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9 3차 델파이 조사의 응답 결과(교사의 실천 전략 & 지향점)

영역 요소 교사의 실천 전략 M SD CVR 지향점 M SD CVR
교육 과정 디지털 시대 교육 맥락을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 • 사회 변화에 따른 학생, 학교, 정책 요구 반영 4.67 0.47 1.00 유연성 4.67 0.47 1.00
✓ 데이터 기반 학생 특성(학습 준비도, 학습 속도, 진로, 흥미 등) 반영 4.72 0.45 1.00
✓ 디지털 기반 수업 혁신을 지향하는 학교 문화 조성 4.56 0.60 0.89
✓ 디지털 교육정책 대응 4.61 0.49 1.00
교육 주체 교사 전문적 정체성 형성(전문가로서의 정체성 개발) • 수업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발전된 미래 수업 상을 투영하고 현재 수업 실행 4.78 0.42 1.00 변혁적 4.44 0.68 0.78
✓ 미래사회 변화와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이해와 대응 4.72 0.45 1.00
학생 주도성 신장 지원 • 학생 스스로의 선택과 책임을 기반으로 능동적 학습 주체로 성장하도록 지원 4.78 0.42 1.00 주도적 4.78 0.42 1.00
✓ 학습 성공을 경험하는 기회 제공 4.83 0.37 1.00
✓ 디지털 소양 함양 지원 4.50 0.60 0.89
예측(anticipation)-행동(action)-성찰(reflection) 과정을 통한 학습 촉진 4.67 0.47 1.00
교수 학습 학생의 삶과 연계된(교과 지식을 실생활 맥락에 적용하는) 학습 과제 부여 • 학생의 실질적 참여를 유도하는 과제 제시 4.78 0.42 1.00 실제적/협력적/포용적/맞춤형 4.67 0.47 1.00
✓ 학생이 자신의 삶 속에서 발견하는 문제 활용 4.72 0.45 1.00
실세계 데이터인 공공데이터, 다양한 디지털 매체로 전달되는 정보 등을 학생의 문제 발견 맥락으로 활용 4.39 0.59 0.89
✓ 인지적, 정서적 몰입을 유발하는 도전적 과제 제시 4.78 0.42 1.00
융합적 접근을 통한 확장된 경험 제공 • 깊이 있는 탐구 유도 4.78 0.42 1.00
✓ 문제 해결을 위한 발상의 전환 촉진 4.78 0.42 1.00
✓ 비판적 사고의 활성화 지원 4.78 0.42 1.00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문제 해결 경험 제공 4.78 0.42 1.00
디지털 도구(가상 실험, 시뮬레이션, AI 등)를 활용한 문제 해결 촉진 4.83 0.37 1.00
디지털 사회 참여 기회 제공 • 사회적 영향력을 갖춘 학습 기회 제공 4.61 0.49 1.00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의 언어와 창작물로 표현 4.67 0.47 1.00
디지털 사회에서 학습의 과정 및 성과 공유 4.67 0.47 1.00
교수학습 과정에 내재화 된 평가 데이터 기반 진단과 평가 4.83 0.37 1.00
✓ 학습을 위한 지속적인 피드백과 스캐폴딩 제공 4.83 0.37 1.00
교수학습 과정에 테크놀로지 통합(integration) 수업의 효과성이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4.89 0.31 1.00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소통과 협업 활성화 4.83 0.37 1.00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맞춤형 학습 지원 4.89 0.31 1.00
평가의 효과성이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4.78 0.42 1.00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형성적 평가, 디지털 포트폴리오 구성 4.72 0.45 1.00
끊김 없는 학습(seamless learning) 경험 제공 • 교실 안과 밖 시공간을 넘어선 학습 4.72 0.45 1.00
✓ 교실 학습과 교실 밖 학습이 통합되는 학습 경험 제공 4.78 0.42 1.00
✓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학습이 통합되는 학습 경험 제공 4.67 0.47 1.00
모두를 위한 개별화된 학습 지원 • 맞춤화된 학습 기회 제공 4.89 0.31 1.00
✓ 학습 준비도와 학습 속도를 반영한 개별화 지도 4.83 0.37 1.00
✓ 진로와 흥미를 반영한 맞춤형 지원 4.67 0.47 1.00
• 디지털 도구와 콘텐츠를 활용한 포용적인(inclusive) 학습 기회 보장 4.67 0.47 1.00
형평성 증진을 위해 학습자의 다양성 분석에 따른 변별적 처방 4.67 0.58 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