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Ⅲ-6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 지원 요구

주제 세부 내용 빈도(비율)
인센티브 제공 • 보장 지도 교사의 업무 및 시수 경감• 방과 후 지도 교사에 대한 강사비 지원• 행정 업무 경감 지원 28(41.2%)
자료 개발 및 보급 • 미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진단 평가 도구 개발• 보장 지도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교과별로 필요한 영역별, 단계별 수업 자료 및 학습지 개발• 보장 지도에 대한 교과목별 가이드라인 제시•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는 진로 탐색 프로그램(학습 상담 등) 지원 42(61.8%)
예산 및 인력 지원 • 학습 지원 대상 학생의 동기유발을 위한 충분한 예산 지원• 학습 지도에만 국한된 예산 사용 범위 융통성 부여(정서 상담 및 학습 동기 부여 활용에도 예산 사용 허용)• 보장 지도를 위한 강사 인력풀 제공• 교사의 수업 시수 과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사 지원 29(42.6%)
연수 및 홍보 • 보장 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을 위한 교사 연수• 수업 역량 강화 연수 지원• 상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연수자료 제공•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18(26.5%)
보장 지도 일괄 및 통합 운영 • 미도달 예상 및 미도달 학생 지도를 위한 중앙 교육 플랫폼 구성• 교육청별 지도 프로그램의 일괄 운영• 기초학력 책임지도 대상 학생과 보장 지도 대상 학생 통합 운영 필요• 기초학력 보장 교육 등 유사 프로그램과 중복 문제 해결 방안 제시 13(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