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기후 변화 대응 교수학습 관련 선행 연구(권유진 외, 2023: 43 재인용)

Enact 모형 이현주 외 (2020) SSIBL (Levinson, 2018)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형 (최지연 외, 2017) RRI Learning Environment Design Framework (Hadjichambis et al., 2019) SSI Teaching & Learning Framework (Sadler et al., 2017) 지역사회연계 사회과학이슈 교육 프로그램(김가형, 이현주, 2017)
개념중심 모형 문제해결 중심 모형 프로젝트 중심 모형
1. 쟁점 발견 1. 질문하기 1. 개념 제시 1. 상황 만나기2. 문제 명료화 하기 1. 목적 설정하기 (ESD 주제 선정, 흥미 환기) 1. 사회과학적 이슈 소개 1. 핵심 문제 직면 1. 인식하기 (지역현황 조사)
2. 쟁점 탐색 2. 해결책 찾기 2. 자료 제시3. 개념 형성4. 개념 검증5, 사고 분석 3. 해결 방안 탐색하기4. 미래 예상 하기5. 답안 결정 하기 2. 계획하기 (학습 계획, 자료 수집, 설계) 2. 해결책 탐구하기 2. 개발 2. 학습하기 (정보 습득)
3. 미래상황 예측 3. 공유하기 (정보 수렴과 확산)
4. 과학/기술/공학적 쟁점 해결 3. 정보에 근거한 결정하기 3. 종합
5. 사회적 실천 3. 실천하기 6. 평가 및 성찰 3. 실행하기 및 비평하기 4. 개인적, 사회적 실천하기 4. 실천(방안 모색 및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