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과학수업에서 생산적 사고를 자극하는 교사의 질문 (Chin, 2007)

종류 특징
1-1. 끌어올리기 (pumping) 명시적인 요구를 통해 학생들이 더 많은 아이디어를 표현하도록 장려하는 질문
1-2. 반사 던지기 (reflective toss) 한 학생의 답에 대해 다른 학생에게 의견을 묻는 질문
1-3. 건설적인 도전 (constructive challenge) 직접적인 수정 피드백을 주는 대신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는 질문
2-1. 핵심 단어와 문구 연관 (association of key words and phrases) 학생들이 일련의 주장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일관된 사고 유형을 갖도록 안내하는 질문
2-2. 언어적 빈칸채우기 (verbal cloze) 문장 중간에 잠시 멈춰서 학생들이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빈칸을 채우도록’ 하는 질문
3-1. 다각적인 질문하기 (multi-pronged questioning) 문제의 여러 측면을 다루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의 질문
3-2. 다중 모드 사고 자극하기 (stimulating multimodal thinking) 이야기, 다이어그램, 시각 이미지, 기호, 공식 및 계산을 활용하는 다양한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
3-3. 초점 맞추기 및 확대/축소하기 (focusing and zooming) 학생들이 큰 단위나 작은 수준에서 생각하도록 안내하거나, 큰 단위와 구체적인 질문 사이를 오고 가며, ‘줌 인’과 ‘줌 아웃’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질문
4-1. 질문 기반으로 도입하기 (question-based prelude) 질문-답을 사용하여, 선행 조직자 역할을 하고 앞으로 제시될 정보로 이끄는 질문
4-2. 질문 기반으로 개요 제시하기 (question-based outlines) 크고 넓은 질문과 하위 또는 관련 질문을 시각화하여 개요로 제시하는 질문
4-3. 질문 기반으로 요약하기 (question-based summary) 주요 요점을 종합하기 위해 질문-답 형식을 통해 전반적인 요약을 제공하는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