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B: 다음 주에는 제비 생태 관찰하기로 했죠? 지오로케이터 기억나요?학생 가: 지오로케이터가 뭐예요?학생 나: 지난 번에 제비 다리에 뭐 묶었잖아.학생 가: 그랬나, 근데 그거 왜 해?교사 B: 지난 체험학습 시간에 동네에 있는 제비 둥지를 살펴보고, 제비 3마리 다리에 이동 경로를 알 수 있는 장치를 설치했었죠?학생 다: 제비 둥지 보러 갈 때 너무 더워요.학생 가: 맞아, 너무 힘들어요.학생 라: 전 재미있었어요. 나중에 얘네들이 어디까지 갔다가 다시 오는지 궁금해요.학생 가: 그거 알아서 뭐 할 건데?학생 라: 근데 선생님, 관찰하면 그 결과를 어떻게 써야 돼요? | 중학교 과학 내용 중 ‘생식과 유전’은 많은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단원이다. A교사는 평소 과학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이해도를 수시로 점검해왔다. 특히 진단평가와 형성평가 결과 생물 단원 중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등 선수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 학급을 기준으로 볼 때 4~5명의 학생들은 선수 학습 내용 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통합과학 수준 정도의 이해도를 보였고, 과학수업 내용이 너무 쉽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7~8명의 학생들은 세포 분열 과정에 대한 이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A교사는 중학교 3학년 ‘생식과 유전’ 학습이 고등학교 ‘생명과학’을 학습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하기 때문에 모든 학생들이 이 내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만약 여러분이 A교사라면 이 학급을 대상으로 멘델의 유전 원리에 대한 2차시 수업을 어떻게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