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기후변화 대응 실천지향 교수학습 절차(최종안)

수업 과정 행동 요소 행동 요소 설명
이슈 발견하기 기후 위기 현황 파악 • 교사가 기후변화의 위기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사례(해운대의 슈퍼 태풍 피해, 한라산의 토종 식물의 멸종 위기, 개화 시기 앞당김 및 폭염의 장기화, 남북극 해빙 감소와 생태계 위협 등)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기후 위기 현황을 파악하고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이해하도록 합니다.
관련 개념 이해 • 교사가 기후 위기가 일어나는 이유와 그 영향에 대해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사회적 개념을 도입합니다.
이슈 발견 및 분석 • 학생들이 기후 위기 현황 중에서 개인 삶에서 또는 사회적으로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이슈를 발견하고 이를 기후 위기의 원인, 현상, 영향, 행동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실천 방안 도출하기 대응 방안 탐색 • 학생들이 이슈에 대한 대응 방안 탐색에 필요한 정보 및 자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다룰 수 있는 수준의 대응 방안들을 비교하도록 합니다.
대응 방안에 따른 결과 예측 • 학생들이 탐색한 대응 방안을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 상황에 적용했을 때의 결과를 예측하도록 합니다.
실천 방안 도출 • 학생들이 탐색한 대응 방안과 그에 따른 예측 결과를 토대로 최선의 실천 방안을 합의를 통해 도출하도록 합니다.
실천하기 지역사회와 연계 모색 • 교사가 학생들과 함께 지역사회의 인력이나 자원을 활용한 사회적 실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관련성이 있는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모색합니다.
실천 계획 수립 • 학생들이 도출된 실천 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개인적·사회적 실천 방법의 구체적인 계획을 참여자, 역할, 장소, 시간, 행동 방법 등을 포함하여 세우도록 합니다.
개인적·사회적 실천 • 학생들이 도출된 실천 방안을 바탕으로 많은 사람들이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실천에 동참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인적 실천을 확대하여 사회적 실천을 하도록 합니다.
성찰하기 성찰 일지 작성 • 학생들이 자신의 개인적·사회적 실천 경험에 대한 성찰 일지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인지적·정서적 경험을 종합적으로 되돌아보고 평가하도록 합니다.
상호 격려 • 학생들이 수업에서 각자가 수행한 개인적·사회적 실천의 경험을 대화, 발표, 토의·토론 등의 활동을 통해 공유하도록 합니다.
상호 격려 • 학생들이 공유한 다양한 경험에 대해 서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앞으로 사회적 실천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상호 격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새로운 이슈 발견 • 학생들이 실천 경험 및 성찰을 바탕으로 앞으로 관심 있게 다루어야 할 새로운 이슈에 대해 고민해 보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