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선행연구에서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구분 범주 영향 요인
곽민호 외 (202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학교생활 학교생활 행복도(심리 적응도, 교육환경 만족도), 수업 준비 및 참여도(수업 준비 및 태도, 수업 참여도), 학생-교사 관계(민감성, 수용성)
정의적 특성 자신감, 가치, 흥미, 학습 의욕
사회·정서적 역량 공동체 의식, 협업, 갈등 해결, 스트레스 대처, 회복 탄력성
서민희 외 (2022)(※ TIMSS) 개인 및 가정 배경 성별, 가정지원, 부모 교육 수준, 대학 이상 교육 포부, 취학 전 문해·수리 활동, 사교육 여부
학교 경험 학교 소속감, 괴롭힘
교과 태도 수학(과학)에 대한 흥미, 수학(과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교사 및 수업 특성 수학(과학) 교사 수업 전문성, 교직 만족도, 실생활 활용 수업(수학, 과학)
이신영 외 (2022)(※ PISA) 학생 배경 (읽기 소양) 학교 밖 읽기 학습 경험, (일반 영역) 학생의 SES 등 가정 배경, 이민과 문화 배경 정보, 어린 시절 교육 경험
학교 교육 (읽기 소양)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개발, 읽기 교수의 실제, 학습 시간과 교육과정, 읽기 학습을 위한 학교 환경, (일반 영역) 학부모 참여, 학교 풍토(인간, 관계, 신뢰 등), 학교 맥락과 자원, 평가와 책무성, 예산 배분/선택 및 결정
비인지/메타인지적 성취 (읽기 소양) 읽기 관련 비인지적 성과(태도, 동기, 전략 등), (일반 영역), 학생 성향 및 학교에 대한 태도(신념, 동기 등), 글로벌 역량의 성향
김홍겸, 고호경 (2024) 인지적 영역 인지 전략 및 학습 전략, 문제해결 전략, 수학적 의사소통
정의적 영역 동기, 자기효능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 불안, 수학의 가치 인식, 흥미
사회환경적 영역 (개인 차원) 정체성, (가정환경 차원) 부모의 교육적 기대 및 자녀의 인식, 부모의 가정 배경, (교실 환경 차원) 교사의 수업 활동 및 전략, 교실 분위기 및 규범, (사회적 차원) 사회적 압력, 규범, 스트레스
김용석, 한선영 (2020) 학습자의 내적 요인 자아개념, 자기통제, 삶의 만족에 대한 자기 평가
학습자의 외적 요인 학습 풍도, 자녀에 대한 보호자의 관심, 보호자의 학습 조력
Yoo(2014) 사회문화적 요인 학부모 교육 참여도, 교사 선호도, 학교 친밀도
한희진, 양정호 (2017) 학생·가정의 기본적 특성 학생 성별, 이전 학교급 성적, 가족 구성, 부모의 최종학력, 가정소득
부모의 교육열·포부 수준 부모의 교육적 지원, 부모의 교육 기대 수준
학습활동 사교육 참여 여부, 방과후학교 참여 여부
학습 심리 학생의 입시 스트레스,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지원
출처: 곽민호 외(2023, pp.16-24); 서민희 외(2022, p.329); 이신영 외(2022, p.287); 김홍겸, 고호경(2024, pp.234-247); 김용석, 한선영(2020, p.546); Yoo(2014, p.466); 한희진, 양정호(2017, pp.178-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