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유진 외(2021) | 원격수업 협업 역량, 원격수업 성찰 경험, 디지털 역량, 원격 수업 전문성과 자신감, 긴급 상황 인식과 민감성 |
박성익 외(2007) | (온라인) 접근 용이성 (오프라인) 학문적 열정, 내용 전문성, 학습자와의 사회적 상호 작용 |
박주현 외(2021) | 상호 작용(학습자-교수자) |
손미, 정현희(2007) | 학습설계의문제, 상호 작용의 어려움, 화면설계의 문제 |
조은순(2020) | 교과학습 지도, 콘텐츠 내용 및 설계 지식, 학생 생활 지도, 학급 관리, 시스템 관리 |
UNESCO(2020) | 원격 학습에 필요한 모든 학년과 모든 교과의 콘텐츠 제공, 원격 학습 시 필요한 학습 관리, 적절한 피드백 제공 및 평가 |
홍선주 외(2021) | 맞춤형 설계, 상호 작용 설계, 학습에 대한 안내 및 지원. 진단과 평가, 피드백과 교수·학습 개선, 학습 환경 관리, 학생 학습 관리, 수업 혁신 |
홍성연, 유연재(2020) | 효과적 수업전략, 교수-학생 상호 작용 |
경기도교육청(2020) | 배움의 촉진, 학습경험 설계, 멘토링, 교육과정의 자율성 |
Rasheed et al.(2020) | 기술 리터러시 및 역량,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믿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