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디지털 기반 수업 혁신 요소 틀

영역 요소 교사의 실천 전략 지향점
교육 맥락 교실 맥락 이해 • 학생의 감정과 선호를 기반으로 한 정서적 지원• 학생의 준비도와 흥미도를 반영한 학습 경험 지원 시대적 요구에 부응
학교 맥락 이해 • 교수학습 통합 플랫폼 도입 및 활용• 혁신을 지향하는 학교 문화 조성 ▷ 디지털 연계: 학생의 학습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사회 변화 대응 • 디지털 시대 교사가 주도하는 교실 혁명 (교육정책)에 대응
교사 요인 교사 전문적 정체성 개발 • 수업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발전된 미래 수업 상을 투영하고 현재 수업 실행 성찰적
학습자 요인 학생 주도성 신장 • 학생 스스로의 선택과 책임을 기반으로 능동적 수업 주체로 성장하도록 지원 주도적
교육 과정 학생 데이터에 근거한 교육 과정 재구성 • 학생의 흥미, 관심, 선호 등을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 ▷ 디지털 연계: 학생의 학습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교육과정 재구성
교수 학습 및 평가 학생의 삶과 연계된 실생활 기반의 탐구 과제 부여 • 학생의 실질적 참여를 유도하는 과제 제시✓ 학생이 자신의 삶 속에서 발견하는 문제 활용✓ 인지적 참여을 유발하는 도적전 과제 개발 실제적/협력적
탐구 과정에서 협업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접근을 통해 확장된 경험 제공 • 깊이 있는 탐구 유도✓ 문제 해결을 위한 발상의 전환 촉진✓ 비판적 사고의 활성화 지원✓ 협력적 문제 해결 경험 제공✓ 실패를 용인하는 교실 문화 조성 ▷ 디지털 연계: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소통과 협업, 가상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AI를 활용한 문제 해결
탐구 성과 공유를 통한 사회적 참여 기회 제공 • 학생 자신의 언어와 창작물로 탐구 결과 공유• 디지털 사회 참여 기회 제공 ▷ 디지털 연계: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탐구산출물 제작, 디지털 사회에서 공유
탐구 전 과정에 걸친 참여형 평가 • 학습 과정에 내재화 된 평가 시행 ▷ 디지털 연계: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형성적 평가, 디지털 포트폴리오
끊김 없는 학습(seamless learning) 경험 제공 • 교실 안과 밖 시공간을 넘어선 학습✓ 자연적, 신체적 재해 등에도 지속되는 학습 ▷ 디지털 연계: 디지털 도구 및 콘텐츠 활용 포용적/맞춤형
모두를 위한 개별화된 학습 지원 • 맞춤화된 학습 기회 제공✓ 학습 속도와 학습 경로를 반영한 개별화 지도✓ 학습 준비도, 흥미, 학습자 프로파일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 공정한 학습 기회 보장 ▷ 디지털 연계: 디지털 도구, 콘텐츠, 학습 데이터 활용
테크놀로지 수업과 테크놀로지의 의미 있는 연계 • 학습의 효과성, 효율성, 확정성 제고를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테크놀로지 활용 과정에서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기회 제공 테크놀로지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