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기후변화 대응 실천지향 교수학습 절차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단계 활동 내용 M SD 합의도 수렴도 CVR
2차 이슈 발견하기 기후 위기 현황 파악 기후변화의 위기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사례(태평양 도서국의 해수면 상승, 몽골과 미 서부의 사막화 확장, 남북극 해빙 감소와 생태계 위협 등)를 제시하며 기후 위기 현황을 파악하고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이해합니다. 3.35 0.91 0.75 0.5 0.60
관련개념 이해 • 기후 위기가 일어나는 이유와 그 영향에 대해 학생들이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을 도입합니다. 3.8 0.40 1 0 1.00
이슈 발견 및 분석 • 기후 위기 현황 중에서 사회적 실천을 적용할 수 있는 이슈를 발견하고 이를 기후 위기의 원인, 현상, 영향, 행동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3.8 0.40 1 0 1.00
실천 방안 도출하기 대응 방안 탐색 • 이슈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및 자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탐색한 대안들을 비교해 봅니다. 3.7 0.56 0.81 0.38 0.90
대안에 따른 결과 예측 • 탐색한 대안을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 상황에 적용했을 때의 결과를 예측해 봅니다. 3.5 0.67 0.75 0.5 0.80
실천 방안 도출 탐색한 대안과 그에 따른 예측 결과를 토대로 최선의 실천 방안을 도출합니다. 3.65 0.57 0.75 0.5 0.90
실천하기 지역사회와 연계 방안 모색 • 사회적 실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관련성이 있는 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안을 모색합니다. 3.45 0.67 0.75 0.5 0.80
실천 계획 수립하기 도출된 실천 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개인적·사회적 실천 방법의 구체적인 계획을 세웁니다. 여기에는 참여자, 장소, 시간, 행동 방법 등이 포함됩니다. 3.7 0.56 0.81 0.38 0.90
개인적· 사회적 실천 도출된 실천 방안을 바탕으로 개인적 실천이 확대되어사회적 실천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동참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선한 영향력을 실천합니다. 3.9 0.30 1 0 1.00
실천 성찰하기 성찰 일지 작성 • 학생들에게 자신의 개인적·사회적 실천 경험에 대한 성찰 일지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인지적·정서적 경험을 종합적으로 되돌아보고 평가합니다. 3.7 0.56 0.81 0.38 0.90
경험 공유 • 수업에서 각자가 수행한 개인적·사회적 실천의 경험을 대화, 발표, 토의·토론 등의 활동을 통해 공유합니다. 3.85 0.36 1 0 1.00
격려하기 학생들이 공유한 다양한 경험에 대해 서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앞으로 사회적 실천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서로 격려합니다. 3.7 0.56 0.81 0.38 0.90
새로운 이슈 발견하기 실천 행동과 이에 대한 성찰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관심 있게 다루어야 할 새로운 이슈에 대해 고민해 봅니다. 3.85 0.36 1 0 1.00
3차 이슈 발견 하기 기후 위기 현황 파악 교사가기후변화의 위기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사례(해운대의 슈퍼 태풍 피해, 한라산의 토종 식물의 멸종 위기, 개화시기 앞당김 및 폭염의 장기화, 남북극 해빙 감소와 생태계 위협 등)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기후 위기 현황을 파악하고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이해하도록 합니다. 3.65 0.57 0.75 0.5 0.90
관련 개념 이해 교사가 기후 위기가 일어나는 이유와 그 영향에 대해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필요한 과학적 개념을 도입합니다. 3.65 0.57 0.75 0.5 0.90
이슈 발견 및 분석 학생들이 기후 위기 현황 중에서 개인 삶에서 또는 사회적으로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이슈를 발견하고 이를 기후 위기의 원인, 현상, 영향, 행동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4.00 0.00 1 0 1.00
실천 방안 도출 하기 대응 방안 탐색 학생들이 이슈에 대한 대응 방안 탐색에 필요한 정보 및 자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다룰 수 있는 수준의 대응 방안들을 비교하도록 합니다. 3.90 0.30 1 0 1.00
대응 방안에 따른 결과 예측 학생들이 탐색한 대응 방안을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 상황에 적용했을 때의 결과를 예측하도록 합니다. 3.80 0.40 1 0 1.00
실천 방안 도출 학생들이 탐색한 대응 방안과 그에 따른 예측 결과를 토대로 최선의 실천 방안을 도출하도록 합니다. 3.85 0.36 1 0 1.00
실천하기 지역사회와 연계 모색 교사가 학생들과 함께 지역사회의 인력이나 자원을 활용한 사회적 실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관련성이 있는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모색합니다. 3.70 0.56 0.81 0.38 0.90
실천 계획 수립 학생들이 도출된 실천 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개인적·사회적 실천 방법의 구체적인 계획을 참여자, 역할, 장소, 시간, 행동 방법 등을 포함하여 세우도록 합니다. 3.95 0.22 1 0 1.00
개인적·사회적 실천 학생들이 도출된 실천 방안을 바탕으로 개인적 실천을 확대하여 사회적 실천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함께 동참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선한 영향력을 실천하도록 합니다. 3.70 0.64 1 0 0.80
성찰하기 성찰 일지 작성 학생들이 자신의 개인적·사회적 실천 경험에 대한 성찰 일지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인지적·정서적 경험을 종합적으로 되돌아보고 평가하도록 합니다. 3.85 0.36 1 0 1.00
경험 공유 학생들이 수업에서 각자가 수행한 개인적·사회적 실천의 경험을 대화, 발표, 토의·토론 등의 활동을 통해 공유하도록 합니다. 3.95 0.22 1 0 1.00
상호 격려 학생들이 공유한 다양한 경험에 대해 서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앞으로 사회적 실천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상호 격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3.80 0.40 1 0 1.00
새로운 이슈 발견 학생들이 실천 경험 및 성찰을 바탕으로 앞으로 관심 있게 다루어야 할 새로운 이슈에 대해 고민해 보도록 합니다. 3.80 0.51 1 0 0.90
합의도< .75,
수렴도> .5,
CVR< .42,
밑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한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