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국가별 융합교육 운영 현황

국가/지역 사례 주요 특징 및 목표 동향 출처
대한민국 2022 개정 교육과정 다양한 학문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 간 연계 학습 강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학생들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배양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융합선택과목 신설, STEAM 교사연수 및 교육자료 개발 지원. STEAM 선도학교 운영을 통해 전국적 확산을 추진 교육부(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미국 Project Lead The Way (PLTW) K-12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을 결합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제공. 학생들이 실제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배양하도록 설계 국가 차원에서 융합교육을 정책적으로 지원하며, 다양한 연령대와 학습 수준에 맞춘 프로그램 개발. 학교와 지역 사회 간 협력 강화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 (2017)
핀란드 현상 기반 학습 (Phenomenon-based Learning) 학생들이 실제 세계의 현상을 중심으로 여러 학문을 통합하여 학습. 실생활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종합적 사고력과 협업 능력 배양 국가 교육과정에 현상 기반 학습 도입. 융합교육의 일환으로 모든 학교에서 필수 과목으로 실행되며, 학습의 유연성과 창의성 강화 Finnish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 (2020)
싱가포르 STEM 응용 학습 프로그램 (ALP) 학생들에게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의 개념을 실제로 응용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학생들이 다양한 실험과 프로젝트를 통해 학문 간 통합적 사고를 기르도록 유도 정부 주도로 전국적인 프로그램 운영.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교육과정에 최신 기술 도입. STEM 분야 직업 탐색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 교육 강화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022)
캐나다 I-STEM 프로그램 (Aldershot School)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을 중심으로 한 혁신적인 학습 환경 제공. 공학 설계 및 디자인 사고, 기업가적 사고 기술을 개발하며, 글로벌 문제 해결 능력 배양 지역 사회와 기업, 대학 간의 협력을 통해 프로그램 운영.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s)를 반영한 프로젝트 학습. 학습자 중심의 실습 및 문제 해결 능력 강화 Hamilton-Wentworth District School Board. (2021)
독일 MINT 실행계획 2.0 수학, 정보학, 자연과학, 공학 교육을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 디지털 캠퍼스를 통한 학습 환경 조성 및 인공지능 학습 지원 중앙 정부와 주 정부 간 협력 하에 MINT 교육 확산. 전문적 STEM 인력 양성을 목표로, 실습 중심의 학습 환경 조성. 국가 및 지역 단위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German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BMBF]. (2020)
호주 융합교육 이니셔티브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을 통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운영. 교사들에게 융합교육 관련 연수 및 전문성 개발 기회 제공. 학생들이 실제 세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창의적 사고력 배양 국가 주도의 융합교육 정책 시행. 교사연수 및 지원 프로그램 강화.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 최신 기술을 활용한 학습 기회 제공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Skills and Employment.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