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 | 학습장애 | Wee 클래스 검사지 | 원점수 비교 | 일치 | 효과적인 프로그램 밝히지 않음 |
자아존중감 |
B | ○ | 외향성, 우호성, 성실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정서적 불안정성 | 성격강점검사 | 사전-사후 백분율 비교 | 일치 | 효과적인 프로그램 밝히지 않음 |
학업동기(학습동기, 학습 효능감), 학업관련 정서 (시험불안, 정서적 부주의) | 자기주도 학습검사 |
교우와의 친밀감, 정서적지지, 실질적 도움, 갈등 대립 | 교우관계검사 |
C | ○ | 자아존중감, 시험 자신감, 학습 의욕 | 학습저해 요인검사 | 사전-사후 백분율 비교 | 일치 | 효과적인 프로그램 밝히지 않음 |
학습 집중 | 학습습관검사 |
학습태도 및 정서심리 변화 | 인터뷰, 자체 설문지 | 서술 |
D | ○ | 정서행동향상 | 한국행동심리연구소 | t-검증 | 일치 | t-검증 결과 통계적 유의미 없음 효과적인 프로그램 밝히지 않음 |
학생 정서심리 변화 | 교사 관찰 | 관찰법 |
E | ○ | 자아존중감, 시험 자신감, 학습 의욕 | 학습저해요인검사 | 사전-사후 백분율 비교 | 일치 | 효과적인 프로그램 밝히지 않음 |
학습의지, 분노, 불안 | 정서환경행동검사 | 사전-사후 백분율 비교 |
F | ○ | 자아존중감, 시험 자신감, 학습 의욕 | 학습저해 요인검사 | t-검증 | 일치 | t-검증 결과 하위 영역별 통계적 유의 확률 상이 효과적인 프로그램 밝히지 않음 |
학습의지, 분노, 불안 | 정서환경행동검사 |
학습 동기 | 학습유형검사 |
G | ○ | 학습 동기 | 학습유형검사 | 사전-사후 점수 비교 | 일치 | 효과적인 프로그램 밝히지 않음 |
학습동기(자신감, 중요성 인식, 탄력성, 학습 흥미), 정서(긍정 정서, 부정 정서, 시험 불안, 무기력) | SLT 자기조절 학습능력 |
H | ○ | 정서 안정, 자존감 | 자체 설문지 | 사후 백분율 점수 분석 | 일치 | 효과적인 프로그램 교사: 두드림 놀이 및 상담교실 학생: 메이커 으뜸이 프로그램 |
자존감 | EBS |
이지케어 |
정서심리 변화 | 자체 설문지 |
I | ○ | 자아존중감, 시험 자신감, 학습 의욕 | 학습저해 요인검사 | 사전-사후 점수 비교 | 일치 | 효과적인 프로그램 학생: 직업 흥미 검사 학부모: 학습 코칭 |
학습의지, 분노, 불안 | 정서환경 행동검사 |
학습 동기 | 학습유형검사 |
정서심리 변화 | 자체 설문지 | 백분율 차이 비교 |
J | x | . | . | . | . | . |
K | ○ | 자아존중감, 시험 자신감, 학습 의욕 | 학습저해요인검사 | 사전-사후 백분율 비교 및 자체 설문지 분석 | 일치 | 효과적인 프로그램 밝히지 않음 |
학습 집중 | 학습습관검사 |
L | △ | . | . | . | 진단 단계에서 실시한 검사를 검증 단계에서 실시하지 않음 |
자신감 | 자체 설문 | 만족도 비교 | 일치 | 전교 학생 대상 심리 상담 프로그램과 개별 상담의 효과성을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으로 만족도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