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까지 | 2019-1 (연두) | 교실기반평가에 따른 평가기준 및 방법 모색 | 평가방법/평가모형 | 4 | 교실기반평가/교사별평가, 채점기준(개발), 평가방법/평가모형, 양적연구방법 |
2019-2 (초록) | 학교급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의 적용 | 교수법/수업모형 | 6 | 교과 교육, 핵심역량, (교과) 교육과정, 교수법/수업모형, 학교급/학교급별 평가, 교육평가 |
2019-3 (빨강) | 수업에서의 과정중심평가 실현 | 학습을 위한 평가 | 6 | 과정중심평가, 수행평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 형성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 피드백 |
2019-4 (파랑) |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적용 | 교과 교육, 교사 인식 | 5 | 2015 개정 교육과정, 자유학기제, 교사 인식, 교과별 평가, 논술형/글쓰기 평가 |
2020년 부터 | 2020-1 (빨강)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수업 및 평가의 방향과 구현 | 교육과정 실행/교육정책 구현 | 8 |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교수법/수업모형, 양적연구방법, (교과) 교육과정, 피드백, 교육과정 실행/교육정책 구현,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 |
2020-2 (파랑) | 교실기반평가 실행 | 교실기반평가/교사별평가 | 5 | 수행평가, 교과별 평가, 교실기반평가/교사별평가, 고교학점제, 성취기준 |
2020-3 (초록) | 과정중심평가의 현재와 미래 | 교수평기 일체화, 미래교육(평가) | 5 | 질적연구방법,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미래교육(평가), 원격수업/온라인학습(평가) 플랫폼, 학교급/학교급별 평가 |
2020-4 (연두) | 교사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와 적용 | 교과 교사 | 5 | 교과 교육, 교과 교사, 교육평가, 교사 인식, 예비교사 |
2020-5 (보라) |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역량 | 교사의 과정중심평가역량 (T-PEC) | 4 | 과정중심평가, 통합교과(평가), 교사의 과정중심평가역량(T-PEC), 학교급별 교사 |
2020-6 (하늘) | 평가방법 | 형성평가 | 2 | 형성평가, 자기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