실행하도록 하고, 자신의 예술세계를 쌓아가도록 이끄는 실기교육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구름: 실제 이론수업은 울며 겨자먹기에요. 책보고 선생님 짚어주는 거 외우고...예절 지키는 건 몰라서 못하는 게 아니라, 익숙치 않으니까 못하는 거죠... [F.G.D 中]

햇님: 인성을 갖추려면 직접 움직이면서 생각해야 되겠죠. 소통되면 상대도 이해할 수 있고, 연습하면서 실제 유사한 상황들을 만들어놓고 녹아들어갈 수 있도록...[F.G.D 中]

나. 무용기능수행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1) 무용기능수행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적합성

1차 서면조사 결과, 무용기능수행 역량 강화에는 ‘무용음악 실습’과, ‘무용과 몸’, ‘무용기초실기’, ‘무용전공실기’ 교과의 적합성이 높게 나타났다<표 2-2>. 무용기능수행 역량의 하위요소와 구조화된 교과목 내용영역 간 적합성을 알아본 2차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표 2-2. 무용기능수행 역량 및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1차 구조화 [단위: 개]
구분 무용의 이해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실습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매체 없음/추가 필요
1차 무용기능수행 역량 2 5 5 5 6 2 - - 5
2차 하위요소/내용영역 무용음악실습 무용과 몸
리듬과 장단 선율과 화음 선곡 및 편집 제작 및 활용 몸의 구조 몸의 기능 몸의 이완과 정렬 몸의 조화와 균형
전공실기 능력 3 3 2 2 1 1 2 1
기초실기 능력 3 1 2 1 1 2 1 1
신체관리 능력 9 9 11 11
음악해석 능력 9 9 8 2
표현 능력 2 2 2 5 1 1 1 1
2차 하위요소/내용영역 기초실기 전공실기
동작의 용어 동작의 특성 기본동작 종류 방법 기본동작 발전 기본동작의 응용 응용동작의 확장 레퍼토리 실기 작품 표현 실기
전공실기 능력 3 3 3 6 9 8 6 5
기초실기 능력 4 7 8 4 3 2 1 1
신체관리 능력 1 2 1
음악해석 능력 1 1 2 1
표현 능력 3 1 2 4 4 7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기초실기능력’ 요소는 무용 음악 실습 교과목의 ‘리듬과 장단’ 에 관계되는 반면, ‘전공 실기 능력’ 요소의 경우 ‘선율과 화음’ 과 같이 보다 풍부한 감정표현 및 전달요소에서 적합성이 나타나는 특성이 있었다. ‘무용 기초 실기’ 교과목의 경우, 모든 내용영역에서 ‘전공실기능력’과 ‘기초실기능력’ 요소 간 적합성이 동일하게 높았다. 반면, ‘무용 전공 실기’ 교과목의 경우 ‘기본동작의 응용’을 제외하고 ‘응용동작의 확장’,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내용영역 등, 전문기능수행의 발휘 측면에서 적합성이 높게 나타난 특징이 있었다<표 2-2>.

‘신체관리능력’ 요소의 의미는 움직임의 주체적 도구인 몸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이 요소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구성된 ‘무용과 몸’ 교과목의 모든 내용영역과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해석 능력’ 요소는 무용 음악 실습 교과목의 ‘리듬과 장단’, ‘선율과 화음’, ‘선곡 및 편집’ 내용영역과 높은 적합성을 보였다. ‘표현능력’ 요소는 무용 음악 실습 교과목의 ‘제작 및 활용’, ‘무용 기초 실기’ 교과목의 ‘동작의 특성’, 그리고 ‘무용 전공 실기’ 교과목의 ‘응용동작의 확장’,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등 기본동작의 습득과 수행 중심 내용 영역과 관련이 있었다. ‘표현능력’ 요소는 무용과 몸 교과를 제외한 실기 교과의 폭넓은 영역에서 높은 적합성을 보인 특징이 있었다<표 2-2>.

2) 무용기능수행 역량의 의미와 전문무용교육 개선요구

참여자들은 무용기능수행 역량에 대해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역량으로 인식하였지만, 전문무용교육에서 무용기능수행에 대한 관점이 동작기능수행 능력에 경도되어 있는 경향을 지적하였다.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전문무용의 성과와 같이(김명회, 2014), 무용전공 학생들의 동작기능 수준은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참여자들은 예술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의미가 단순히 동작기능수행을 향상시키는 차원을 넘어서야 할 것으로 보았다. 즉, 사교육 기관을 통해서도 동작숙련이 가능하므로, 전문교육과정에 입문한 학생 대상 학교교육은 달라야 한다는 견해였다. 이와 관련하여 무용기능수행 역량의 하위요소인 ‘신체관리능력’을 들며, 이론지식과 실기교육을 접목하여 학생들의 무용기능수행 역량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접근이 중요하다 하였다. 교육현장에서는 ‘신체관리능력’ 요소 교육의 중요성을 높이 체감하고 있었고, 2015개정 교육과정의 신설 교과인 ‘무용과 몸’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그러나 해당 교과목 내용영역에는 해부학 관련 내용이 주요하였으므로, 무용하는 몸 관리방법, 식이요법, 부상과 대처방법 등 실천적 내용구성 방안이 건의되었다.

달님: 다이어트를 잘못된 방법으로 하거나, 다치고 제대로 대처 못해 심각해지기도..[면담 中]

바다: 몸 관리하는 거 솔직히 많이 못 가르쳐요, 잔소리는 하죠, 체력관리 해라, 안 다치게 계속 몸풀어라... 영양섭취는 더 부족해요, 제가 이태리 있을 때 같이 춤추는 의사선생님이 그런 거 가르쳐주셨거든요, 대회 가서 뭐먹고, 몇 주 전에는 뭐먹고, 아주 도움이 많이 됐어요. 몸관리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런 것들이 학교에서 가르쳐지면 좋겠습니다...[면담 中]

참여자들은 ‘전공실기능력’과 ‘기초실기능력’ 역량요소에 있어서도 전문무용교육의 특화된 접근이 요구된다 하였다. 모든 춤의 장르를 망라하여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알고 수련해야 할 기초 차원의 요소가 있다면, 전문적으로 갖추고 발전시켜가야 할 전공차원의 요소가 있으므로 기초실기에서 전공실기로 계열화되는 체계적인 무용전공 실기교육이 필요하였다. 전문무용교육과정 운영현황을 고찰한 바에 의하면, ‘무용 기초 실기’ 및 ‘무용 전공 실기’ 등 주요 실기교과의 구성비중이 높았지만(학교알리미, 2018. 6. 30). ‘무용 기초 실기’ 교과를 다루지 않거나, 고학년 과정에 편성한 일부 학교의 사례가 발견되었다.

강물; 중학생 때 결정한 전공보다 더 잘 맞는 전공을 찾을 수 있어요. 발레, 한국무용도 해보고, 댄스스포츠 모던 해보고, 라틴 해보고, 몸 쓰는 게 장르별로 또 차이가 있어요, 그 다음에 내게 맞는 전공 찾아서 아주 깊이 파고 들어가야죠, 학교가 그 길을 열어줘야죠. [F.G.D 中]

들풀: 한국무용이나 발레, 현대무용을 하는 몸 기본이 있어요, 우선 내 몸이 전공답게 충분히 할 때까지 고등학생은 구분하고, 대학가서는 장르를 넘나들도록 가르치는 게 맞아요.[F.G.D 中]

‘음악해석능력’은 음악 자체의 교육에서 나아가, 춤을 중심으로 한 음악적 해석과 활용이 강조되어야 하였다(Scruton, 1987). 이를 위해서는 예술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건인 ‘표현능력’과 연계하여 교육하고, 주도적인 탐색과 해석을 유도하는 교육이 요청된다. 참여자들은 ‘음악해석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무용 음악 실습’ 교과의 중요성을 들며, 춤의 표현성을 강화하는 교육방향을 강조하였다. 표현능력을 극대화하려면 교사중심 수업이나 반복훈련을 넘어, 자기주도적 탐구로 이끄는 것이 중요하였다(Carroll, 1981).

별님: 오페라 작품 중에 어두운 숲을 지나는 부분을 들려주고, 느껴지는 감정을 춤으로 표현해라, 이런 식으로 수업을 했죠. 음악선생님들은 음계, 기호 이런 내용을 강조하세요...[면담 中]

바다: 표현해내는 건 결국 자기가 하려고 하는 게 8할 이상이 아닐까요?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자기 혼자 무용실 와서 연습하고, 거울보고 연습하고, 그래서 드러나지는 거죠...[면담 中]

파도: 표현을 잘 해내려면 음악과 춤이 완전히 하나가 될 때 가능한데, 이건 선생님이 해주는 게 한계가 있어요. 연습을 하다보면 어느 순간 음악을 몸으로 받아들이는 때가 오는데, 이때부터 학생들이 작품을 표현해내기 시작하거든요, 그걸 느끼면 재미있어 해요..[F.G.D 中]

다. 무용지식확장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1) 무용지식확장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적합성

1차 서면조사 결과, 무용지식확장 역량 강화는 ‘무용의 이해’, ‘무용 감상과 비평’, 그리고 ‘무용과 몸’, ‘무용과 매체’ 등의 무용이론 교과목 간 적합성이 높았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무용지식확장 역량 하위요소와 내용영역 간 적합성을 알아본 2차 조사 결과, ‘지식활용능력’과 ‘통합이해능력’ 요소는 교과목 내용영역에서 적합성이 고르게 나타났다<표 2-3>.

표 2-3. 무용지식확장 역량 및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1차 구조화 [단위: 개]
구분 무용의 이해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실습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매체 없음/추가 필요
1차 무용지식확장역량 7 5 1 1 2 3 6 5 1
2차 하위요소/내용영역 무용의 이해 무용감상과 비평
무용의 본질 무용의 분류 예술무용의 흐름 대중무용의 흐름 무용 감상 무용 비평 예술무용 감상과 비평 대중무용 감상과 비평
지식 활용능력 6 6 1 1 5 5 2 2
통합 이해능력 3 5 9 9 4 4 8 9
하위요소/내용영역 무용과 몸 무용과 매체
몸의 구조 몸의 기능 몸의 이완과 정렬 몸의 조화와 균형 매체의 개념과 역할 매체의 분류 매체의 선택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지식 활용능력 6 6 5 5 6 6 5 5
통합 이해능력 2 2 4 4 2 1 3 5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2) 무용지식확장 역량의 의미와 전문무용교육 개선요구

예술고등학교의 전문무용교육은 이론과 실기교육을 병행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의미한다(신은경, 2006; 이윤경, 조미혜, 2016b).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이론중심 전문무용 교과목은 ‘무용의 이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매체’와 ‘무용과 몸’이며, ‘무용지식확장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 무용교육과정 간의 적합성은 이론중심 교과에서 높았다.

바다: 한 번씩 과거시험이라고 이론시험 칠 때 있어요. 시간도 걸리고 애들 싫어하고, 어떤 선생님들은 거 왜하냐 그래요. 하지만 하다보면 애들이 부담이 없다 합니까? 처음엔 멋 모르고 보다 자신감 붙으니까 처음 온 애한테 설명해주더란 거죠, 이건 이런 용어고, 이렇게 하면 돼 하고..그런 공부하고 설명할 정도 되면, 그 부분은 완전히 자기걸로 만들어버려요 [면담 中]

참여자들은 무용지식의 교육적 의미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한편, 실기와 이론이 이원화된 접근은 지양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즉, ‘지식활용능력’은 이론적 이해와 기능적 구현으로 결합하여 내재된 지식의 체화로 이끌어야 하고, ‘통합이해능력’의 지향의미에서처럼 총체적이고 통합적 학문인 무용예술을 이해하고 실제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햇님; 댄스스포츠 할 때 풋워크, 체중이동, 암액션, 헤드액션, 스퀴즈 이런 요소들이 있어요. 신체별로 하체, 상체로 나눌수도 있고...하나에서 둘 정도는 기능인데, 그 이상을 복합적으로 알고 하면 전공지식 수준으로 보는 거고, 그거는 표현이나 기능수행에 더 가깝게 봐요. [면담 中]

강물; 무용공연에는 음악과 미술, 문학, 연극적 요소들이 모두 통합되어 있다는 걸 먼저 알아야 해요. 무용은 몸으로 나타내고 소통하는 것이 주가 된다는 것이죠. 몸으로 나오는 것은 그 어떤 매체들보다 강하게 전달될 수 있어요. 모든 예술과 문학적 장르 이해를 갖춰서 몸으로 전달하는 강렬한 힘을 이해할 때, 진정한 무용예술인의 지식을 갖춘다고 생각해요. [F.G.D 中]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살펴보면(교육부, 2015), 무용이론 교과의 유의사항에서는 학습내용을 실기수업에 적용하도록 안내하고 있으나, 무용실기 교과에서는 이론교과 지식의 활용이나 통합적용에 대한 언급이 불충분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이원화된 이론과 실기 교육으로 오도할 우려가 있으므로, 실기와 이론교과 간 총체적 연계구조가 필요하였다.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강조하는 경향에 따라 교과담당 교사들이 다르다는 점과, 실기와 이론교육이 분리된 형태로 전개되는 양상이 개선되어야 한다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내용을 포괄적으로 이해한 전임교사 주도의 연계된 전문무용교육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았다.

구름; 실기할 때 적용해야죠. 이론교과 유의점에서 적용하라 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무용과 몸 수업할 때 배운 뭐뭐가 이렇게 되는거야, 하고 실기선생님이 계속 일깨워줘야죠...[F.G.D 中]

별님: 최고 선생님들 초빙하죠, 입상한 선생님들 오시면 학생들 동기부여도 되고요, 문제는 그렇게 모셔온 선생님들에게 이 학교 수업이 주된 직업이 아니란 거죠, 공연하고 작품 만드는 와중에 오시는 거라서, 학원이나 예고나 가르치는 내용은 큰 차이가 없을 거에요. [면담 中]

라. 무용창의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1) 무용창의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적합성

무용창의 역량 강화에 적합한 교과목은 ‘안무’가 가장 높았고, ‘무용과 매체’, ‘무용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등의 교과가 구조화되었다<표 2-4>. 무용창의 역량의 하위요소와 구조화된 교과목 내용영역 간 적합성을 알아본 2차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표 2-4. 무용창의 역량 및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1차 구조화 [단위: 개]
구분 무용의 이해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실습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매체 없음/추가 필요
1차 무용창의 역량 2 2 2 2 5 7 5 5
2차 하위요소/내용영역 안무 무용감상과 비평
안무의 원리 안무의 방법 즉흥 작품 구성 무용 감상 무용 비평 예술무용 감상과 비평 대중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 사고력 4 3 2 1 7 7 8 7
실험시도능력 5 6 7 5 1 1 1 1
상징화 능력 3 3 2 6 1 2 2 2
문제해결능력 2 2 4 6 1 3 1 1
하위요소/내용영역 무용음악 실습 무용과 매체
리듬과 장단 선율과 화음 선곡 및 편집 제작 및 활용 매체의 개념과 역할 매체의 분류 매체의 선택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무용 사고력 5 5 3 3 4 5 4 3
실험시도능력 1 1 4 1 1 2 4
상징화 능력 1 3 2 3 1 1 1 2
문제해결능력 1 1 2 4 1 1 1 2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무용사고력’은 ‘무용과 매체’, ‘안무’,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등 전문무용 교과목의 내용영역에 포괄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이는 무용사고력의 의미가 작품구성 관련 인지와 미적체험, 수행과 시도, 사고능력 등의 교과내용영역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실험시도능력’은 안무 교과목의 ‘즉흥’, ‘안무원리 및 방법’, ‘작품 구성’ 등의 내용영역에서 적합성이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무용과 매체 교과에서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무용 음악 실습에서 ‘제작 및 활용’ 내용영역과도 적합성이 높았다. ‘상징화 능력’과 관련된 내용영역은 안무 교과의 ‘안무의 원리와 방법’, ‘작품구성’, 그리고 무용 음악 실습 교과의 ‘선율과 화음’, ‘제작 및 활용’ 내용영역 등에서 높은 적합성을 보였다. ‘문제해결능력’은 안무 교과의 ‘즉흥과 작품구성’, 무용 음악 실습 교과의 ‘제작 및 활용’ 내용영역에서 적합성이 높았다<표 2-4>.

2) 무용창의 역량의 의미와 전문무용교육 개선요구

예술가에 있어서 생명과도 같은 창의성은 일반적으로 연상되는 기발함이나 새로움을 창출하는 의미인 동시에, 작품을 타인과 공유하여 새로운 세계를 열어주는 의미를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무용창의 역량 강화에는 작품창작 및 공연 관련 교과들이 구조화되었다. 한편, 무용창의 역량의 의미를 반영한 전문무용교육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스스로를 넘어 고차원적 예술로 향하는 의미가 교육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즉,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지식이나 기능차원의 학습에서 성취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면, 무용창의 역량의 교육에서는 스스로를 넘어서는 의미가 강조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를 넘어서도록 하는 무용창의 역량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중시되는 ‘문제해결능력’은 현행 전문무용 교과목에서 적합한 내용영역이 불충분하였다. 이와 관련한 제안의견은 다음과 같았다.

바람: 창의성을 키우려면 인성을 함께 봐야 해요. 가령, 그 나이에 맞는 주제를 던져주고, 안무하게 하는 거에요. 일반학교에서는 디테일하게 진행하기 어려운데, 예고 학생들은 그런 내용들을 섬세하게 그려낼 수 있을 것 같아요.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주고 해결하게끔...[F.G.D 中]

타인을 인정하는 데서 새로움을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창의와 인성은 함께 교육되어야 한다(우한용, 2013; Csikszentmihalyi, 1997). 또한 무용전공 학생들을 위한 창의교육의 핵심이 자기 자신을 넘어선다는 의미에 주목할 때, 무용창의 역량은 인성과 기능, 지식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상위역량의 개념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따라서 무용창의 역량을 작품창작이나 공연에 국한하기에는 그 범위가 컸으므로, 교과 내용영역에서 통합적 연계가 필요하였다.

무용창의 역량의 발현을 위해서는 표현력과 함께 소통능력이 중시되어야 하고, 소통과 공감을 이끌어내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마음을 가져 내면의 힘을 끌어내며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적인 경험, 즉 ‘영성’과 닿을 때 무용창의 역량의 ‘문제해결능력’이 발현될 수 있다(박선영, 이승범, 2010). 참여자들은 이러한 영성이 타 예술 및 학문영역과 구별되는 지점을 몸으로 보며, 몸을 중심으로 ‘무용 사고력’, ‘실험시도능력’, ‘상징화능력’ 요소의 의미를 풀어내었다.

들풀: 몸으로 표현해서 감동을 주고 새로운 세상을 만나게 하는, 이런 것들이 무용창의겠죠. 몸으로 표현한다는 점 때문에, 춤이 하나의 예술장르로 설 수 있다 봐요.,, [F.G.D 中]

바다: 다르게 해보고 싶어, 그거라면 과학도 그럴 수 있을 것 같은데, 내 느낌은 그래, 영혼이라 할까요? 과학은 머리에서 나와서 글이나 물체로 나오고, 무용은 영혼에서 나와서 몸으로 표현한다는 차이겠네요, 결국 무용은 내가 생각하거나 느끼는 걸 몸으로 표현해야지 그게 창의적이다 하는거고, 생각을 몸으로 표현해내면서 참신해, 라고 느끼게 되는거죠,[면담 中]

마. 무용실전수행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1) 무용실전수행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적합성

무용실전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으로는 ‘무용전공실기’, ‘무용기초실기’, ‘무용음악실습’ 등에서 적합성이 높았다<표 2-5>. 1차 조사결과를 토대로 무용실전수행 역량의 하위요소와 구조화된 교과목 내용영역 간 적합성을 알아본 2차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표 2-5. 무용실전수행 역량 및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1차 구조화 [단위: 개]
구분 무용의 이해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실습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매체 없음/추가 필요
1차 무용실전수행 역량 2 2 5 6 5 3 2 1 1
2차 하위요소/내용영역 무용전공실기 무용기초실기
기본 동작의 응용 응용 동작의 확장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동작의 용어 동작의 특성 기본동작 종류의 방법 기본동작의 발전
무대적응능력 3 5 5 6 3 5 3 4
관객소통능력 2 3 3 1 1 1
심리조절능력 1 1 2
하위요소/내용영역 무용음악 실습 없음/추가구성 필요
리듬과 장단 선율과 화음 선곡 및 편집 제작 및 활용
무대적응능력 3 2 4 6
관객소통능력 1 1 1 4
심리조절능력 1 1 2 5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무대적응능력’은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등 실기교과 내용영역과 적합성이 높았다. ‘관객소통능력’은 내용영역의 ‘추가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무용 전공 실기 교과의 ‘레퍼토리 실기’와 ‘작품표현 실기’ 내용영역과 적합성이 높았다. ‘심리조절능력’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과 내용영역에서는 ‘추가구성이 필요’하였다<표 2-5>.

2) 무용실전수행 역량의 의미와 전문무용교육 개선요구

실패를 최소화하여 최대치의 성공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무용실전수행 역량은 결과가 중시되는 특징이 있다. 참여자들의 공통의견은 충분한 연습으로 무용기본을 다져 자신감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전수행 역량이 발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실전수행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로 ‘심리조절능력’을 들었다. 공연불안 등의 심리는 실전상황에서 부정적 결과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문영, 2005), 부정적 심리상태는 연령이 어릴수록 더 높게 인식된다(김영미, 김명회, 서수진, 2012). 따라서 심리조절에 미숙한 학생들의 무용실전수행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심리조절능력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 중요하였다.

바다: 결국은 집중력, 대범함! 산만한 애들은 심사위원이 여기 있고, 마룻바닥이 어떻고, 아이고 이거 틀렸네 저거 틀렸네 선생님한테 혼나겠네 하다가 나오구요..[면담 中]

바람: 기본적으로는 연습을 많이 해도 제대로 발휘 못하는 사람들은 심리문제인 것 같아요. 천재성이 있는 애들은 소수에 불과하니까, 교육으로 심리를 다루어주면 좋겠어요.[F.G.D 中]

참여자들은 무용전공 고등학생에게 있어 무용실전수행 역량을 중요한 차원으로 인식하여 무대경험을 쌓는 데 주력하여 왔다. 그러나 무대경험으로 실전수행 역량이 발현되는 기간은 학생 개개인마다 각기 달랐고, 수상경력이 진학의 주요 요건으로 작용하는 현행 입시제도 하에서 대학 진학률을 높이기 위한 잦은 대회출전 경향을 심각하게 바라보았다. 무용실전수행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구체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이미 충분한 실기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무대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있어 실전수행 환경이 생소하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따라서 경험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무대와 관객에 대한 정보를 전문무용교육에서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달님: 콩클 시즌되면 학생들이 학교를 많이 빠져요. 전국 각지로 다니는 거 보면서 우스개말로 전국 순회공연을 다닌다고 할 정도거든요...그러다보니 친구들끼리 경쟁의식도 더해지구요. 무작정 대회를 많이 나가게 하는 것이 능사인가, 학교교육이 뭔가 고민을 많이 해요.[면담 中]

바람: 무대에서 돋보이는 애들은 더 표현을 한다던가, 그런 능력이 있는 거지, 무용실은 좁고 닫힌 공간인데, 공연장은 넓고 열린 공간이잖아요. 거기서 자기춤을 펼쳐내려면 더 많이 표출해내야 하고, 시간과 공간도 조절할 줄 알고, 보는 사람의 마음도 움직일 줄 알고..[면담 中]

바. 무용진로개발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1) 무용진로개발 역량과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적합성

현행 전문무용교육과정에서 무용진로개발 역량 강화에 적합한 교과목은 ‘없음/추가구성 필요’가 가장 높게 집계되었고, ‘무용과 매체’ 교과목이 2순위로 높았다<표 2-6>. 무용진로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로 ‘무용과 매체’를 선택한 4인의 의견을 살펴보면, ‘시대적 변화흐름을 이해하고, 다양한 진로를 탐구하며 안목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전문가회의에서는 ‘무용의 매체’ 교과목을 선택한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한 재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2차 서면조사에서 무용진로개발 역량의 하위요소와 무용과 매체 교과목의 내용영역 간 구조화 문항을 구성하여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표 2-6. 무용진로개발 역량 및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1차 구조화 [단위: 개]
구분 무용의 이해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실습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매체 없음/추가 필요
1 차 무용진로개발 역량 2 1 2 1 1 2 4* 5
2차 하위요소/내용영역 무용과 매체 없음/추가구성 필요 기타의견
매체의 개념과 역할 매체의 분류 매체의 선택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가치관형성능력 1 1 8 무용의 이해; 무용의 흐름
무용흐름 이해력 2 2 1 3 5
진로설계 능력 1 1 1 7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2차 조사 결과, ‘가치관형성능력’, ‘무용흐름이해력’, ‘진로설계능력’ 등 등 3개 요소 모두에서 ‘추가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무용흐름이해력’ 요소에서 무용과 매체 교과의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내용영역의 적합성이 높았다. 이 외, 무용의 이해 교과목의 ‘예술무용의 흐름’, ‘대중무용의 흐름’ 내용영역이 적합하다는 기타의견이 있었다<표 2-6>.

2) 무용진로개발 역량의 의미와 전문무용교육 개선요구

전문교과 시행계열 고등학교는 영재교육인 동시에 조기 직업교육의 의미도 함께 반영되어 있으므로, 졸업 이후 진로 방향을 안내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전문무용교과 내용영역에서 진로개발에 대한 내용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관련하여 참여자들은 실기 중심 대학입시교육에 경도되어 있는 예술고등학교 교육개선이 시급하다 하였다. 즉, 모든 무용전공 학생들이 무용수가 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은 무용수 양성교육을 중점적으로 받고 있었고, 무용과 관련한 다양한 진로방향을 모색하는 기회 역시 불충분한 실정이었다.

파도: 예고까지 와서 교육을 잘 받았다면 그런 과정들이 전이되어 다른 일도 잘 할 텐데, 가르치는 건 실기가 주죠, 다른 진로는 완전히 닫혀버리는 측면도 있어서 안타까워요. [F.G.D 中]

들풀: 애들이 보통 생각하는 게 무용의상, 분장 이런 거잖아요? 무용수 말고도 행정이나 기획도 할 수 있는데, 많이 열어놓고 알려주면 좋죠...[F.G.D 中]

이러한 실정에서 무용진로개발 역량의 의미와 요소들은 학생진로교육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무용전공 학생으로서 전공분야에 대한 ‘가치관을 형성’하고, ‘무용계의 흐름’을 파악하여, 적성에 맞는 ‘진로방향을 설계’하도록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름: 사실 진로교육 하라면 막연해요, 졸업한 선배들 와서 이야기해주는 것, 대학 교수님들 오셔서 학과 장점이나 입시제도 설명해주는 것, 그 정도로만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개념을 뽑아놓으니까 내 경험을 들어서 알려줄 수도 있겠고...[면담 中]

참여자들은 무용진로개발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함과 함께 정규교과 중심의 비중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안목 확장이 필요하다 하였다. 서면조사로 나타난 바와 같이, 전문무용 교과목에서 무용진로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내용의 추가구성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그 방안에 대해서는 기존의 교과 내에서 다루어질 수 있도록 내용측면을 보완하거나, 간접경험을 안내하는 교양교육이 함께 도모되어야 한다는 데 견해를 모았다. 더불어 수업의 주요교재인 전문교과 인정도서 구성에서 무용진로개발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주는 방안과, 전문무용 교사교육을 강화하는 방안 등, 구체적인 개선 방안들이 제안되었다.

파도: 선생님부터 많이 고민해봐야 가르칠 수 있어요. 춤 잘 추고 입상한 자체는 높이 사요, 노력한 결과니까요. 하지만 무용계에 어떤 사람들이 있고, 어떤 기여를 했나, 이런 생각들을 정리해서 전해줄 수 있어야, 학생 스스로 고민할 수 있게 끌어줄 수 있다고 봐요. [F.G.D 中]

2. 전문무용역량 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재구조화
가. 무용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 재구조화

무용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서면조사 결과에 의하면 ‘추가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무용의 이해’ 교과목 활용의견이 높았다. 숙의로 수렴된 결과에 의하면, 무용인성 역량을 이론 교육에 한정하는 방향은 지양되어야 하였고, 새로운 교과개발이나 내용영역의 추가구성보다 실기 교육의 근원적 차원으로 다루는 것이 적합하였다. 이는 무용인성이 고차원적인 예술세계로 진입하게 하는 토대라는 점과, 실기교육 중심의 현장상황을 고려한 데서 기인한다. 무용인성 역량요소와 교과목 내용영역별 재구조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절과 배려’는 ‘무용의 이해’ 교과의 ‘무용의 본질’과 ‘무용 기초 실기’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 그리고 ‘안무’ 교과의 ‘작품 구성’과 구조화되었다. 그 이유는 무용에 대한 이해와 탐구학습을 기초수준의 실기교육에 적용하고, 동료와 협력하는 작품창작 학습으로 이어감으로써 예절과 배려의 의미를 체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예절과 배려는 저학년 과정의 ‘무용 기초 실기’ 교과목에서 중점적으로 교육하여, 무용전공 학습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용사랑’은 ‘무용의 이해’,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안무’ 교과와 구조화되었다. 그 이유는 학습발달에 따라 강화해가야 하는 무용인의 태도이므로, 저학년과 고학년의 이론과 실기 교과 학습으로 지속적 형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용전공 학생들의 학습성장에 따른 ‘무용사랑’의 의미를 안내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적 지도능력이 중요하였다.

‘경쟁과 성장’은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무용 감상’, ‘무용비평’ 내용영역과, ‘무용 전공 실기’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과 구조화되었다. 그 이유는 동료의 수행을 바라보고 장단점을 파악하는 학습을 심화 수준의 전공실기교육과 병행함으로써, 바람직한 경쟁을 통해 성장해가는 의미를 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감상내용을 완성된 수준의 작품에 국한하지 않고, 동료수행과 학습상황 등을 포함하는 방향이 요청되었다.

표 3-1. 무용인성 역량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재구조화 결과
하위요소 교과목 및 내용영역
예절과 배려 ∙무용 기초 실기 ∙무용의 이해 ∙안무
: 모든 내용영역 : 무용의 본질 : 모든 내용영역
무용사랑 ∙무용의 이해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안무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경쟁과 성장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 전공 실기
: 무용 감상, 무용 비평 : 모든 내용영역
Download Excel Table
나. 무용기능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 재구조화

무용기능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서면조사에 의하면 ‘무용과 몸’,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교과목의 적합성이 높았다. 숙의과정으로 수렴된 결과에 의하면, 무용기능수행 역량 강화는 실기교과 중심으로 이론교과가 연계되는 한편, 신설된 교과목인 ‘무용과 몸’ 내용영역의 보완구성이 요청되었다. 이는 몸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차원에서 동작 구현을 위한 기능적 차원, 기초 수준에서 심화된 전공 수준으로 성장하는 차원, 무용예술의 총체적 차원이 전문무용교육과정에서 실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용기능수행 역량요소와 교과목 내용영역별 재구조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관리능력’은 ‘무용과 몸’ 교과, ‘무용 기초 실기’ 교과, 그리고 ‘무용 전공 실기’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무용전공 학생들에게 몸은 평생에 걸쳐 관리하여야 하는 중요한 도구이므로, 이론학습 내용을 기초수준의 실기교육에 적용하고, 심화된 전공수준의 실기교육으로 계열화된 구조를 형성하였다. ‘신체관리능력’ 강화를 위한 중점 교과는 ‘무용과 몸’으로, 내용영역의 구성에서 무용하는 몸의 관리방법, 식이요법, 부상예방과 대처방법 등, 실천중심 내용의 보완이 필요하였으며, 수업의 주요교재로 활용되는 인정도서의 편찬에서 상세하게 다루어내는 방안이 권고되었다.

‘기초실기능력’은 ‘무용 기초 실기’ 교과와 ‘무용과 몸’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과, ‘무용 음악 실습’교과의 ‘리듬과 장단’ 및 ‘선율과 화음’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그 이유는 무용 기초 실기 교과의 동작원리를 몸의 해부학적 지식과 연계한 학습이 필요하고, 기초수준의 동작수행과 구성, 표현 학습이 음악적 요소와 연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공실기능력’은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무용 음악 실습’의 ‘리듬과 장단’ 및 ‘선율과 화음’ 내용영역, 그리고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심화된 전공수준의 동작수행과 구성, 표현학습을 음악적 요소와 연계한 학습이 필요하고, 감상과 비평학습을 통한 예술성 추구교육과 연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음악해석능력’은 ‘무용 음악 실습’ 교과와, ‘무용 기초 실기’ 교과, ‘무용 전공 실기’ 교과,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음악해석능력을 강화하는 중점교과는 ‘무용 음악 실습’으로, 무용이 중심이 된 교과의 성격을 반영한 실기교육의 의미가 강조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내용영역 구성(교육부, 2015, pp. 78-80)에서 무용의 고유성을 반영한 용어로 보완하는 방안이 권고되었다.

‘표현능력’은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무용 기초 실기’ 교과, ‘무용 음악 실습’교과와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와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표현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예술의 특성을 토대로 음악적 요소를 활용하고, 자기주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도하는 교사 전문성이 강조되었다.

표 3-2. 무용기능수행 역량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재구조화 결과
하위요소 교과목 및 내용영역
신체관리능력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 모든 내용영역, 추가내용 구성 및 보완 요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기초실기능력 ∙무용 기초 실기 ∙무용과 몸 ∙무용 음악 실습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리듬과 장단, 선율과 화음
전공실기능력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 모든 내용영역 : 리듬과 장단, 선율과 화음 : 모든 내용영역
음악해석능력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무용 감상과 비평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표현능력 ∙무용 전공 실기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Download Excel Table
다. 무용지식확장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 재구조화

무용지식확장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서면조사 결과에 의하면 ‘무용의 이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몸’, ‘무용과 매체’ 등, 이론 교과목 간 적합성이 높았다. 숙의과정으로 수렴된 결과에 의하면, 이론과 실기교과가 총체적으로 연계된 구조가 요청되었다. 이는 몸으로 구현되는 무용예술의 고유성이 전문무용교육에서 반영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기인한다. 무용지식확장 역량요소와 교과목 내용영역별 재구조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식활용능력’은 ‘무용의 이해’ 교과의 ‘무용의 본질’과 ‘무용의 분류’ 내용영역, ‘무용과 몸’ 교과, ‘무용 기초 실기’ 교과와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론과 실기교과의 연계와 더불어 기초수준에서 심화수준의 계열화된 실기교육 역시 중시되었다.

‘통합이해능력’은 ‘무용의 이해’ 교과의 ‘예술무용의 흐름’과 ‘대중무용의 흐름’ 내용영역,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예술무용 감상과 비평’과 ‘대중무용 감상과 비평’ 내용영역, ‘무용과 매체’ 교과목의 모든 내용영역, ‘무용 음악 실습’ 교과목의 ‘선곡 및 편집’과 ‘제작 및 활용’ 내용영역, ‘무용 전공 실기’ 교과목의 ‘레퍼토리 실기’와 ‘작품표현 실기’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무용예술 흐름에 대한 이해와, 음악 및 매체와 통합된 무용 감상과 비평이 전공 실기로 최종 구현되는 방향을 강조하는 의미이다. 더불어 통합적이고 총체적 구조의 전공실기 교육 실현을 위한 전공실기 담당교사의 전문지식과 지도능력이 강조되었다.

표 3-3. 무용지식확장 역량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재구조화 결과
하위요소 교과목 및 내용영역
지식활용능력 ∙무용의 이해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 무용의 본질, 무용의 분류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통합이해능력 ∙무용의 이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매체 ∙무용 음악실습 ∙무용 전공 실기
: 예술무용의 흐름, 대중무용의 흐름 : 예술무용 감상과 비평, 대중무용 감상과 비평 : 모든 내용영역 : 선곡 및 편집, 제작 및 활용 :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Download Excel Table
라. 무용창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 재구조화

무용창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서면조사 결과에 의하면 ‘안무’, ‘무용과 매체’, ‘무용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등, 작품창작과 공연 관련 교과 간 적합성이 높았다. 숙의과정으로 수렴된 결과에 의하면, 무용창의 역량은 인성, 기능, 지식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상위역량의 의미로, 무용의 고유한 창의성을 몸의 의미와 관련하여 전문무용교육에 반영될 필요가 있었다. 무용창의 역량요소와 교과목 내용영역별 재구조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제해결능력’은 ‘무용 기초 실기’ 교과의 ‘동작의 특성’과 ‘기본동작의 발전’ 내용영역,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 ‘무용 음악 실습’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 그리고 ‘안무’ 교과의 ‘즉흥’과 ‘작품구성’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기초수준에서 심화된 전공수준까지 동작표현 특성발견 및 발전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감상과 비평을 통해 음악적 요소를 통합하여 창작으로 연계되는 교육을 지향하기 위함이다.

‘상징화능력’은 ‘무용 음악 실습’ 교과,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 ‘안무’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과, ‘무용 전공 실기’ 교과의 ‘레퍼토리 실기’ 및 ‘작품표현 실기’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학습경험 및 안목, 지식 등을 움직임 구성의 실재로 구현해내어 의미를 전달하는 과정을 전문무용교육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무용사고력’은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 ‘무용 전공 실기’ 교과, ‘무용 음악 실습’ 교과, 그리고 ‘무용과 매체’ 교과의 ‘매체의 선택’과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내용영역, ‘안무’ 교과의 ‘즉흥’과 ‘작품구성’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실험시도능력’은 ‘무용 감상과 비평’ 및 ‘무용 음악 실습’ 교과, ‘무용과 매체’ 교과의 ‘매체의 선택’ 및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내용영역, ‘무용 전공 실기’ 교과의 ‘레퍼토리 실기’와 ‘작품표현 실기’ 내용영역, ‘안무’ 교과의 ‘즉흥’과 ‘작품구성’ 내용영역과 구조화되었다.

표 3-4. 무용창의 역량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재구조화 결과
하위요소 교과목 및 내용영역
문제해결능력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 음악 실습 ∙안무
: 동작의 특성, 기본동작의 발전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즉흥, 작품구성
상징화 능력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안무 ∙무용 전공 실기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무용 사고력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 음악 실습 무용 전공 실기 무용과 매체 안무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매체의 선택,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 즉흥, 작품구성
실험시도능력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 음악 실습 무용과 매체 무용 전공 실기 안무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매체의 선택,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 즉흥, 작품구성
Download Excel Table
마. 무용실전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 재구조화

무용실전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서면조사에 의하면 ‘무용전공실기’, ‘무용기초실기’, ‘무용음악실습’ 등의 실기교과 간 적합성이 높았고, ‘심리조절능력’과 ‘관객소통능력’ 역량요소의 강화를 위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숙의과정으로 수렴된 결과에서도 실전수행 상황의 중요한 요인인 심리조절능력, 관객과 무대에 대한 정보 등, ‘심리조절능력’과 ‘관객소통능력’ 역량요소의 강화를 위한 내용구성 보완이 필요하였다. 이는 심리조절능력이 미숙하고, 무대경험이 부족한 무용전공 고등학생 대상 전문교육과정의 역할을 고려한 관점이다. 또한 실전수행 역량이 기본에서 비롯됨을 강조하는 전문무용교육의 방향 역시 중시되었다. 무용실전수행 역량요소 강화를 위한 교과목 내용영역별 재구조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리조절능력’은 ‘무용과 몸’ 교과의 모든 내용영역과, ‘무용 전공 실기’ 교과의 ‘레퍼토리 실기’ 및 ‘작품표현 실기’ 내용영역이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무용과 몸’ 교과에서 심리를 다루는 것은 몸과 마음을 하나 된 구조로 다루는 의미로, 이론교육 학습내용을 실기교육 적용으로 계열화하는 방향과 한 맥락을 이룬다.

‘무대적응능력’은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예술무용의 흐름’ 및 ‘대중무용의 흐름’ 내용영역, ‘무용 음악 실습’ 교과의 ‘선곡 및 편집’과 ‘제작 및 활용’ 내용영역, ‘무용과 매체’ 교과목의 ‘매체의 선택’ 및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내용영역, 그리고 ‘무용 전공 실기’교과의 ‘레퍼토리 실기’와 ‘작품표현 실기’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무용예술의 공연상황 및 흐름을 탐구하고, 심화된 전공수준의 실기교육에 적용하는 교육방향이다. 더불어 무대 관련 정보를 학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내용영역을 보완하거나, 인정도서 편찬기준 등을 마련하는 방안이 권고되었다.

‘관객소통능력’은 ‘무용감상과 비평’ 교과의 ‘무용감상’ 및 ‘무용비평’ 내용영역, ‘무용 음악 실습’ 교과의 ‘선율과 화음’ 및 ‘선곡 및 편집’ 내용영역, ‘무용과 매체’ 교과의 ‘매체의 선택’과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내용영역, 그리고 ‘무용 전공 실기’교과의 ‘레퍼토리 실기’와 ‘작품표현 실기’ 내용영역과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감상과 비평 학습을 통해 관객을 이해하고, 관객소통을 위한 음악 및 다양한 매체를 이해하며, 심화된 전공수준의 실기교육에 적용하는 구조이다. 더불어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내용영역에서는 관객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는 추가내용을 구성하거나, 교사지도 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표 3-5. 무용실전수행 역량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재구조화 결과
하위요소 교과목 및 내용영역
심리조절능력 ∙무용과 몸 ∙무용 전공 실기
: 추가구성 필요 :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무대적응능력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 음악 실습 ∙무용과 매체 ∙무용 전공 실기
: 예술무용의 흐름, 대중무용의 흐름, 추가구성 필요 : 선곡 및 편집, 제작 및 활용 : 매체의 선택,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관객소통능력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 음악 실습 ∙무용과 매체 ∙무용 전공 실기
: 무용감상, 무용비평, 추가구성 필요 : 선율과 화음, 선곡 및 편집 : 매체의 선택, 매체를 활용한 주제표현 : 레퍼토리 실기, 작품표현 실기
Download Excel Table
바. 무용진로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 재구조화

무용진로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서면조사 결과에 의하면 ‘추가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무용과 매체’ 및 ‘무용의 이해’ 교과 활용의견이 있었다. 숙의과정으로 수렴된 결과에서는 교과목 추가신설보다 기존 교과의 보완이나 현장개선 차원의 방향확립이 강조되었다. 무용진로개발 역량요소 강화를 위한 재구조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치관형성능력’은 ‘무용과 이해’ 교과의 ‘무용의 본질’ 내용영역, ‘무용 기초 실기 ’교과와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진로개발의 가장 기초가 되는 가치관 형성은 저학년 학습에서 바탕을 이루어야 한다는 관점이 반영된 결과이다.

‘무용흐름이해력’은 ‘무용과 이해’ 교과의 ‘무용의 분류’, ‘예술무용의 흐름’, ‘대중무용의 흐름’ 내용영역, ‘무용 감상과 비평’ 교과의 ‘예술무용 감상과 비평’, ‘대중무용 감상과 비평’ 내용영역, ‘무용과 매체’ 교과, ‘안무’ 교과,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시대변화에 따른 무용예술의 변화흐름을 이해하고, 작품창작 반영경험을 통해 전공실기에 적용하는 방향이 강조된 결과이다.

‘진로설계능력’는 ‘무용과 이해’ 교과와 ‘무용 전공 실기’ 교과가 연계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이는 저학년 학습을 바탕으로 고학년에서 진로를 선택하는 계열구조가 반영된 결과이다.

무용진로개발 역량의 3개 하위요소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전문지식과 전문 지도능력 등, 교사 전문성이 주요한 요인으로 강조되었다.

표 3-6. 무용진로개발 역량 하위요소와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간 재구조화 결과
하위요소 교과목 및 내용영역
가치관형성 능력 ∙무용의 이해 ∙무용 기초 실기
: 무용의 본질 : 모든 내용영역
무용흐름 이해력 ∙무용의 이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매체 ∙안무 ∙무용 전공 실기
: 무용의 분류, 예술무용의 흐름, 대중무용의 흐름 : 예술무용 감상과 비평, 대중무용 감상과 비평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진로설계 능력 ∙무용의 이해 ∙무용 전공 실기
: 모든 내용영역 : 모든 내용영역
Download Excel Table
3.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

2015 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에서는 각 교과목 성격부분에서 교과학습을 통해 강화되는 교과 역량으로 ‘무용창의성’, ‘무용관계성’, ‘무용신체성’, ‘무용동작성’을 제시하였다(교육부, 2015, p. 61, 65, 69, 73, 78, 83, 88, 92). 2015 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경우 각 교과별로 중점 강화되는 역량 구조가 명확히 대비된 구도를 이루는 특징이 있다면,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재구조화 결과에서는 총체적으로 연계된 교과 구조의 특징이 발견된다[그림 1]. 이러한 구조의 구축은 이론과 실기교육의 연계가 요청되었던 사안과, 체계적으로 계열화된 실기교육이 강조되었던 사안, 그리고 무용의 고유한 통합적 발현을 고려하며 실천성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은 총체성과 지속성, 그리고 실천 중심적 속성이 강조되는 역량 본연의 의미가 반영된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었다(가은아, 2014; 윤지영, 온정덕, 2016).

jce-22-2-155-g1
그림 1.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구조 비교
Download Original Figure

연계되고 계열화된 교육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2015 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에서도 각 교과별 교수학습 방향 부분에서 교과 간 연계 및 심화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교육부, 2015, p. 63, 67, 71, 75, 80, 85, 90, 94). 그러나 이론학습 내용을 실기교육에 연계하는 방향과, 기초실기에서 전공실기로 계열화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방향이 단계적이고 순차적인 구도에 가까웠다. 반면,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재구조화 결과에서는 이론과 실기교육 간 역동적이고 순환적인 연계를 강조하는 한편, 역량강화의 관점에서 교과의 유연한 재구성을 유도하며 보다 통섭적인 교육을 지향한다. 이러한 결과는 역량기반 교과교육과정을 개발한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함으로써(김혜경, 2014; 서혁, 오은하, 2013; 이윤경, 2017a), 경직되고 제한된 교육과정을 역동적인 대통합으로 이끄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의미를 반영한 것이다.

역량기반 교육과정 논의에 있어서 주요한 쟁점이 되는 사안은 역량이 성취결과를 강조함으로써, 교육 본연의 의미가 훼손된다는 우려이다(홍원표, 2017). 그러나 본 연구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지속적으로 춤의 본질적 의미와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의 의미를 되묻고, 평생학습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고민하며, 실제 교육현장에 반영할 수 있는 연구결과 창출에 주력하였다.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은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을 위한 전문무용교육이 지식함양과 기능구현의 관점을 넘어, 전문무용인의 삶으로까지 이어가는 방향을 제시하는 의미 또한 담고 있다(이윤경, 조미혜, 2016b). 이러한 결과는 역량기반 교과교육과정에서 교과의 본질적 의미실현을 강조하는 선행연구와도 그 맥락을 함께 한다(정현선, 오은하, 2016)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재구조화 결과에서 감지되듯,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과정에서 ‘무용 전공 실기’와 ‘무용 기초 실기’ 등의 주요 실기 교과와, ‘무용 감상과 비평’ 이론 교과는 핵심적 교과목이었다[그림 1]. 무용이 타 예술장르와 구분되는 고유하고도 핵심적인 속성은, 몸의 감각적 차원이 극대화된 움직임이라는 실재로 소통을 이룬다는 점이다(이윤경, 2018b).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과정의 중심이 실기교육과 감상교육이라는 본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과 사회로 진출하여 전문분야를 구축해나갈 무용전공 학생들의 기본지식 토대를 형성하는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능(skill)에 경도된 교육에서 예술 본연의 의미를 투영한 진정한 실기교육의 의미를 강조하고, 오감이 총체적으로 극대화 된 감상교육으로 예술가의 자질을 형성해주어야 하겠다.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에서는 교과내용의 적정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경향을 반영하고(가은아, 2014), 현장적용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관점을 견지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교과신설을 지양하고, 내용영역의 추가구성을 최소화하는 한편, 기존 교과 내용영역의 재구성 및 개선방향 확립이 권장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용실전수행 역량 중 ‘심리조절능력’ 강화를 위한 교과내용 추가구성은 불가결한 사안으로 논의되었으며, 관련 구성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신설된 ‘무용과 몸’ 교과가 적절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도출은 교육과정 개선의 관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신기철, 2018; 이윤경, 2017a).

Ⅳ. 요약 및 제언

이 연구는 예술가 양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현장교육의 개선을 이끌고,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 대비한 기초자료 창출을 위하여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무용역량에 기반한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것으로, 전문무용역량과 2015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의 교과목 간 적합성을 확인하고, 전문무용교육의 개선요구를 탐색한 후, 전문무용역량에 기반 한 2015 개정 전문무용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였다. 연구는 자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토대로 문헌고찰, 서면조사, 면담, F.G.D, 전문가회의를 수행하였고, 이상적 사례선택 방법으로 참여자 25인을 자료수집 단계별로 구분하여 섭외하였다.

연구를 통해 전문무용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과 내용영역이 재구조화되었으며, 대범주와 교과목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용인성 역량’은 무용의 이해,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구조화되었다. ‘무용기능수행 역량’은 무용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구조화되었다. ‘무용지식확장 역량’은 무용의 이해, 무용과 매체,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구조화되었다. ‘무용창의 역량’은 무용과 매체, 무용 음악 실습,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몸,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구조화되었다. ‘무용실전수행 역량’은 무용과 매체, 무용 음악 실습,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과 몸,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구조화되었다. ‘무용진로개발 역량’은 무용의 이해, 무용과 매체,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무용 기초 실기, 무용 전공 실기 교과와 구조화되었다.

역량기반 전문무용교육과정은 이론과 실기교육의 연계와 계열화, 무용의 고유성을 반영한 실천성을 강조하며(McFee, 2003) 총체적으로 연계된 교과구조를 제시한다. 이러한 교과구조는 역량의 총체성과 지속성, 실천성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결과로, 통합적이고 통섭적인 교육을 지향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역동성을 이끌어내었다는 교육적 의미가 있다. 또한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실천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전문무용역량 강화를 위해 보완되어야 할 내용 및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는 데 가치가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현장적용 가능성과 교육적 성과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단기적 계획이나 단편적 연구를 반영하는 방향은 지양되어야 한다(가은아, 2014).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준비단계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교사의 전문 지도역량으로,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에서도 지속적으로 강조되었던 사안이다. 교사전문성 신장을 위한 체계적 교육을 전개하여 온 일반교과 교사교육의 역사에 견주어볼 때, 전문무용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 체계를 점검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연구가 후행되어야 한다.

연구과정에서 전문무용교육과정 운영현황(학교알리미, 2018. 6. 30)을 고찰한 바에 의하면,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운영체계를 점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015 개정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가운데, 음악과 사진 계열 교과의 유의 사항 부분에서는 저학년과 고학년별로 구분한 이수체계 및 학년별 수준을 고려한 재구성 방향을 안내하며, 체계적인 교육을 강화해가고 있다(교육부, 2015). 이러한 경향을 고려할 때, 전문무용교육과정 교과목 및 내용영역의 계열화 구조를 점검하는 후속연구를 통해, 체계적으로 계열화된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무용교육 개선을 위한 자료창출이 요청되는 바이다.

Notes

1) 이 연구는 2019학년도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2) 전문무용역량은 이윤경, 조미혜(2016b)의 연구로 도출된 무용인성 역량, 무용기능수행 역량, 무용지식확장 역량, 무용창의역량, 무용실전수행역량, 무용진로개발역량등의6개대범주와21개하위요소로구성된다. 전문무용교육 과정은2015 개정 예술계고등학교전문교과교육과정의 무용의이해, 무용과 몸, 무용 기초실기, 무용 전공실기, 안무, 무용 음악 실습, 무용과 매체, 무용 감상과 비평 등의 8개 교과목으로 구성된다(교육부, 2015).

참고문헌

1.

가은아(2014). 핵심 역량 기반 국어와 교육과정의 구상. 작문연구, 20, 37-72.

2.

교육과학기술부(2011). 고등학교 예술 교과군 심화 과목 교육과정.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1992). 고등학교 교육과정(Ⅱ). 대한민국: 교육부.

4.

교육부(1997). 예술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 대한민국: 교육부.

5.

교육부(2015). 예술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 대한민국: 교육부.

6.

교육인자원부(2007). 예술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 대한민국: 교육인자원부.

7.

권묘정(2010).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8.

김명회(2014). 한국 무용교육의 시대적 동향과 과제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1), 23-39.

9.

김승일, 차은주(2015). 인성교육 실행 기반 학교무용의 패러다임: 소통ㆍ공감ㆍ치유. 한국체육학회지, 54(5), 663-676.

10.

김영미, 김명회, 서수진(2012).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효능감 및 공연불안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26, 1-15.

11.

김영천, 조재식(2001).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질적연구. 교육인류학연구, 4(3), 25-80.

12.

김혜경(2014). 핵심역량에 기반 한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3.

문교부(1988). 고등학교 교육과정. 대한민국: 문교부.

14.

문영(2005). 무용공연불안 검사개발 기초연구 1. 한국무용과학회지, 10, 67-78.

15.

박선영, 이승범(2010). 무용 활동을 통한 개인의 카타르시스 경험에 관한 연구: 홀리즘의 영성 개념을 중심으로. 홀리스틱교육연구, 14(2), 145-162.

16.

서혁, 오은하(2013).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핵심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48, 7-40.

17.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18.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2007).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17(4), 105-128.

19.

소경희, 이상은, 이정희, 허효인(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20.

송경오, 박민정(2007).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34(4), 155-182.

21.

송혜순, 황명자(2017). 예술교육 전문가로서 핵심역량과 미래 무용교육의 실천적 방안. 무용역사기록학, 46, 113-134.

22.

신기철(2018). 체육교육의 내용과 지식에 대한 담론: 교과 내용에 대한 검토와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재해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5(4), 1-20.

23.

신은경(2006). 한・미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육과정 특성 비교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7(2), 57-81.

24.

우한용(2013). 창의 인성 교육의 방향과 국어교육의 역할. 국어교육, 140. 1-29.

25.

윤지영, 온정덕(2016). 역량의 총체성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34(2), 19-45.

26.

이경한(2013). 뉴질랜드 지리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주요 특성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3), 33-43.

27.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28.

이윤경(2017). 역량기반 초중등 무용교육과정 내용체계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9.

이윤경(2018). 존 마틴의 무용입문을 통한 자유무용교육의 제안. 한국체육학회지, 57(5), 309-327.

30.

이윤경, 조미혜(2016a). 역량기반 초중등 무용교육과정 내용체계 개발사례. 한국체육학회지, 55(6), 265-295.

31.

이윤경, 조미혜(2016b). 예술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을 위한 전문무용역량(SDC)의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9(3), 41-69.

32.

이윤경, 조미혜(2016c). 초·중등 교육을 위한 무용역량의 탐색.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3), 75-98.

33.

이효성, 이용환(2011). 국내외 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 분석 및 시사점. 교육연구, 34, 17-35.

34.

임은주, 김대진(2018). 중·고등학교 무용전공 희망학생들의 전문무용역량에 관한인식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1), 209-233.

35.

정현선, 오은하(2016). 중학교 자유학기제 국어과 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개선 사례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9(2), 1-25.

36.

조은숙(2008).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육에 대한 연구 - 한·미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11(봄), 165-179.

37.

차은주, 안병순(2017). 지식기반사회에서 무용 인적자원의 역량 증진 전략. 한국체육학회지, 56(3), 513-526.

38.

학교알리미 홈페이지. http://www.schoolinfo.go.kr/ (검색일: 2018. 6. 30.)

39.

홍애령, 조미혜(2019).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551-571.

40.

홍원표(2017).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이론적· 실제적 쟁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5(1), 239-254.

41.

홍원표, 이근호, 이은영(2010).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 적용 사례 연구: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2

42.

Carroll, N. (1981). Post-modern dance and expression. Philosophical essays on dance, 95-104.

43.

Charmaz, K. (2014).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London: Sage Publications.

44.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New York : Brockman.

45.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NY: Minton, Blach & Company. 이재언 역(2003). 경험으로서의 예술. 서울: 책세상.

46.

Goetz, J. P. & LeCompte, M. D. (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Orlando, FL: Academic Press.

47.

Hauser, A. (1953). Sozialgeschichte der kunst und literatur. Verlag: C. H. Beck. 백낙청, 염무웅 역(1974).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현대편. 서울: 창작과 비평사.

48.

Fox. D. J. (1982). Fundamentals of nursing(4th ed.). Norwalk, CT: Appleton-Century-Crofts.

49.

Jonnaert, P., Masciotra, D., Barrette, J., Morel, D., & Mane, Y. (2007). From competence in the curriculum to competence in action. Prospects, 37(2), 188-203.

50.

McFee, G. (2003). Understanding dance. London: Routledge.

51.

Martin, J. J. (1939). Introduction to the dance. NY: Dance Horizon. 장정윤 역(1994). 무용입문. 서울: 교학연구사.

52.

Rychen, D. (2003). Investing in competencies-But which competencies and for what? Conference in Lyon, November 2003.

53.

Scruton, R. (1987). Analytical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music.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46, 169-176.

54.

Spradle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Rinehart & Winston.

55.

Walker, D. F. (2012). Curriculum development in an art project. Lond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