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학생 인권 상황에 대한 인권 판단력

연번 문항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 대체로 동의한다 매우 동의한다 평균 표준 편차
1 초·중·고등학교에서 징계를 받은 학생은 학생 임원 자격을 제한해야 한다.(역) 33(3.3%) 210(21.0%) 494(49.3%) 265(26.4%) 2.01(역) .7786
2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이 수업을 방해하는 경우 면학 분위기 조성을 위해 복도에 서 있게 할 수 있다.(역) 73(7.3%) 314(31.3%) 452(45.1%) 163(16.3%) 2.30(역) .8248
3 초·중·고등학교에서 점심시간이나 쉬는 시간에 교사의 허가 없이 학생이 운동장이나 체육관에서 놀거나 운동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역) 346(34.5%) 363(36.2%) 212(21.2%) 81(8.1%) 2.97(역) .9383
4 초·중·고등학교에서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학생의 휴대폰을 일괄적으로 거두어 둘 수 있다.(역) 43(4.3%) 221(22.1%) 519(51.8%) 219(21.9%) 2.09(역) .7770
5 초·중·고등학교에서 경우에 따라 불시에 학생들의 소지품을 검사할 수 있다.(역) 302(30.1%) 405(40.4%) 249(24.9%) 46(4.6%) 2.96(역) .8560
6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의 용모와 복장에 대한 규제는 학생다움을 위해 필요하다.(역) 182(18.2%) 347(34.6%) 404(40.3%) 69(6.9%) 2.64(역) .8555
7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이 자신에 관한 학교 기록에 대해 열람 및 정정을 요청하는 것은 교사 권한에 대한 침해이다.(역) 130(13.0%) 484(48.3%) 290(28.9%) 98(9.8%) 2.64(역) .8275
8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은 서명이나 설문조사 등을 통해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모으고 이를 표현할 수 있다. 4(0.4%) 22(2.2%) 434(43.3%) 542(54.1%) 3.51 .5640
9 종교재단이 설립한 초·중·고등학교에서 종교행사 및 종교교육을 학생에게 의무화 할 수 있다.(역) 398(39.7%) 381(38.0%) 187(18.7%) 36(3.6%) 3.14(역) .8420
10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칙 등 학교 규정을 만들거나 고칠 때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4(0.4%) 42(4.2%) 495(49.4%) 461(46.0%) 3.41 .5917
11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비슷한 잘못을 하지 않도록 특정 학생의 징계 사실을 다른 학생들에게 공개할 수 있다.(역) 198(19.8%) 444(44.3%) 305(30.4%) 55(5.5%) 2.78(역) .8218
12 초·중·고등학교에서 교사가 징계 사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않으면 학생은 이에 불응할 수 있다. 16(1.6%) 98(9.8%) 641(64.0%) 247(24.7%) 3.12 .6284
13 불법적으로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학생에 대해서 초·중·고등학교에서의 교육 기회가 제한되어야 한다.(역) 202(20.2%) 407(40.6%) 310(30.9%) 83(8.3%) 2.73(역) .8765
전체 2.79 .3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