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참여의 단계(학습자 주도성 및 협력적 주도성의 단계)

실질적 참여의 증가 단계 8. [학생이 성인과 협업함] 학생이 프로젝트에 대한 의사결정 및 실행을 성인과 함께 파트너로써 협업함.
7. [학생이 결정함] 성인과의 협의, 지도, 조언 하에 학생이 프로젝트의 실행 여부 및 방법을 결정함.
6. [학생이 실행의 일부분에 참여함] 성인이 프로젝트에 대한 의사 결정과 실행을 주도하되, 학생이 그 일부분에 참여함.
5. [학생에게 상세히 안내함] 성인이 프로젝트 전반을 결정을 내리고 주도하되, 학생은 그 결과를 상세히 안내받음.
4. [학생에게 참여 역할이 주어짐] 성인이 학생에게 프로젝트에 대한 과제 부여를 하고, 참여 이유와 방법을 안내함.
참여 하는 것으로 보이는 단계 3. [학생의 형식적인 선택 절차 있음] 학생이 프로젝트의 실행 여부와 방법을 선택하는 절차는 있지만, 실제로는 성인이 결정함.
2. [학생의 의견 제시] 학생이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면, 성인이 이를 고려하여 의사결정하고 실행함.
1. [참여한 것으로 보임] 학생이 프로젝트에 대한 의사결정 및 실행에 참여한 것으로 보임.
0. [참여하지 않음] 학생이 프로젝트에 대한 의사결정 및 실행에 참여하지 않음.
출처: Arnstein(1969)의 사다리 비유, Hart(1992)의 학생 참여 수준.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에서 제시한 Student Focus Group의 협력적 주도성에 대한 태양 모형(OECD, 2019, pp. 9-10)을 종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