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은, 김종욱, 김찬종(2021) | 사회적 실천 지향 SSI 교육 | 기후 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적 차원의 실천을 지향 하며, 기후 변화와 관련한 논쟁에 참여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개인적 행동을 넘어서 사회정의를 위한 사회적·정치적 행동을 실천하는 것을 목표 |
안종복 외(2021) | 생태교육 | 한 개인이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인류가 자연과 함께 공동운명체로 살아가도록 탐색하는 교육 |
가석현(2021) | 실천 지향 교육 | 오늘날을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한 명의 주체적 행위자로 바라보고, 이들을 해박하고 힘이 있는 시민이 되어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자 하는 교육 |
박경란(2022) | 기후변화 교육 | 지구 온난화 등의 기후 변화 현상이나 원인을 이해하고, 기후 변화에 대한 지식·인식·태도를 높여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 태도를 길러 주는 교육 |
교육부(2021) | 생태전환 교육 | 기후 변화와 환경재난 등에 대응하고 환경과 인간의 공존을 추구하며,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모든 분야와 수준에서의 생태적 전환을 위한 교육 |
이기범(2005) | 사회적 실천 | 집단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수행 방식의 일관성과 탁월성에 대한 규범적 기대가 동반된 일상의 삶에서 반복되는 의미 있는 행위 |
윤수진(2020) | 사회혁신 교육 | 학생들이 사회혁신의 주체로서 역량과 자질,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하는 과정 |
이선경 외(2005) | 지속가능 발전교육 | 모든 사람들이 질 높은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와 사회 변혁을 위해 필요한 가치, 행동, 삶의 방식을 배울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하는 교육 |
조수진, 남상준(2015) | 장소기반 교육 | 학습을 위한 시작점으로 지역사회 및 총체적인 지역 환경을 활용하고 실제 세계에서의 직접적인 학습 경험을 강조하는 교육법으로서, 더욱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세계를 촉진시키고자 일상적인 삶의 소에서부터 행동하고 느끼는 방식을 변화시키려는 교육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