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자연에 대한 인식 유형 (수업 전) | • 생태계가 알아서 좋아질 것이라는 낙관적이고 안일한 태도 | • 풀과 벌레들을 싫어함.• 자연의 소리나 냄새를 선호하지 않음. | • 자연의 자정작용, 자생력에 대한• 막연한 믿음• 생태계를 다루는 인간의 인식 및 의식에 비중을 두지 않음. | • 자연환경 파괴에 대한 안타까움• 자연보호에 대한 꾸준한 관심 | • 학업으로 자연과 거리감• 생태이나 자연에 대한 사고 기회 부재 | • 생태계에 대한 사고나 마음 부재• 자연에 대한 무관심 |
생태-자연에 대한 인식 유형 (수업 후 태도 변화) | • 생태계 오염의 심각성 이해•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이며 공식적 태도• 지속가능발전 위한 일상 속 실천(재활용, 전기 절약 등)과 공유 | • 자연환경 속에서 시간을 보냄• 자연에 대한 친근한 태도• 자연환경을 두루 관찰하며 자연의 ‘미’를 느낌• 자연에게 배우며 스스로 삶 성찰 | • 역사상 자연과 어울려 살아온 인류의 삶 이해• 자연이 없으면 인간도 존재하기 어렵다는 가치 인식• 자연의 소중함 을 깨닫고 가 정에서 반려식물 키우는 등 필요성 인식 | • 자연환경에서 하는 신체활동에 대한 우호적 태도• 생태계 보호를 더욱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싶은 마음이 강하게 생김. | • 생태계의 신비로움과 중요성 인지• 자연과 일체를 느끼는 감수성 발달• 자연으로부터의 힐링과 에너지를 받음. | •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 인지• 자연의 미와 소중함에 대한 공감• 관심이 없던 식물, 환경 등을 더 잘 인식하고 아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