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3수준 구분 성취수준의 일반적 특성(박준홍, 2024: 25)

수준 일반적 특성 성취율
A 교과목의 교수·학습을 통해 기대하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에 도달한 능력 정도가 우수한 수준• 개념에 대한 이해가 깊고, 지식 전이 수준이 높음.• 배운 지식을 다양한 맥락에 적용하고, 연계된 기능의 수행 정도가 능숙함.• 기대하는 가치와 태도를 조직화하고 실천과 적용 범위가 넓음. 80% 이상
B 교과목의 교수·학습을 통해 기대하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에 도달한 능력 정도가 보통 수준• 개념에 대한 이해와 지식 전이 수준이 보통이거나 지식 습득이 다소 제한적임.• 배운 지식을 일부 맥락에 적용하고, 연계된 기능의 수행 정도가 중간 수준이거나 연계된 기능의 기본적인 부분을 수행할 수 있음.• 기대하는 가치와 태도를 일부 조직화하고 실천과 적용 범위가 보통이거나 다소 제한적임. 60% 이상80% 미만
C 교과목의 교수·학습을 통해 기대하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에 도달한 능력 정도가 제한된 수준• 위계가 낮은 수준의 개념을 일부 이해하고, 지식 습득이 제한적임.• 연계된 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음.• 기대하는 가치와 태도의 일부 의미를 알고, 실천과 적용 범위가 좁음. 40% 이상60% 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