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생 참여의 특성과 그에 따른 지원 요구의 사례 수집 및 유형화 | 면담 조사①: 다양한 사례의 유형화 | 일반학교 초·중 교원 8명(초 4명, 중 4명) | 2021 .4. 14., 4. 16. |
자율학교 초·중 교원 8명(초 4명, 중 4명) | 2021. 4. 22., 4. 29. |
혁신학교 초·중 교원 8명(초 4명, 중 4명) | 2021. 4. 8., 4. 9. |
전문가 의견 조사: 유형화된 사례의 보완 | 초·중 교원(초 4명, 중 4명), 교육전문직(4명), 교육과정 전공 교수(7명) 총 19명 | 2021. 5. |
2. 학생 참여의 특성과 그에 따른 지원 요구의 체계화 | 설문 조사: [1]에서 도출된 유형의 일반화 가능성 검토 | 설문 조사 실시 | ∘ 학교: 전국 17개 시·도별로 학교규모(대·중·소)별 3%의 초·중학교를 비례유층 표집 - 교원: 교장·감 및 교사(교육과정 업무 담당 부장 교사 및 학년 업무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응답 요청(초 교원 499명, 중 교원 274명, 총 773명 응답) - 학생: 중학교의 각 학년 첫 번째 학급 학생 전원(2,110명 응답) - 학부모: 초·중학교의 각 학년 첫 번째 학급의 학부 전원에게 응답 요청(초 3,183명, 중 2,290명 응답)∘ 교육(지원)청: 전국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교육과정 업무 담당자에게 응답 요청(초 교육전문직 114명, 중 교육전문직 97명, 총 211명 응답) | 2021. 5. - 8, |
설문 결과 논의 | 초 교원 3, 초 교육전문직 1 | 2021. 8. 5a. |
중 교원 3, 중 교육전문직 1 | 2021. 8. 6 |
면담 조사②: 학생의 의견 수렴 | 학생 9명(초 5명, 중 4명) | 2021. 8. 4. |
학생 3명(중 3명) | 2021. 8. 5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