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Rasch tree 반복분석 결과

자료 A
변인명 횟수
• 학교 소속감* 33
• ESCS 15
• 주말 여가 활동에서 ICT 활용 시간 7
• 가정에서 보유한 도서 수 2
• 수학에 대한 쉬움 인식• 수학 자기효능감: 추론과 21세기 수학• 학교 밖에서의 ICT 접근성•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부모의 창의성과 지적 개방성 1
62
자료 B
변인명 횟수
• 가정에서 보유한 도서 수 23
• 학교 활동 참여도 7
• 학습 지속을 위한 학교의 지원 활동 6
• 학생이 기대하는 직업 지위• 인내심• 수학 개념 친숙도• ICT를 활용한 수학 활동 3
• 학교 소속감 2
• 성별• 학생-교사관계의 질• ESCS• 학교에서의 ICT 접근성• 학교 밖에서의 ICT 사용(학교 활동) 1
55
자료 C
변인명 횟수
• 창의성과 지적 개방성* 82
• (교내) 창의적 활동 참여 60
• 형식적/응용 수학 과제 노출 27
• 성별 19
• 수학 추론 및 21세기 수학 주제 노출 4
• 학교에서 ICT 사용에 대한 의견• 디지털 기기 활용 행동 2
• 등교전/방과후 스포츠 활동 빈도• 유아 교육 및 보육 기간• 타 교과 대비 수학 선호도• 학생-교사관계의 질• ESCS• 학교에서의 일상적인 ICT 사용• 학교 밖에서의 ICT 사용(학교 활동)• 학교 밖에서의 ICT 접근성• 디지털 역량에 대한 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력 효능감 1
206
자료 D
변인명 횟수
• 성별* 50
• 가정에서 보유한 도서 수 37
• 수학 학습에 대한 노력과 끈기* 11
• 수학 자기효능감: 추론과 21세기 수학 9
•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효능감 6
• 모 교육수준 4
• 수업 이외의 주제와 관련된 ICT 사용•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 3
• 유아 교육 및 보육 기간• 학교 소속감• 학교 밖에서의 ICT 접근성• 창의적 환경(친구와 가족) 2
• 학생이 기대하는 직업 지위• 자기 주장• 스트레스 저항력• 수학 개념 친숙도• 학교 안전감• 학교에서 ICT 사용에 대한 의견 1
137
원 자료 분석에서 차별기능문항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