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Received: Dec 28, 2009 ; Revised: Feb 10, 2010 ; Accepted: Feb 11, 2010
Published Online: Mar 31, 2010
요약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연구한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영역 및 요소에 기반하여 실과(기술·가정)교과의 재구조화 방안을 탐색하고 전략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설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역량의 관점에서 2007년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교과 특수 역량으로 핵 심 역량 영역 중 문제해결능력은 실천적 문제해결과 기술적 문제해결이 하위요소로 추출되었고, 의 사소통의 하위요소로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이 추출되었다. 자기관리능력은 생활역량과 가족생 활과 일의 조화능력, 합리적인 소비와 자원 활용이 추출되었고, 기초학습능력에는 도구사용능력과 지식의 적용능력이 추출되었다. 시민의식은 기술적 소양이 추출되었고, 진로개발능력은 직업윤리가 실과(기술ㆍ가정)교과의 특수 핵심 역량 하위요소로 추출되었다. 둘째, 핵심 역량 기반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하여 교육과정 수준, 교사 수준, 통합 수준으로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반 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A안)과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대영역 별로 반영하여 재 구조화하는 방안(B안)으로 재구조화 하였다. 교사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략 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방안(C안)으로 재구조화 하였다. 아울러 통합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수준과 교사수준을 통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A안)과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 략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방안(C안)을 통합하는 방안(A + C안)이다. 또 하나의 통합방안으로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대영역별로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B안)과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략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 는 방안(C안)을 통합하는 방안(B + C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