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연구변수의 내용과 속성

구분 문항 척도 신뢰도 (α)
통제변수 성별(남성여부) 1문항(남성=1, 여성=0) 명목 -
중학교 내신성적 1문항(1~9등급을 역채점) 등간 -
거주 지역 1문항(수도권=1, 비수도권=0) 명목 -
고등학교 선택이유 1문항(대학진학, 취업) 명목 -
종속변수 취업 여부 1문항(취업=1, 미취업=0) 명목 -
대학진학 여부 1문항(전문대학 이상 재학=1, 고졸=0) 명목 -
직장 만족도 8문항(근무환경, 근무시간, 의사소통, 임금 등) 5점 등간 .99
독립변수 교수학습 만족도 7문항(실습자재 충분성, 전공지식 및 기술습득, 전문교과 비중확대, 수업내용과 현장기술 수준, 담당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교수능력 등) 5점 등간 .99
동아리활동 만족도 2문항(전공 동아리, 기능반 활동) 5점 등간 .80
진로교육 만족도 5문항(진로수업, 창의체험, 진로검사 등) 5점 등간 .82
진로체험 만족도 6문항(멘토특강, 현장견학, 학과체험 등) 5점 등간 .82
취업지도 만족도 7문항(취업상담, 채용정보 제공, 구직활동 지도, 채용설명회, 취업캠프 등) 5점 등간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