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기초학력 보장의 정책 변천

기초학력 보장 버전(시기) 내용
1.0(∼2000년대 중반) - 학습 지원 대상 학생 지도는 담임 교사의 지도하에 부족한 부분에 대한 나머지 학습 형태-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 수준에 맞는 자료를 요구함. 이에 진단 평가 및 다양한 학습 지도 자료들이 국가 수준에서 개발·보급
2.0(2009~2012년) - 2008년부터 실시된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라 모든 학교에서 기초학력 부족 학생의 비율이 산출됨. 이러한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 단위 학교의 역량이 강화되 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며,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사업이 2009년~2014년까지 운영됨.- 학습 지원 대상 학생을 위한 인지적, 비인지적 지도 자료 및 프로그램이 개발 ․ 보급, 2010년 기초학력 향상지원 누리집 구축됨.- 이 시기 단계별 전문적 교사 연수 운영, 단위 학교 역량 강화를 위해 컨설팅 실시
2.5(2012년~) - 앞서 2.0에서 실시된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중 지도 및 지원에 힘든 학생에 대해 별도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제기됨. 이에 ‘학습 종합 클리닉 센터’라는 학교 밖 지원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됨.- 시도 교육청의 차별성을 고려하기 위해 학습 종합 클리닉 센터의 주요 기능과 역할(학교로 찾아가는 119 서비스, 학습 코칭 및 학습 상담, 정서 행동 지원 프로그램 운영, 전문기관 연계 등)은 일치하되, 지역 여건에 따른 다양한 운영 모형이 만들어짐.
3.0(2014년~) -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에서 두드림 학교의 운영 모형 발굴. 두드림 학교는 3가지의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함. 프로그램 중심이 아닌 학생 중심, 한 명의 교사가 한 명의 학생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학교 내 구성원들이 팀을 이루어 대상 학생을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것, 사업별 운영이 아닌 사업 간의 장벽을 허물어 지원.
3.5(2018년~) - 기초학력 부족에 따른 사후 조치 보다 수업 내 부족분을 바로 도움 주는 사전 예방 차원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 특히 한글 읽기 교육의 중요성에 따라 한글 교육 강화 정책 실시- “한 아이도 놓치지 않는 1:1 맞춤형 교육 실현”의 교육 공약 이래, 담임 교사 외에 수업에 함께 참여하는 협력 교사 선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