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직업계고 학점제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모형(안)

구분 운영모형 내용 장·단점
기본모형 학 과 내 ① 세부 전공 코스형 학과 교육과정 내에서 인력양성 유형에 따라 다양한 세부전공(코스)을 선택·이수 - 자격취득을 통해 산업현장의 수요에 부합- 전공 내 실무과목 추가이수를 통해 심화된 학습이 가능- 학과 내 수업시수, 다과목 배정 등 조율 필요- 동일 학과 내 최소 2개 이상 직무코스 운영이 필수- 학과 내 NCS기반 교육과정과 연계한 직무 또는 자격별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과목 개설 필요- NCS 선택 교과목 개설에 따른 교과목 전문성 역량 강화 필요 및 교과 연구 부담 증가- 분반수업에 따른 시설/공간 확보 및 예산 필요- 타전공 교과목에 대한 학생 선택 여력의 상대적 축소
② 후학습 지원형 선취업·후학습에 대비한 기초학력보장을 위한 해당 과목의 학점 확대 및 교과 선택 기회 제공 - 학생 개인별 기초학력 수준 고려가능(교육의 책무성 향상)-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과 학력 증진 기대- 기초학력 수준에 맞는 수업 제공을 위한 교사의 학생 개인별 수준 이해도 향상- 교사 수업 시수 증가와 수준별 학생 지도를 위한 수업자료 준비, 수업 연구 등 교사 부담- 보통교과의 선택적 수강 및 성적차에 따른 학생 간 위화감 조성가능
학과간 ③ 타학과 융합형 학과 전공과 관련 있거나 학생이 이수를 원하는 타 학과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다양한 학과 전공 학습을 통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융합 인재 양성 가능- 타전공 과목 이수를 통해 학습 동기 부여 및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 다양한 전공 경험으로 학생 진로도움에 구체화- 학과 간 수업시수, 다과목 배정, 업무 분당 조율 필요- 소수 선택 교과에 대한 내부 개설 기준 마련 및 대책 필요- 타학과 과목 선택 학생의 기초학력 보장이 필수
④ 부전공 이수형 타학과 과목을 심화 이수 - 다양한 전공 이수를 통해 학생 만족도 및 역량 강화 가능-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다기능 창의 융합형 기술 인재 양성 가능- 복수 자격취득을 통한 취업 역량 강화- 학과 개편에 따른 학교의 피로감 및 업무 부담 해소 가능- 최소 24학점 이상 추가 이수 필수로 인해 교원의 수업 또는 업무 증가 예상
선택모형 학교간 ⑤ [공동교육과정] 1:1 매칭형 인접한 두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 학생의 다양한 진로직업 욕구 충족 가능- 대도시, 농산어촌 소규모 지역의 경우 일부 적용 가능- 인접 학교 간 학생 상호 요구 및 수요가 기본 전제- 매칭 학교와 학사 일정을 일치시켜야 하는 실질적 운영의 어려움- 과도한 행정 절차 발생
⑥ [공동교육과정] 연합캠퍼스형 지역 내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 개별 학교가 구비하기 어려운 고가의 기자재 및 시설, 담당 전문인력 활용 가능- 학생들 다양한 과목 선택권 제공- 학생 이동 및 관리 부담 요소- 거점 학습장으로의 접근성 제한 요소 발상- 분명한 계열성에 따른 계열 편중- 교육청의 체계적 지원 전제 적용- 방과후, 주말 운영에 따른 시간과 제반 비용 고려
학교밖 ⑦ 학교 밖 연계형 지역 및 국외 산업체, 대학 등 교육프로그램과 시설 활용 - 산업체, 대학, 지역사회 학습장 등 활용이 가능하여 학교의 이론교육과 기업의 심화 실습을 통한 균형있는 현장 중심 교육 제공 가능- 대학 등 전문성이 확보된 교수의 직강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선택권과 만족도 개선 가능- 개별학교에서 산업체·대학 등 MOU 체결 필요- 교육과정 공동개발을 위한 개별 학교 역량 필요- 학생 안전문제- 교원의 코티칭 관리에 어려움 발생, 평가의 신뢰성 확보 필요- 인정 기관 및 범위에 대한 명확한 규정 필요
⑧ 블렌디드 학습형 원격 수업 + 학교 밖 체험 + 학교 내 수업을 혼합 - 도서벽지 학교의 경우 교육 여건 보완-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 학생 수요에 맞춘 다양한 교과목 개설 및 제공 가능- 온라인 플랫폼 및 시설 구축이 필요- 온라인 과목, NCS에 준하는 프로그램의 질 확보 필요- 온라인 수업평가 방식 및 공정성 확보 이슈
출처: 교육부(2021.3.16.) 직업계고 학점제 추진계획.p 17, 박동열 외(2020). 2020학년도 직업계고 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안내서, p61-69를 중심으로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