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3 각 패널별 전이 패턴 분류 주요 예측변인

초교 중학교
영역 변인 척도 SHAP 순위 영역 변인 척도 SHAP 순위
인적사항 성별 a 0.843 1 학교 및 사회생활 국어 학교 교사의 수업 b 0.227 2
가정생활 보호자와의 관계 b 0.276 9 교외 문화활동 참여경험 f 0.167 9
독서량 c 0.436 2 가정생활 여가시간 g 0.185 7
학습 및 심리 특성 학습방법(행동조절) b 0.238 10 학습 및 심리 특성 긍정정서 h 0.211 5
목표의식 0.308 4 학습방법(상위인지조절) b 0.168 8
학업소진(정서적 고갈) 0.352 3 역량검사 인지역량(국어) i 0.216 4
학업소진(냉소) 0.291 6 인지역량(수학) j 0.167 10
역량검사 인지역량(국어) d 0.295 5 사회역량(관계성) b 0.276 1
인지역량(수학) e 0.286 7 사회역량(갈등해결) 0.203 6
정서역량(정서조절) b 0.280 8 정서역량(정서인식) 0.227 3
a) 0=남자, 1=여자
b) 1=전혀 그렇지 않다 ~ 5=매우 그렇다
c) 1=읽지 않음 ~ 8=7권 이상
d) 국어 역량검사 점수(총점 26점)
e) 수학 역량검사 점수(총점 23점)
f) 1=전혀 안 함 ~ 5=1주에 1~2번
g) 1=1시간 미만 ~ 8=7시간 이상
h) 1=전혀 아니다 ~ 5=매우 그렇다
I) 국어 역량검사 점수(총점 29점)
j) 수학 역량검사 점수(총점 25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