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2 디지털 역량 수준 진술문(최종)

영역 하위 영역 성취기준 수준 수준 진술문 수행 예시
기본 소양 1. 디지털 사회의 이해와 자아정체성 확립 • 디지털 사회의 특징 및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온·오프라인상에서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지닌다. 3수준 (상) 디지털 사회의 특징을 전통적 사회의 특징과 비교하며 이해하고 디지털 사회에서 자아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형성하면서 디지털 자아의 모습을 조절할 수 있다. a. 디지털 사회의 가치, 유용성,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전통적 사회의 특징과 비교하며 이해할 수 있음.b. 디지털 기술(예: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이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이해할 수 있음.
2수준 (중) 디지털 사회의 개념과 특징을 연관지어 이해하고 디지털 사회에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며 강화할 수 있다. a. 디지털 사회의 개념과 특징(시·공간을 초월한 소통, 대량 정보(빅데이터) 생산 및 소비)을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음.b. 상황과 목적(과제, 소통 등)에 따라 디지털 자아 정체성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음.
1수준 (하) 디지털 사회의 기본적 특징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해하고 디지털 사회에서 자아 정체성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a. 디지털 사회의 기본적인 특징(시·공간을 초월한 소통, 대량 정보(빅데이터) 생산 및 소비)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음.b. 현실에서의 자신의 모습을 바탕으로 디지털 사회에서의 자아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음.
2. 디지털 기술의 이해와 활용 • 목적과 필요에 맞은 디지털 기술을 선택하고 활용한다.• 디지털 기술(인터넷, 게임, 스마트폰 등)과의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예방법을 실천한다.• 하드웨어(컴퓨터, 스마트폰, 패드 등), 소프트웨어(PPT, 엑셀, 워드, 한글, 유투브, 구글 행아웃, 구글 docs 등), 인터넷(와이파이, 클라우딩 등)에 대해 이해하고 작동시킨다. 3수준 (상) 심화된 디지털 기술의 필수적인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황과 목적에 맞게 디지털 기술을 선택할 수 있고, 디지털 기기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때 디지털 도구의 기술적인 작동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다. a. 심화된 디지털 기술(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필수적인 요소(작동 방식, 작동 체계, 기능, 명령어 등)를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b. 디지털 도구(예: 정보 검색 엔진, 온라인 화상 대화·회의 플랫폼, 문서 및 영상 제작 플랫폼, 이미지 편집 플랫폼, 인공지능 플랫폼 등)를 자신감 있게 활용하고, 스스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c. 상황과 목적(과제, 소통 등)에 맞게 디지털 도구를 적절히 선택하고 사용할 때의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음.d. 디지털 기기 관련 용어(RAM, CPU, 하드디스크, 쿠키 등)나 용량 단위(KB, MB, GM, TB)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성능 향상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음(예: 로딩 속도 개선, 바이러스 제거).
2수준 (중) 기본적인 디지털 기술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용 목적에 맞게 디지털 기술을 선택하고 디지털 기기 성능 향상에 활용할 수 있다. a. 기본적인 디지털 기술(클라우드, 인공지능 등)의 기본 용어를 이해할 수 있음.b. 디지털 도구(예: 정보 검색 엔진, 문서 및 영상 제작 플랫폼, 이미지 편집 플랫폼) 사용에 자신감이 있고 익숙함.c. 상황과 목적에 맞게 디지털 도구를 선택할 수 있음.d. 디지털 기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기초적인 방법을 알고 있음(예: 악성 코드 제거).
1수준 (하) 디지털 도구 사용 목적이나 사용 습관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술을 선택하고 외부의 요구 및 안내가 있을 경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a. 기초적인 디지털 기술 관련 용어(인공지능 등)에 대한 친숙함이 있음.b. 디지털 도구(예: 정보 검색 엔진, 문서 및 영상 제작 플랫폼) 사용에 관심이 있으며, 자신의 사용 습관과 친숙함을 바탕으로 디지털 도구를 사용할 수 있음.c. 디지털 도구 사용 목적(과제, 소통 등)과 사용 습관을 바탕으로 디지털 도구를 선택할 수 있음.d. 디지털 기기 자체에서 악성 코드 검사 등을 요구할 경우 수락, 거부 등의 반응을 할 수 있음.
3. 정보·콘텐츠 의 관리와 활용 • 저작권 표시 및 저작권 개념을 이해하고 타인의 저작물을 보호하는 방법을 실천한다.• 디지털 범죄(신분 도용, 무단 정보 침해 및 사칭, 신원 은폐, 피싱, 악성 소프트웨어 배포 등)를 인식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실천한다.• 정보·콘텐츠의 진실성 및 오류, 편향성, 상업성 등을 비판적으로 파악한다.•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새로운 정보·콘텐츠의 제작 의도를 다양한 방식(프레젠테이션으로 구조화)으로 표현한다. 3수준 (상) 디지털 정보·콘텐츠를 비판적으로 탐색·분석·평가하고, 디지털 윤리를 고려하여 매체 자료를 목적에 맞게 구성·편집·관리할 수 있다. a. 저작권, 초상권, 판권, 특허권이 있는 콘텐츠를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음.b. 디지털 범죄(보이스피싱, 해킹, 개인 정보 피해), 유해·위험정보 차단 및 처치 방법을 알고 수행할 수 있음.c. 수업 시간에 디지털 정보·콘텐츠의 신뢰성, 상업성(인기, 유행, 광고), 편향성 등을 기준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평가할 수 있음.d. 디지털 정보·콘텐츠의 출처와 과제 관련 정도를 평가하면서 탐색하고 분석할 수 있음.e. 디지털 정보·콘텐츠의 저작권, 초상권, 판권, 특허권과 복합양식텍스트 기반의 매체 자료 제작 방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매체 자료를 구성·편집·관리할 수 있음.
2수준 (중) 디지털 정보·콘텐츠를 탐색·분석하면서 유해한 콘텐츠를 차단할 수 있으며, 디지털 윤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매체 자료를 구성하고 편집할 수 있다. a. 저작권, 초상권에 제약이 없는 (무료) 콘텐츠를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음.b. 디지털 범죄 및 유해물(악성 코드, 해킹, 개인 정보 피해, 해로운 정보) 예방 방법을 알고 있음.c. 디지털 정보·콘텐츠의 신뢰성과 상업성(인기, 유행, 광고)에 유의하여 정보를 탐색하고 평가할 수 있음.d. 디지털 정보·콘텐츠의 출처를 평가하면서 탐색할 수 있음.e. 디지털 정보·콘텐츠의 소통 윤리(저작권, 초상권, 자료 사용 방법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매체 자료를 구성하거나 일부 편집할 수 있음.
1수준 (하) 정보·콘텐츠의 유해성, 저작권 등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특정 지침이 있을 경우 발표를 위한 매체 자료를 구성하고 편집할 수 있다. a. 디지털 정보·콘텐츠 활용 시 저작권을 존중해야 함을 알고 있음.b. 디지털 범죄나 유해물 예방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음.c. 디지털 정보·콘텐츠의 상업성(인기, 유행, 광고)에 영향을 받아 정보를 탐색함.d. 디지털 정보·콘텐츠가 과제와 관련되는지 평가하면서 탐색할 수 있음.e. 특정 지침이나 안내가 있을 경우 발표를 위한 매체 자료를 구성하고 편집할 수 있음.
실천 역량 4. 디지털 의사소통과 협력 • 적절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지식과 정보를 공동으로 구축하고 공유한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타인과의 의사소통 시 지켜야할 예절이 무엇인지 알고 준수한다.• 디지털 범죄(디지털 성범죄, 디지털 폭력 등)에 대해 인식하고 이에 대한 경각심을 지닌다.• 디지털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스트레스에 대처 하고 회복할 수 있다(회복탄력성).• 적절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와 의견을 교환한다.• 정보공유에 대한 자기성찰을 한다. 3수준 (상)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복합적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문제 해결을 위해 타인과 협업하면서 건설적인 디지털 관계를 형성하고 강화할 수 있다. a. 다량의 자료를 다양한 기준(과제, 출처, 내용, 형식)을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음.b. 디지털 협업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메신저, 이메일, 문서 작업 프로그램, 슬라이드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실시간 협업 플랫폼 등의 경로를 달리하면서 아이디어와 정보를 공동으로 구축하고 타인과 협력적이고 건설적인 디지털 관계를 형성·강화할 수 있음.
2수준 (중) 디지털 환경에서 주제와 관련되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타인과 협력하면서 디지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a. 다양한 자료의 형식적 측면(양식, 플랫폼, 장르 등)과 내용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음.b. 메신저, 이메일, 문서 작업 프로그램, 슬라이드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타인과 지식과 정보를 공동으로 구축하면서 의견을 교환하고 그 과정에서 건강한 디지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음.
1수준 (하) 주어진 과제 수행에 적절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타인과 의견을 교환하면서 디지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a. 다양한 자료가 있을 때 유사한 형식이나 플랫폼에서 자료를 공유할 수 있음.b.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특정 디지털 도구(메신저, 이메일, 문서 작업 프로그램 등)를 통해 타인과 정보를 교환하고 대화하면서 디지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
5. 디지털 창작 및 향유 • 디지털 문화에 대해 이해한다.• 디지털 문화에 대해 성찰한다.• 디지털 매체를 통한 표현활동에 참여한다.• 디지털 매체를 통해 표현활동에 대해 사람들과 공유하고 느낌과 아이디어를 나눈다.• 자신이 원하는 또는 필요로 하는 디지털 기반 문화활동을 탐색하고 참여한다. 3수준 (상) 디지털 문화 활동을 향유하고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디지털 자아와 디지털 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다. a. SNS, 동영상 플랫폼, 누리집 게시판 등의 디지털 문화 커뮤니티에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면서 디지털 문화 형성에 일조할 수 있음.b. 음성 파일 변환, 영상 편집, 링크·해시태그·QR코드 추가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문화 콘텐츠(동영상, 애니메이션 등)를 창작할 수 있음.c. 디지털 문화 콘텐츠(동영상, 애니매이션, 카드뉴스 등)를 즐겨 이용하면서 디지털 문화의 장단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음.
2수준 (중) 온라인상에서 자신의 창작물을 확산할 수 있고 디지털 문화를 성찰하고 책임감 있게 즐길 수 있다. a. SNS, 동영상 플랫폼, 누리집 게시판 등의 디지털 문화 커뮤니티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음.b. 수업 시간에 음성 파일 변환, 영상 편집, 링크·해시태그·QR코드 추가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문화 콘텐츠(동영상, 애니메이션 등)를 편집할 수 있음.c. 웹툰, 웹드라마, 숏폼, 온라인 게임, 애니메이션, 카드뉴스 등을 책임감 있게 이용하면서 디지털 문화의 장점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음.
1수준 (하) 유행하는 디지털 문화 활동을 자신의 개인 채널을 통해 재생산할 수 있고 디지털 소통 문화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a.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특정 디지털 도구(메신저, 이메일, 문서 작업 프로그램 등)를 통해 타인과 정보를 교환하고 대화하면서 디지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b. SNS 챌린지 등의 디지털 문화 활동이 있을 경우 리트윗, 공유 등을 통해 참여할 수 있음.c. 링크·해시태그·QR코드 추가 등의 기초적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문화 콘텐츠(동영상 등)를 편집할 수 있음.d. 바람직하지 않은 디지털 언어 문화(예: 비속어, 욕설, 비방 등)에 대해 성찰할 수 있음.
6. 디지털 시민 참여 • 디지털 환경의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디지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역할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디지털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 방법을 제시한다. 3수준 (상)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a.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사회 문제(예: 언어 오용, 악성 댓글, 저작권 침해, 허위·조작 정보 유포, 디지털 성범죄 등)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나 기능(메타버스, 카페, 블로그)을 활용하여 디지털 문화(챌린지) 등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b.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댓글, 온라인 투표, 콘텐츠 공유, 게시물에 대한 피드백 등의 방식으로 협력적 참여를 할 수 있음.
2수준 (중)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디지털 활용 방안을 탐색할 수 있다. a.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 문제(예: 언어 오용, 악성 댓글, 저작권 침해 등)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볼 수 있음.b.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댓글, 온라인 투표 등 초보적인 수준에서 참여할 수 있음.
1수준 (하) 사회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을 인터넷에서 탐색할 수 있다. a. 악성 댓글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파생 문제(예: 디지털 관계 악화, 디지털 커뮤니티 질 저하 등)를 생각해 볼 수 있음.b. 사회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이나 생각을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