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 일본 | × | ○ | × | • 개별교과로 음악 편성 및 운영 |
싱가포르 | × | ○ | × | • 예술교과군으로 편성되었으나 일반음악 프로그램(GMP)을 독립 운영 |
대만 | × | × | ○ | • 통합적인 교과교육 지향 |
유럽 | 영국 | × | ○ | × | • 기초교과로 음악 편성 및 운영 |
독일 베를린주 | × | ○ | × | • 필수교과로 음악 편성 및 운영 |
핀란드 | ○ | ○ | × | • 기초예술교육과정이 제정되었으나 필수교과로 음악 독립 운영 |
북아메리카 | 미국 | ○ | ○ | × | • 국가핵심예술기준에 맞춰 핵심음악기준 제시• 예술교과목 간 영역, 과정, 주요 기준을 공유하고, 예술교과별 수행기준은 다르게 제시 |
캐나다 온타리오주 | ○ | ○ | × | • 예술 교육과정 내 음악과 교육과정 제시• 예술 교과목 간 밀접한 연결성• 예술에서의 통합학습 강조· 예술의 보편성에 따른 공통 내용과 음악의 고유성에 따른 특징적인 내용을 따로 제시 |
오세아니아 | 호주 | ○ | ○ | × | • 예술 학습 영역의 교과목 교육과정 존재• 예술 교과목 간 밀접한 연결성 |
뉴질랜드 | ○ | ○ | × | • 예술영역의 내용 체계에 따라 음악-소리예술의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와 성취목표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