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 특성화고 선택중심 교육과정 평가요소 및 지표

평가영역 평가요소 번호 평가지표
상황 평가 요구분석 1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을 충실히 분석하였다.
2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교육청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지침을 충실히 분석하였다.
3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해 학생(혹은 학부모)을 대상으로 개설과목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4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개설과목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5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해 학생(혹은 학부모)의 졸업 후 희망 진로(취업·진학)를 충실히 분석하였다.
환경분석 6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학교 내 인적 자원 여건(교사 인력풀, 교사 수급 문제, 학생 수 변동, 학과 변동 등)을 분석하였다.
7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학교 내 물리적 여건(학교 예산, 시설과 장비 등)을 분석하였다.
8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산업 여건(국가⋅지역산업, 인력수급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목표설정 9 학교 교육 전반에 걸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를 강조하였다.
10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는 학교의 인력양성유형을 명확하게 설정하였다.
투입 평가 교육과정 설계 11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과목 선택을 위한 수강 신청 시기와 기간은 적절하였다.
12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과목 선택을 위한 과목 안내 및 상담을 진행하였다.
13 선택중심 교육과정 관련 교육과정 안내서(혹은 과목 안내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작성되었다.
14 학생이 스스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학업계획서 작성을 지도하였다.
15 과목 개설이 가능한 여건 및 환경 내에서 학생들의 수요(흥미, 적성, 진로 등)를 반영하여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16 학생의 학습능력(기초학력) 등을 반영하여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17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은 인력양성유형에 근거하여 도출되었다.
18 학생들의 수요와 진로분야에 따라 다양한 교육과정의 형태(학과 내, 학과 간, 학교 밖, 부전공 취득(24학점 이상), 공동교육과정 등)가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교수자 지원 19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이해를 위해 단위 학교 차원에서 학점제 관련한 정보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졌다.
20 학생들의 진로에 따른 교육과정 선택 및 운영 지도 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全 교사 대상 교육(교육 프로그램, 워크숍, 세미나 등)이 충분히 이루어졌다.
21 선택중심 교육과정 관련 역량 증진을 위한 교사협의회가 조직되어 있다.
22 선택중심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주당 수업 시수가 적절하게 설정되었다.
23 선택중심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과목 수가 적절하게 설정되었다.
24 선택중심 교육과정 관련 교과, 창체, 진로상담 및 지도 활동에 적합한 교사를 적절하게 배치하였다.
25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학교 차원에서 필요한 경우 강사를 활용(산학겸임교사 포함)하였다.
학습환경 지원 26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문교과 교과교실(강의실)이 충분히 마련되었다.
27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보통교과 교과교실(강의실)이 충분히 마련되었다.
28 학생들의 개별학습을 위해 교과 교실 이외의 별도시설(가변형 교실, 개별학습 공간 등)이 마련되었다.
29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실습실이 충분히 마련되었다.
30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필요한 예산이 적절하게 지원되었다.
교육지원 체제 31 학생 교육과정 설계, 수강신청, 이동수업 등 학점제 교육과정 운영 전반을 담당하는 ‘교육과정 지원팀(교육과정부, 교무기획부 등)’이 조직되었다.
32 각 부서별 학점제 업무 추가 등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맞춰 교사의 업무분장이 재구조화되었다.
33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교사 간의 협력적 조직문화가 갖추어졌다.
34 학교 관리자가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위해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및 진로지도의 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구체적인 노력(예, 조직 개편 등)을 하였다.
35 학교 밖 교육을 위해 학교 인근 산업체, 대학, 공공기관 등 지역교육시설의 발굴 및 협조체제를 지원하였다.
과졍 평가 교육과정 운영 36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의 수요(흥미, 적성, 진로 등)를 반영하여 운영되었다.
37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수요에 따라 기초 및 심화 수업 과목을 개설하였다.
38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교과 융합 수업이 가능하였다.
39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수요에 따라 소인수 과목의 운영이 가능하였다.
40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교과목은 학생들의 특성(학습동기, 능력 및 수준 등)에 따라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41 수강신청 이후 수강신청 조정기간을 두고 학생들의 과목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영되었다.
학생평가 42 학생은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교과목 평가 계획에 대한 설명을 사전에 충분히 들었다.
43 학생평가는 교과 목표 및 특성에 적합한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44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는 수행평가 등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한 과정 중심 평가를 강화하였다.
45 학생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적절하게 제공되었다.
46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는 과목의 최소 성취수준을 정하고 그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보충학습 과정(과제 부여, 온라인 수업, 방과 후 수업 등)을 제공하였다.
진로지도 및 상담 47 학교 관리자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진로지도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였다.
48 학교 관리자는 진로지도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해서 교사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49 선택중심 교육과정 관련하여 내실 있는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해 교원들의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졌다.
50 진로지도에 전문성을 가진 인력(진로전담교사 및 취업지원관 등)이 선택중심 교육과정과 관련한 지원을 충분히 하였다.
51 진로전담교사는 학과 부장 및 담임교사, 교과담당 교사와의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을 위해 노력을 하였다.
52 학생들의 요구 및 특성(진로, 학습동기, 능력 및 수준 등)을 반영하여 진로지도 및 상담을 실시 하였다.
53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해당 학년 및 대상의 특성에 맞게 운영하였다.
목표달성 54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의 교과목 선택 기회가 확대되었다.
55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자율성을 확대시켰다.
56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통해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졌다.
57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58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자기주도적 학업 설계를 지원하였다.
59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였다.
60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에 교사가 참여하였다.
61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에 학생이 참여하였다.
62 자체평가 분석을 통해서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강점, 개선점, 시사점을 종합하여 도출하였다.
만족도 63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전반에 대한 학생(학부모)의 만족도가 높았다.
64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전반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가 높았다.
학생변화 65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의 진로역량(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능력, 진로준비행동 등)이 향상되었다.
66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의 직무 및 취업 역량이 향상되었다.
67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68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이 자기주도적 학습자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69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환류체제 70 학생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평가 결과를 학교 구성원에게 공유하였다.
71 학생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 결과를 차년도 교육과정에 반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