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PISA 2022 설명변인

구분 변인
설명 변인 학생(13) 성별a), 등교전/방과후 스포츠 활동 빈도b), 등교전/방과후 학습 활동 빈도c), 유아 교육 및 보육 기간d), 학생이 기대하는 직업 지위, 인내심e), 호기심e), 협력e), 공감e), 자기 주장e), 스트레스 저항력e), 정서 조절e),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효능감e)
부모 및 가정(11) 가족의 지원e), 모 교육수준f), 부 교육수준f), 가정에서 보유한 도서 수e), ESCSe), 학부모 지원e), 학교 활동 참여도e), 창의적 가정환경e), 학교 밖 창의적 활동 참여e), 부모의 창의성과 지적 개방성e), 자녀의 창의적 개방성e)
학교(5) 학생-교사관계의 질e), 학교 소속감e), 따돌림 경험e), 학교 안전감e), 학습 지속을 위한 학교의 지원 활동e)
수학 역량 특성(14) 타 교과 대비 수학 선호도g), 수학에 대한 쉬움 인식h), 수학에 대한 동기 부여i), 수학 수업의 분위기e), 수학 교사의 지원e), 수학 인지 활성화: 추론 능력 함양e), 수학 인지 활성화: 수학적 사고 함양e), 형식적/응용 수학 과제 노출e), 수학 추론 및 21세기 수학 주제 노출e), 수학 자기효능감: 형식적 수학과 응용 수학e), 수학 자기효능감: 추론과 21세기 수학e), 수학 개념 친숙도e), 수학 불안e), 수학 학습에 대한 노력과 끈기e)
ICT 영역(16) 학교에서의 일상적인 ICT 사용e), 학교에서 ICT 사용 접근성j), 학교 밖에서의 ICT 사용e), 가정에서 ICT 사용 접근성k), 수업에서 주제와 관련된 ICT 사용e), 수업 이외의 주제와 관련된 ICT 사용e), ICT를 활용한 학습지원e), ICT를 활용한 교내 활동e), 주중 여가 활동에서 ICT 활용 시간e), 주말 여가 활동에서 ICT 활용 시간e), 학교에서 ICT 사용에 대한 의견e), 디지털 역량에 대한 자기 효능감e), ICT를 활용한 수학 활동,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디지털 기기 활용 행동
창의적 사고력 관련 태도 및 환경(8) 창의적 사고력 효능감e), 창의적 학교 및 수업 환경e), 창의적 또래 및 가정 환경e), (교내) 창의적 활동 참여e), (교외) 창의적 활동 참여e), 창의성과 지적 개방성e), 예술적 개방성e), 상상력과 모험심e)
※ 주 변수명은 PISA 설명변인 관련 선행연구(김성경 외, 2023; 김성경 외, 2024; 정혜원, 박소영, 2022; 조성민 외, 2019)를 참고하여 작성함(이탤릭: 개별문항, 진하게: 하위문항 평균, 이외 변수는 WLE 변인 활용)
1: 여자, 2: 남자
0: 하지 않음 ~ 10: 일주일에 10회 이상 활동함
0: 하지 않음 ~ 10: 일주일에 10회 이상 학습함
0: 1년 이하 참여함 ~ 8: 최소 8년 참여함
평균 0, 표준편차 1로 표준화된 값
1: 초등학교 중퇴 ~ 10: 박사학위
0: 다른 교과보다 수학을 선호하지 않음, 1: 다른 교과보다 수학을 선호함
0: 다른 교과보다 수학이 쉽다고 생각하지 않음, 1: 다른 교과보다 수학이 쉽다고 생각함
0: 다른 교과에 비해 수학을 잘하고 싶은 동기가 없음, 1: 다른 교과에 비해 수학을 잘하고 싶은 동기가 있음
0: 학교에 사용할 수 있는 기기가 없음 ~ 7: 학교에 사용할 수 있는 기기가 7대 있음
0: 가정에 사용할 수 있는 기기가 없음 ~ 6: 가정에 사용할 수 있는 기기가 6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