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설문 문항 구성

설문영역 설문 내용 문항 수 CVR
전반적 인식 및 효과 융합교육에 대한 긍정 인식 여부 융합교육에 대한 긍정 인식 여부 1 1.00
교육과정 목표 도달 융합교육의 교육과정 목표 도달 도움 정도 1
교사 전문성 신장 융합교육을 통한 현장 교원의 전문성 신장 1
학생의 이공계 진로 선택 관심도 융합교육을 통한 학생의 이공계 진로 선택 관심 정도 1
교과 및 교사 간 소통·협력 융합교육을 통해 교과 교사 간 상호 소통 및 협력 활동 개선 정도 1
수업 활동 1학기당 차시 구성 1~2차시, 3~4차시, 5~6차시, 7차시 이상, 기타 1 .710
학교현장에서 융합교육을 실행하기 어려운 이유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어려움, 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전문성 부족, 학업 성취도 결과에 대한 책임감, 인력, 예산 등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 부족 등 1 (순위선택) .710
국내 융합교육 안정적 지원을 위한 선결 추진과제 국가 차원의 융합교육 전문지원센터 지정·운영, 융합교육 법령 제정(교육 진흥법), 융합교육 학교급별 교육과정 개발·적용, 학교급별 융합교육 교과목 개발·보급 등 1 (순위선택) .710
정책 지원 및 프로그램 운영 개선 정책 지원 사업에 대한 인식개선 홍보 1 1.00
교육부와 교육지원청의 일관된 정책 집행 1
대학 내 융합교육 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 1
융합교육 국가 보조금 지원 신설 및 확대 1
융합교육 참여 교원 인센티브 강화 1
융합교육 국제 협력체제 구축 및 교류 강화 1
융합교육 전문 컨설팅 및 지원 기관 운영 1
프로그램 운영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1 .430
융합교육 학부모 참여 유도 1
융합교육 커뮤니티 및 지역 기반 산학연 협력 장화 1
융합교육 연수 (교사, 강사 등) 지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