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의 변화추이(2003~2005년)
Received: Sep 1, 2007 ; Revised: Oct 1, 2007 ; Accepted: Oct 18, 2007
Published Online: Dec 31, 2007
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ㆍ중ㆍ고 학생들의 성취도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현재 사용가능한 2003년, 2004년, 2005년의 3개 연도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그 경향성을 파악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우리나라 초ㆍ중ㆍ고 학생들의 5개 교과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파악하였고, 둘째, 교수 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 셋째, 학생 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맥락 정보들의 연도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초ㆍ중ㆍ고 학생의 학업성취는 큰 변화는 아니지만 연도별로 다소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학생 변인 중에서는 학업성취도와의 상호상관이 가장 큰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3년간 계속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무적이었고, 교사 변인은 학업성취도와 관련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근 10여 년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한 후 처음으로 학업성취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니며, 이를 계기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에서의 변화 파악을 위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연구들이 후속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as developed to assess the students'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goals as prescrib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o diagnose the trend of educational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6th, 9th and 10th grad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2003~2005.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contextual variables of education (such as teacher-related variables, and students-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The sampling design for the NAEA is a two-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e in which schools are sampled randomly from a comprehensive national list of all high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of all five subject areas tend to improve slowly from 2003 to 2005 regardless of the grades. Also the percentage of the Advanced level has been increasing and the percentage of the Below-basic level has been decreasing even though there are some variations among the subjects and grades. In addition, the trend analyses of the teacher variable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pattern of teacher-related variables with the educational achievement was not that clear across years and grades. There seem to be some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rategy and their achievement across years and grades.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