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 기후변화 대응 실천지향 교수학습을 위한 내용체계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대영역 중영역 학습 내용 M SD 합의도 수렴도 CVR
2차 기후 위기 인식 및 영향 기후 위기 현상 기후 시스템과 순환(탄소·대기·해양)온실 효과(지구 온난화, 온실가스, 복사 평형)지속불가능성(온도·강수·물 수지·식생·기압·바람·습도 변화)지구 수용 능력 한계(생태 용량), 기상 이변 3.15 0.73 0.67* 0.5 0.60
기후 위기 원인 산업 혁명 이전 및 이후의 기후변화 및 원인 비교기후 회복력과 불가역성, 티핑 포인트, 기후변화 피드백에 의한 기온 상승의 증폭인간과 환경의 상호 의존적 관계• 자연적 및 인위적 요인지구 내부적 요인 및 외부적 요인 3.15 0.79 0.42* 0.88** 0.50
기후 위기 영향 자연·환경적 영향(식량, 인구 분포, 보건, 산림, 재해)사회·경제적 영향(인간 사회와 불평등)문화적 영향과 기후 정의(정치, 경제, 안보 관련 국제 갈등)우리 주변 생활의 변화극한 기상 및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후 전망 (대기, 해양, 빙권, 해수면) 3.5 0.67 0.75 0.5 0.80
감수성 및 기후 행동 기후 변화 감수성 •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과 정서적, 윤리적 공감기후변화로 인한 상황, 과정, 결과에 대한 공동체의 성찰• 지구 생태계에 대한 배려 및 공동체의 책임 의식• 인간의 삶과 자연을 대하는 성찰, 가치와 태도의 변화 3.7 0.56 0.81 0.38 0.90
취약성과 적응 (적응) 기후 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 결정 (개인/지역사회/국제적 수준)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생물 다양성지속가능발전목표 및 탈성장• 기후 위기 적응을 위한 의사 결정 및 참여 3.2 0.93 0.5* 1** 0.30***
온실가스 저감 (완화) 기후 위기 완화를 위한 기술 혁신 (대체 에너지 개발 및 활용, 이산화 탄소 포집 및 저장)기후 위기 완화를 위한 소통생활 속 기후 위기 완화를 위한 참여 3.2 0.87 0.67* 0.5 0.60
3차 기후 위기 인식 및 영향 기후 위기 현상 • 기후 시스템과 순환(탄소·대기·해양) • 온실 효과(지구 온난화, 온실가스, 복사 평형)지속불가능성기상 이변 3.60 0.58 0.75 0.5 0.90
기후 위기 원인 • 기후 회복력과 불가역성, 티핑 포인트, 기후변화 피드백에 의한 기온 상승의 증폭• 인간과 환경의 상호 의존적 관계• 산업 혁명 이전 및 이후의 기후변화• 자연적 및 인위적 요인• 지구 내부적 요인 및 외부적 요인지구 수용 능력 한계(생태 용량) 3.50 0.67 0.75 0.5 0.80
기후 위기 영향 • 자연·환경적 영향(식량, 인구 분포, 보건, 산림, 재해)• 사회·경제적 영향(인간 사회와 불평등)• 문화적 영향과 기후 정의(정치, 경제, 안보 관련 국제 갈등) • 우리 주변 생활의 변화 • 극한 기상 및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후 전망(대기, 해양, 빙권, 해수면) 변동사항 없음
감수성 및 기후 행동 기후변화 감수성 •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과 정서적, 윤리적 공감• 기후변화로 인한 상황, 과정, 결과에 대한 공동체의 성찰• 지구 생태계에 대한 배려 및 공동체의 책임 의식• 인간의 삶과 자연을 대하는 성찰, 가치와 태도의 변화 변동사항 없음
취약성과 적응 (적응) 생물 다양성지속가능성• 기후변화의 사회·경제·문화 영향에 대한 취약성의 우선순위 파악• 기후 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 결정 (개인/지역사회/국제적 수준) • 기후 위기 적응을 위한 의사 결정 및 참여 3.58 0.49 0.75 0.5 1.00
온실가스 저감 (완화)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탈성장기후 위기 완화를 위한 지자체, 정부, 국제적 차원의 협력• 기후 위기 완화를 위한 기술 혁신(대체 에너지 개발 및 활용, 이산화 탄소 포집 및 저장)• 기후 위기 완화를 위한 소통• 생활 속 기후 위기 완화를 위한 참여 3.74 0.44 0.75 0.5 1.00
합의도< .75,
수렴도> .5,
CVR< .42,
밑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한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