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A 교육대학의 교육 실습 운영 방식 및 주요 실습 내용

구분 대상 학년 기간 학점 주요 실습 내용
참관 실습 1학년 1주 Pass/Fail ◦ 초등 교사가 될 교육대학생이 처음 경험하는 실습◦ 교직 생활 전반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교육 현장의 실제를 관찰하고 교직 업무를 이해하는 데 초점
수업 실습 I 2학년 2주 1학점 ◦ 교육 실습의 핵심 단계◦ 교육실습생이 직접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교사로서의 자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교과수업 외에도 특별활동, 재량활동, 방과후 학교,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 등에 대한 실습
농어촌 실습 3학년 1학기 2주 1학점 ◦ 농어촌 소규모 학교와 학급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교육적 접근법을 배울 수 있는 실습◦ 기존의 교육 실습은 교대부설초와 광역시 대용 실습학교에서 진행되는 데 비해, 농어촌 실습은 도 지역의 크고 작은 학교에서 교육 실습 경험
수업 실습 Ⅱ 3학년 2학기 2주 1학점 ◦ 수업 실습 I에서 배운 원리와 실천을 다른 교과에 적용해 보는 과정◦ 반복, 심화, 확산의 원리에 따라 전 교과목을 지도하는 기회◦ 교과 지도 이외에 다양한 교육적 과업을 수행해 볼 수 있는 기회 제공◦ 지도 교사와 교과교육 전공 교수의 협력이 필요
실무 실습 4학년 2주 1학점 ◦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수행해야 할 실무를 체험하는 단계◦ 학급경영, 전교 행사, 과외활동 지도 등 광범위한 업무 경험◦ 교사의 기본자세와 문제 해결 능력 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