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표현, 이해, 언어, 전달, 분석, 비판적, 지식, 비교, 의사소통, 작품, 설명, 디지털미디어 | [6국04-01] 이 성취기준은 생각을 표현하는 언어 양식으로서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매체 자료에서 생성된 음성 언어 및 문자 언어의 표현 효과를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음성 언어 및 문자 언어의 특성을 비교하되, 복합양식적 특성을 지니는 다양한 매체 자료에 사용된 언어 양식의 표현 효과를 학습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핵심 주제가 같더라도 언어 양식이 다르면 전달되는 내용과 표현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분석적, 비판적 시각으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0.056 |
2 | 콘텐츠, 매체, 읽기, 디지털, 소통, 연계, 공유, 복합양식, 전략, 제작, 검색 | 매체 소통 태도에 대한 학습에서, 소통 참여자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는 점, 디지털 텍스트의 항존성(디지털 발자국), 디지털 공간에서 매체 자료가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야 함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매체 자료를 공유한 이후에도 수용자의 반응을 살펴 자신의 매체 자료 제작 및 공유 과정을 성찰하도록 한다. |
3 | 쓰기, 독자, 맥락, 상황, 의미, 필자, 생성, 사회·문화, 주장 | 쓰기 영역에서는 쓰기의 상황 맥락 및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실제로 글을 쓰는 활동을 강조한다. 글을 쓰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쓰기 과제를 제시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질문을 생성하며 쓰기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학습자가 생산한 글을 가능한 방법을 활용하여 발표하거나 출판하여 다양한 독자의 반응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학습자가 실제 삶의 맥락 속에서 적극적인 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