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PIAAC의 ‘디지털 문제 해결력’ 영역의 수준 진술문(OECD, 2019: 75)

수준 (점수 범위) 수준 진술문
1수준 이하 (241점 미만) 이 수준에서 제시되는 과제는 범주적 추론이나 정보 변환 없이 일반 인터페이스 내 하나의 기능만을 사용하여 하나의 명시적 기준을 충족하는 잘 정의된 문제를 기반으로 한다. 몇 단계만 요구되며 하위 목표를 생성할 필요는 없다.
1수준 (241-291점) 이 수준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메일 소프트웨어나 웹 브라우저와 같은 널리 사용되고 익숙한 기술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다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나 명령에 접근하기 위해 탐색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특정 도구와 기능(예: 정렬 기능)의 인식 및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과제는 몇 단계와 최소한의 연산자만 포함한다. 인지적 수준에서 응답자는 과제 진술에서 목표를 쉽게 추론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은 응답자가 명시적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모니터링 관련 요구 사항은 거의 없으며(예: 적절한 절차를 사용했는지 또는 해결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 없음), 내용과 연산자의 식별은 간단한 일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항목을 범주에 할당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형태의 추론만 필요하며, 정보를 대조하거나 통합할 필요는 없다.
2수준 (291-341점) 이 수준에서는 일반적인 기술 응용 프로그램과 더 구체적인 기술 응용 프로그램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응답자는 새로운 온라인 양식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이지와 응용 프로그램 탐색이 필요하다. 도구(예: 정렬 기능)의 사용은 문제 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과제는 여러 단계와 연산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목표는 응답자가 정의해야 할 수도 있으며, 충족해야 할 기준은 명확하다. 모니터링 요구 사항이 더 높다. 예상치 못한 결과나 장애물이 나타날 수 있다. 과제는 방해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항목 집합의 관련성을 평가해야 할 수도 있다. 일부 통합 및 추론적 사고가 필요할 수 있다.
3수준 (341점 이상) 이 수준에서는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기술 응용이 모두 필요한 작업들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문제 해결을 위해 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을 건너뛰며 탐색해야 한다. 해결 방법을 위해 도구(예: 정렬 기능)를 사용해야 한. 작업은 여러 단계와 다른 작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목표는 응답자에 의해 정의되어야 하며, 충족해야 할 기준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링 요구가 높다. 예상치 못한 결과와 막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작업은 유인자를 배제하기 위해 정보의 관련성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통합 및 추론적 추론이 상당한 정도로 필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