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맥락 | 교실 맥락 이해 | 2 | 시대적 요구에 부응 | (교육맥락은 교육과정에 통합) | | | |
학교 맥락 이해 | 2 |
사회 변화 대응 | 1 |
교사 요인 | 교사 전문적 정체성 개발 | 1 | 성찰적 | 교육주체 (교사와 학습자 통합) | 교사 전문적 정체성 개발(전문가로서의 정체성 개발) | 2 | 성찰적 |
학습자 요인 | 학생 주도성 신장 | 1 | 주도적 | 학생 주도성 신장 지원 | 4 | 주도적 |
교육 과정 | 학생 데이터에 근거한 교육 과정 재구성 | 1 | 교육과정 재구성 | 교육 과정 | 디지털 시대 교육 맥락을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 | 4 | 유연적 |
교수 학습 및 평가 | 학생의 삶과 연계된 실생활 기반의 탐구 과제 부여 | 3 | 실제적/협력적 | 교수학습 및 평가 | 학생의 삶과 연계된(교과 지식을 실생활 맥락에 적용하는) 학습 과제 부여 | 3 | 실제적/협력적/포용적/맞춤형 |
탐구 과정에서 협업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접근을 통해 확장된 경험 제공 | 5 | 융합적 접근을 통한 확장된 경험 제공 | 5 |
탐구 성과 공유를 통한 사회적 참여 기회 제공 | 2 | 성과 공유를 통한 디지털 사회 참여 기회 제공 | 2 |
탐구 전 과정에 걸친 참여형 평가 | 1 | (테크놀로지는 교수학습 및 평가로 통합) | 탐교수학습 과정에 내재화 된 평가 | 2 |
끊김 없는 학습 경험 제공 | 2 | 포용적/맞춤형 | 끊김 없는 학습 경험 제공 | 3 |
모두를 위한 개별화된 학습 지원 | 4 | 모두를 위한 개별화된 학습 지원 | 4 |
테크놀로지 | 수업과 테크놀로지의 의미 있는 연계 | 2 | 테크놀로지 통합 | 교수학습 과정에 테크놀로지 통합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