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Ⅴ-1 B고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단계별 운영 내용

시기 단계별 운영 내용
학기 시작 전 [준비단계] 수업 및 평가 계획•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관련 내부 규정(학업성적관리규정) 정비•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운영 계획 수립- 학교 내 전체 협의 및 교과 협의를 통해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위한 기본 계획 수립- 대상 학년 및 과목, 과목 이수 기준 설정,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반영한 교수·학습 및 평가 계획, 학기말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학생 보충 지도 방법 등을 고려
학기 초 [1단계] 미도달 예상 학생 파악• 학기 초 진단 평가, 교과 및 담임교사 추천 등을 통해 미도달 예상 학생 파악
학기 중 [2단계] 미도달 예상 학생 지도•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예상 학생에 대한 학업 상담 및 미도달 예방 지도- 미도달 예방 지도 실시(방과후 지도, 보충 과제 부여, 학습 멘토링 등)- 지속적인 학업 상담 및 컨설팅 진행
학기 말 [3단계] 미도달 학생 지도• 학기말 평가 결과를 토대로 과목별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학생 파악, 보충 지도 대상 학생 확정•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학생에 대한 보충 지도 프로그램 운영(방과후 또는 방학 중 보충 지도 프로그램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