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별화된 지도(Individualized Instruction): 학생의 필요, 관심사, 학습 스타일에 맞게 수업과 활동 조정.• 유연한 속도(Flexible Pace): 학생의 이해 속도에 따라 학습. | • 표준화된 교육과정: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내용을 가르치는 교육과정.• 고정된 속도(Set Pace): 모든 학생이 동일한 속도로 학습, 개별 이해도를 고려하지 않음. |
• 다양한 자원(Resources): 비디오, 기사, 시뮬레이션과 같은 다양한 자료 활용.• 지속적인 평가(Continuous Assessment): 학습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평가. | • 제한된 자원: 주로 교과서와 강의에 의존하며 학습 자료가 제한적.• 주기적 평가(Periodic Assessment): 시험과 같은 주기적 평가 사용, 즉각적인 피드백 부족. |
• 학습자 주도(Learner Agency): 학생이 자신의 학습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동기와 참여 증대.• 실생활과의 연관성(Real-World Relevance): 학생의 관심사 및 현실 세계와 연결. | • 교사 중심(Teacher-Centered): 학습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주도적이며, 학생의 참여가 적음.• 일률적 접근(Uniform Approach): 모든 학생이 동일한 방식으로 학습한다고 가정. |
• 협력 학습(Collaborative Learning): 학생들 간의 협력을 장려하여 서로 배울 수 있는 환경 제공.• 적응형 기술(Adaptive Technology): 개별 학습 진행, 실시간 피드백 제공 기술 활용. | • 제한된 협력(Limited Collaboration): 학생들 간의 협력 기회 부족.• 최소한의 기술 통합(Minimal Technology Integration): 콘텐츠 전달에 초점, 학습 개인화에는 활용하지 않음. |
• 숙달에 집중(Focus on Mastery): 학습의 완전한 숙달에 초점. | • 완료에 집중: 학습의 깊은 이해보다는 과제 완료와 진도에 초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