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llor & Hult(1999) | 신념 구조, 국가 유산, 문화 동질성, 자민족 중심주의 |
Devos & Banaji(2005) | 국가에 대한 소속감, 국가에 부여하는 가치, 타 국민이 보는 국가의 가치, 개인의 정체성 |
Kunovich(2009) | 국가에서 출생, 국가 시민권 소유, 생애 대부분 국가에 거주, 국가 언어 구사 능력, 국가의 지배적 종교를 믿음, 국가의 정치 제도와 법률 존중, 국가의 국민 의식(감정), 국가 조상 동일성 |
Pronina(2012) | 법률 준수, 선거 참여, 역사 이해, 국가에 사는 것, 국가를 자랑스러워함. 이웃 사랑 마음, 국가 이익을 위한 정직한 노력, 국방의 의무 이행 |
김현자(2000) | 국가적 충성심, 상징의식, 민족적 긍지, 국가와의 일체감, 통일안보, 미래상 |
김유경 외(2012) | 문화적 특이성, 국가 유산, 가치 체계, 감성적 애착, 글로벌 시민성, 글로벌 리더십 |
김명정 외(2013) | 애국심, 역사 및 사회구조, 국민으로서의 법적 권리와 의무 |
최영은, 남상문(2014) | 국민의 국가에 대한 자부심, 국가에 대한 개인의 기여 의식, 국가에 대한 존중감, 개인 정체성과 자긍심의 기반으로서의 국적, 세계화 시대의 호혜 협력 |
안지현(2015) | 국토애, 일체감, 민족·역사 의식, 민주시민 의식, 상징의식, 통일·안보 의식, 국제관계 |
변강주(2018) | 헌법적 가치, 애국심, 국제적 상호의존성, 인류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