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40%, 35%) | 회상하기 | ◦ 정의, 용어, 수의 성질, 측정 단위, 도형의 성질, 표기법(예: a×b=ab, a+a+a=3a)을 회상한다. |
인식하기 | ◦ 수, 식, 양, 도형을 인식한다. 수학적으로 동치인 대상을 인식한다(예: 동치인 분수, 소수, 백분율, 간단한 도형을 여러 가지 방향에서 본 모양). |
분류하기/정렬하기 | ◦ 공통 성질에 따라 수, 식, 양, 도형을 분류한다. |
계산하기 | ◦ 범자연수, 분수, 소수, 정수와 +, -, ×, ÷ 및 혼합계산과 관련된 알고리즘 절차를 수행한다.◦ 정형적인 대수적 절차를 수행한다. |
인출하기 | ◦ 그래프, 표, 텍스트 또는 다른 원자료에서 정보를 읽어낸다. |
측정하기 | ◦ 측정 도구를 사용한다.◦ 적절한 측정 단위를 선택한다. |
적용하기 (40%, 40%) | 결정하기 | ◦ 일반적인 해결 방법이 사용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율적인/적절한 연산, 전략, 도구를 선택한다. |
표현하기/모델링하기 | ◦ 표나 그래프로 자료를 표현한다.◦ 문제 상황을 모델링하는 방정식, 부등식, 기하 도형, 다이어그램을 만든다.◦ 주어진 수학적 대상이나 관계와 동치는 적절한 표현을 만들어낸다. |
실행하기 | ◦ 익숙한 수학 개념과 절차를 포함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략이나 연산을 실행한다. |
추론하기 (20%, 25%) | 분석하기 | ◦ 수, 식, 양, 도형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고, 기술하며, 활용한다. |
통합ㆍ종합하기 |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식의 다양한 요소, 관련된 표상, 절차를 연결한다. |
평가하기 | ◦ 대안적인 문제해결 전략과 방법을 평가한다. |
결론짓기 | ◦ 타당한 정보와 증거에 근거해서 타당한 추리를 한다. |
일반화하기 | ◦ 보다 일반적이고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해서 관계를 나타내는 명제를 만든다. |
정당화하기 | ◦ 전략이나 해결 방법에 도움이 되는 수학적 논쟁을 제공한다. |