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6 모형 2에서 노드 6, 노드 7, 노드 1의 모수 추정치
노드 6 (N=374): 1차 자아존중감 3.5 이상, 3차 자아존중감 3.5 미만, 5차 삶의 만족도 2.5 이상, 5차 양육태도 중 따스함 3.5 미만 |
모수 | 추정값 | S.E. | 모수 | 추정값 | S.E. |
초기값 평균 | 3.592*** | 0.020 | 초기값과 1차기울기의 공분산 | 0.001 | 0.018 |
1차기울기 평균 | -0.423*** | 0.020 | 초기값과 2차기울기의 공분산 | -0.001 | 0.003 |
2차기울기 평균 | 0.070*** | 0.005 | 1차 기울기와 2차 기울기의 공분산 | -0.005 | 0.004 |
초기값 분산 | 0.018 | 0.022 | | | |
1차기울기 분산 | 0.022 | 0.018 | | | |
2차기울기 분산 | 0.002 | 0.001 | | | |
노드 7 (N=203): 1차 자아존중감 3.5 이상, 3차 자아존중감 3.5 미만, 5차 삶의 만족도 2.5 이상, 5차 양육태도 중 따스함 3.5 이상 |
모수 | 추정값 | S.E. | 모수 | 추정값 | S.E. |
초기값 평균 | 3.675*** | 0.026 | 초기값과 1차기울기의 공분산 | -0.005 | 0.024 |
1차기울기 평균 | -0.420*** | 0.028 | 초기값과 2차기울기의 공분산 | -0.001 | 0.004 |
2차기울기 평균 | 0.080*** | 0.007 | 1차 기울기와 2차 기울기의 공분산 | -0.009 | 0.006 |
초기값 분산 | 0.039 | 0.030 | | | |
1차기울기 분산 | 0.038 | 0.026 | | | |
2차기울기 분산 | 0.002 | 0.001 | | | |
노드 1 (N=253): 1차 자아존중감 3.5 미만, 3차 삶의 만족도 2.5 미만 |
모수 | 추정값 | S.E. | 모수 | 추정값 | S.E. |
초기값 평균 | 2.877*** | 0.033 | 초기값과 1차기울기의 공분산 | -0.048 | 0.034 |
1차기울기 평균 | -0.115** | 0.033 | 초기값과 2차기울기의 공분산 | 0.006 | 0.007 |
2차기울기 평균 | 0.025** | 0.008 | 1차 기울기와 2차 기울기의 공분산 | -0.019* | 0.007 |
초기값 분산 | 0.135** | 0.039 | | | |
1차기울기 분산 | 0.085* | 0.035 | | | |
2차기울기 분산 | 0.005* | 0.002 | | | |
p<.05,
p<.01,
p<.001
주. 노드 6=표본수가 가장 많은 노드; 노드 7=초기치 평균이 가장 높은 노드; 노드 1=초기치 평균이 가장 낮은 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